"숙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환국 정치)
(숙종 친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000000;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숙종(肅宗)'''
 
! colspan="2" style="background:#000000;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숙종(肅宗)'''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숙종.jpg|300px]]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숙종.png|330px]]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지위''' || 조선 제 19대 왕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지위''' || 조선 제 19대 왕
14번째 줄: 14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아명''' || 용상(龍祥)
 
| style="text-align:center;"|'''아명''' || 용상(龍祥)
 
|-
 
|-
| style="text-align:center;"|'''재위기간''' || 1674년9월22일 ~ 1720년7월12일
+
| style="text-align:center;"|'''출생일''' || 1661년 10월 7일
 
|-
 
|-
| style="text-align:center;"|'''생몰기간''' || 1661년10월7일 ~ 1720년7월12일 (만 58세)
+
| style="text-align:center;"|'''사망일''' || 1720년 7월 12일 (만 58세)
 +
|-
 +
| style="text-align:center;"|'''재위기간''' || 1674년 9월 22일 ~ 1720년 7월 12일
 
|-
 
|-
 
| style="text-align:center;"|'''능호''' || 명릉(明陵)
 
| style="text-align:center;"|'''능호''' || 명릉(明陵)
32번째 줄: 34번째 줄:
  
 
='''생애'''=
 
='''생애'''=
=='''즉위 전'''==
 
1699년(숙종 25)연잉군(延礽君)에
 
 
 
=='''즉위 후'''==
 
=='''즉위 후'''==
 
===환국 정치===
 
===환국 정치===
숙종의 진면모는 바로 환국 정치의 창시자로 인조반정 이후 현종 때까지의 정국이 붕당 간의 적절한 견제와 균형으로 이루어졌다면, 숙종 즉위 후 기사환국 이후부터는 한 당파에 의해 권력이 독점되어지는 "너 죽고 너 다시 한 번 더 죽자" 식으로 전개되었다. 여기서 왕실 종친들은 즉 숙종의 적당숙인 복평군과 복선군 복녕군은 아버지인 인평대군이 서인에게 탄핵을 받고 외척들인 서인과 사이가 않좋아 남인편을 들어주었다. 그리고 서종조인 숭선군과 서당숙인 동평군 또 한 장희빈과 남인편을 들어주었다. 서인은 주로 외척이 중추가 되었는데 어머니인 명성왕후 김씨의 아버지이고 외조부인 김우명도 서인이였고 어머니의 사촌오빠인 김석주도 서인이였다. 숙종의 첫째 왕비의 아버지이고 장인인 김만기와 처숙부인 김만중도 서인이였고 둘째부인인 인현왕후의 아버지인 민유중과 오빠인 민진원도 서인이였다. 한 마디로 말하자면 남인과 서인의 싸움은 종친과 외척의 대리전과 다름 없었다. 간단하게 임금이 남인을 선택하면 서인이 죽어나가는 거였고, 서인을 선택하면 남인이 죽어나가는 형태였다. 붕당이 처음 일어난 선조 시절에 붕당간에 정철과 정여립의 난으로 대표되는 피비린내 나는 권력 혈투를 벌인것과 비슷한 상황이 다시 전개된 것. 이로 인해 집권 당파가 바뀔 때마다 보복성 숙청으로 피바람이 몰아쳤다. 그리고 숙종은 왕비인 인현왕후와 장희빈을 적절히 이용해 환국을 일으켰다. 보통 조선 역사를 배울 때 이러한 숙청 시기를 환국으로 표현한다. 대표적인 환국과 그에 준하는 정국 뒤집기로는...
 
 
•재위 1년(1675년), 예송논쟁 직후 긴장 상태에 있던 정국을 남인 우위로 뒤집었다.(사실 현종 대의 연장선상에 있다.)
 
 
•재위 6년(1680년), 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 허적, 윤휴를 비롯한 남인을 친위 쿠데타에 가깝게 몰아냈다. 처분 수일만에 사약 크리.
 
 
•재위 16년(1690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다시 왕비 교체에 반대하는 서인을 내몰고 남인을 중용했다. 이때의 남인은 민암 중심.
 
 
•재위 20년(1694년),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다시 6년만에 남인을 내몰고 서인으로 정권 교체.
 
  
•이미 숙종 즉위 이전, 분명해지기로는 경신환국 이후로 서인이 소론과 노론으로 분열되자, 초기엔 소론을 중용했으나 1716년의 병신처분(丙申處分)으로 소론을 대거 내몰고 노론을 등용. 재위 21년 시절, 마지막 환국 이후 20년만에 벌어진 속편 격이라 잘 알려지지 않지만 이후의 붕당 대립에는 큰 영향을 미쳤다.
+
[[숙종]]은 강력한 왕권을 추구했고 붕당을 누르기 위해 [[환국]]을 자주 했다. 전대 왕들은 관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몇 명만 파직했지만 [[숙종]]은 대부분의 관리를 바꿨다. 이로 인해 [[남인]]과 [[서인]]이 자주 돌아가며 정권을 잡을 수 있었다. 그전에는 야당이 소리를 내면서 여당과 세력간의 견제와 균형을 맞췄는데 [[숙종]] 때부턴 여당만 있는 상황이 되었다. 1675년 [[숙종]] 1년, [[예송논쟁]] 직후, 긴장 상태의 정국을 [[남인]]이 차지했다. 1680년 숙종 6년, [[경신환국]]이 일어났고 [[서인]]이 정권을 잡았다. [[숙종]]이 [[남인]] [[허적]] 조부의 시호를 맞이한 잔치에 유악을 보내려 하였으나 이미 사용한 것을 알고 크게 노하였고, 그리하여 [[남인]]의 군권이 [[서인]]에게 넘어갔다. 이후, [[서인]]은 [[남인]]을 탄압하고 붕당의 기본 원리(상호 견제와 비판)를 무너트리며 [[일당 전제화 정치]]를 실시하였다. 1689년 [[숙종]] 15년, 이번에는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실각하고 [[남인]]이 권력을 잡았다.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에게 후사가 없자 [[숙종]]은 [[장희빈]]의 아들([[경종]])을 세자로 책봉하려고 하였다. 이에 [[서인]]은 이를 반대하였고 [[남인]]은 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인]] [[송시열]]이 사약을 받았다. [[남인]]은 다시 정권을 장악하였고, 이후 [[장희빈]]은 왕비가 되었고 [[인현왕후]]는 폐비가 되었다. 1694년 [[숙종]] 20년, [[갑술환국]]이 일어났다. [[서인]]들이 전개하던 [[폐비 복위 운동|폐비 민씨(인현왕후) 복위 운동]]을 [[남인]]은 반대했고 화를 입었다. [[기사환국]] 이후, [[장희빈]]의 행동이 방자해지고 불미스러운 일들이 거듭되어 [[숙종]]의 마음은 [[인현 왕후]]에게로 돌아섰다. 그리고 [[서인]]의 [[폐비 복위 운동]]을 [[숙정]]이 지지하여 [[남인]]을 제거했고 [[서인]]을 등용시켰다. 이로 인해 [[인현왕후]]는 중전으로 복위되었고 [[장희빈]]은 사약을 마시고 죽었다. 결국 [[남인]]은 실각하고 [[서인]]이 재집권했다.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7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70%;"
!style="width:20%"|재위 시기||style:"width:50"|사건 내용
+
!style="width:15%"|재위 시기||style:"width:10"|정권||style:"width:55"|주요 사건||style:"width:55"|사건 내용
 
|-
 
|-
|재위 1년 (1675년)||송논쟁 직후 긴장 상태에 있던 정국을 남인 우위로 뒤집었다.
+
|재위 1년 (1675년)||남인|| ||예송논쟁 직후 긴장 상태에 있던 정국을 남인 우위로 뒤집었다.
 
|-
 
|-
|재위 6년 (1680년)||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 허적,윤휴를 비롯한 남인을 친위 쿠데타에 가깝게 몰아냈다. 처분 수일만에 사약 크리.
+
|재위 6년 (1680년)||서인||[[경신환국]]||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 허적,윤휴를 비롯한 남인은 실각했고 서인이 정권을 잡았다.
 
|-
 
|-
|재위 16년 (1690년)||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다시 왕비 교체에 반대하는 서인을 내몰고 남인을 중용했다. 이때의 남인은 민암 중심.
+
|재위 15년 (1689년)||남인||[[기사환국]]||장희빈의 아들(경종)에 대한 책봉 문제로 기사환국(己巳換局)이 일어나 남인 정권이 다시 들어섰다.
 
|-
 
|-
|재위 20년 (1694년)||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다시 6년만에 남인을 내몰고 서인으로 정권 교체.
+
|재위 20년 (1694년)||서인||[[갑술환국]]||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다시 6년만에 남인을 내몰고 서인으로 정권 교체.
 
|}
 
|}
  
이러한 환국 정치는 숙종의 왕권 강화책으로 보는 것이 정설이며, 숙종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그 여파로 숙종은 살아서 신하들에게 존호까지 받게 되었고(그만큼 신하들이 그를 두려워 한다는 뜻), 충(忠)의 상징인 관우를 대대적으로 홍보해 신하들에게 반강제로 충성을 강요하게끔 한다.[20]
+
='''숙종의 어필'''=
 +
[[파일:숙종어필 칠언시.jpg|400px|'숙종어필 칠언시']]
 +
'숙종어필 칠언시'(肅宗御筆七言詩)
  
자신이 죽인 장희빈의 아들인 경종이 훗날 연산군처럼 피바람을 불게 할까봐 두려워 노론과 공모해 경종을 폐세자하려던 중 노환으로 사망하고 말았다(...). 이 택군(擇君) 경험 때문에 노론은 경종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고, 반면 소론은 이것을 이용해서 피바람이 일게 한다. 이것이 바로 신임옥사[21].
+
[[숙종]]이 [[이경석]](李景奭)의 문집인 『[[백헌집]]』은 1700년([[숙종]] 26) 간행되었다. [[숙종]]이 『[[백헌집]]』을 본 후의 느낌을 숙종어필 칠언시로 지었다. 칠언시의 내용은 “어렵게 입수한 문집을 피곤한 줄도 모르고 종일토록 보았다. [[이경석]]의 충성심을 칭송하고 선대왕들도 [[이경석]]을 총애하여 예우하였으며 송나라의 명재상 [[문정공]]과 비교할 수 있는 인물이었다”라고 표현하였다. 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30호로 지정되었으며, 소장자는 [[이경석]]의 후손이고, 경기도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숙종이 잦은 환국과 신권을 억누르는 정치를 한 탓에 몸이 약한 경종이 즉위하면서 정국은 개판 오분 전 + 피를 피로 씻는 배틀로얄이 되었고, 독살설과 역모가 횡행하였다. 영조 즉위 이후에는 점점 소수 붕당의 독재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결국 영조, 정조 시대에는 탕평책을 밀어붙여야만 했다. 근데 사실 탕평책이란 이름 자체는 숙종이 최초로 제기한 것.  
+
[[파일:숙종 어필오언구.jpg|400px|숙종 '어필오언구']]
 +
숙종 '어필오언구'(御筆五言句)
  
기본적으로 신하들을 대등한 존재로 보지 않았던 것 같기도 하다. 숙종 17년(1691년)엔 우의정 김덕원이 오래 봉직한 내시의 경험담을 듣고 '인조대왕과 효종대왕은 검약하셨는데 님도 좀 검약하시져'라고 했다가 '네가 감히 선조의 일을, 그것도 천한 내시의 말을 들먹이면서 나를 능멸?' 이라는 식의 말과 함께 오래 전에 사망한 그 내시는 일가 친척들과 함께 내시 명단에서 삭제되고 발언자 본인은 단칼에 파직 크리를 먹은 적이 있다. 영의정을 비롯해 주변 신하들이 다 싹싹 빌었는데도 소용이 없었다고. 바로 그해에 '그 동안 당쟁이 심해 그거만큼 폐단이 없는데 나님이 그런거 다 없앰'이라는 율시도 지었다.
+
[[숙종]]이 야은 [[길재]](冶隱 吉再)의 충절에 감동하여 오언시의 어필을 남겼다. 어필오언구는 [[길재]]의 충절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한 [[채미정]] 경모각에 야은 초상과 함께 보관되어 있다. [[채미정]]은  [[길재]]의 충절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하여 1768년([[영조]] 44) 경상북도 구미에 창건되었다.
  
='''사후'''=
+
='''상훈과 추모'''=
 
시호는 현의광륜예성영렬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顯義光倫睿聖英烈章文憲武敬明元孝大王)이고, 묘호는 [[숙종]](肅宗)이다.<br/>능호는 [[명릉]](明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용두리의 서오릉(西五陵)에 있다.
 
시호는 현의광륜예성영렬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顯義光倫睿聖英烈章文憲武敬明元孝大王)이고, 묘호는 [[숙종]](肅宗)이다.<br/>능호는 [[명릉]](明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용두리의 서오릉(西五陵)에 있다.
  

2018년 12월 18일 (화) 15:28 기준 최신판


요약

조선의 제19대 왕. 현종(顯宗)과 명성황후(明聖王后) 외아들로, 휘는 이순(李焞)이고, 자는 명보(明普)이며, 아명은 용상(龍祥)이다.

숙종은 1661년 10월 7일에 경덕궁회상전(會祥殿)에서 태어나 1667년 정월 왕세자에 책봉되었다. 1674년 만 12세의 나이로 창덕궁인정전(仁政殿)에서 즉위해, 그 당시 가장 긴 기간의 재위 46년 되던 해 1720년 7월 12일 경덕궁융복전(隆福殿)에서 승하하였다.

비는 인경황후(仁敬王后), 계비는 인현왕후(仁顯王后), 제2 계비는 인원왕후(仁元王后)로 이어지는 세 왕비를 두었다. 그러나 이들에게서는 왕자를 얻지 못했고 희빈 장씨숙빈 최씨에게서 각각 경종영조가 되는 왕자를 낳았다.

생애

즉위 후

환국 정치

숙종은 강력한 왕권을 추구했고 붕당을 누르기 위해 환국을 자주 했다. 전대 왕들은 관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몇 명만 파직했지만 숙종은 대부분의 관리를 바꿨다. 이로 인해 남인서인이 자주 돌아가며 정권을 잡을 수 있었다. 그전에는 야당이 소리를 내면서 여당과 세력간의 견제와 균형을 맞췄는데 숙종 때부턴 여당만 있는 상황이 되었다. 1675년 숙종 1년, 예송논쟁 직후, 긴장 상태의 정국을 남인이 차지했다. 1680년 숙종 6년, 경신환국이 일어났고 서인이 정권을 잡았다. 숙종남인 허적 조부의 시호를 맞이한 잔치에 유악을 보내려 하였으나 이미 사용한 것을 알고 크게 노하였고, 그리하여 남인의 군권이 서인에게 넘어갔다. 이후, 서인남인을 탄압하고 붕당의 기본 원리(상호 견제와 비판)를 무너트리며 일당 전제화 정치를 실시하였다. 1689년 숙종 15년, 이번에는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실각하고 남인이 권력을 잡았다.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에게 후사가 없자 숙종장희빈의 아들(경종)을 세자로 책봉하려고 하였다. 이에 서인은 이를 반대하였고 남인은 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인 송시열이 사약을 받았다. 남인은 다시 정권을 장악하였고, 이후 장희빈은 왕비가 되었고 인현왕후는 폐비가 되었다. 1694년 숙종 20년, 갑술환국이 일어났다. 서인들이 전개하던 폐비 민씨(인현왕후) 복위 운동남인은 반대했고 화를 입었다. 기사환국 이후, 장희빈의 행동이 방자해지고 불미스러운 일들이 거듭되어 숙종의 마음은 인현 왕후에게로 돌아섰다. 그리고 서인폐비 복위 운동숙정이 지지하여 남인을 제거했고 서인을 등용시켰다. 이로 인해 인현왕후는 중전으로 복위되었고 장희빈은 사약을 마시고 죽었다. 결국 남인은 실각하고 서인이 재집권했다.

재위 시기 정권 주요 사건 사건 내용
재위 1년 (1675년) 남인 예송논쟁 직후 긴장 상태에 있던 정국을 남인 우위로 뒤집었다.
재위 6년 (1680년) 서인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 허적,윤휴를 비롯한 남인은 실각했고 서인이 정권을 잡았다.
재위 15년 (1689년) 남인 기사환국 장희빈의 아들(경종)에 대한 책봉 문제로 기사환국(己巳換局)이 일어나 남인 정권이 다시 들어섰다.
재위 20년 (1694년) 서인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다시 6년만에 남인을 내몰고 서인으로 정권 교체.

숙종의 어필

'숙종어필 칠언시' '숙종어필 칠언시'(肅宗御筆七言詩)

숙종이경석(李景奭)의 문집인 『백헌집』은 1700년(숙종 26) 간행되었다. 숙종이 『백헌집』을 본 후의 느낌을 숙종어필 칠언시로 지었다. 칠언시의 내용은 “어렵게 입수한 문집을 피곤한 줄도 모르고 종일토록 보았다. 이경석의 충성심을 칭송하고 선대왕들도 이경석을 총애하여 예우하였으며 송나라의 명재상 문정공과 비교할 수 있는 인물이었다”라고 표현하였다. 2010년 1월 4일 보물 제1630호로 지정되었으며, 소장자는 이경석의 후손이고, 경기도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숙종 '어필오언구' 숙종 '어필오언구'(御筆五言句)

숙종이 야은 길재(冶隱 吉再)의 충절에 감동하여 오언시의 어필을 남겼다. 어필오언구는 길재의 충절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한 채미정 경모각에 야은 초상과 함께 보관되어 있다. 채미정길재의 충절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하여 1768년(영조 44) 경상북도 구미에 창건되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현의광륜예성영렬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顯義光倫睿聖英烈章文憲武敬明元孝大王)이고, 묘호는 숙종(肅宗)이다.
능호는 명릉(明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용두리의 서오릉(西五陵)에 있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관련 영상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