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숙자의 좌충우돌 생애기 - 엄마도 사람이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국의 모든 어머님께 대한 감사)
(신숙자의 고향)
33번째 줄: 33번째 줄:
  
 
===='''신숙자의 고향'''====
 
===='''신숙자의 고향'''====
[[독일]] 태생의 바로크 시대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며 교회 음악가이다. 1685년 3월 [[독일]]의 튀링엔 지방의 소도시 아이제나흐에서 바이올린 악사인 요한 암브로지우스 바흐의 아들로 태어났다. 정확한 출생일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3월 23일에 성 게오르크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에게서 바이올린을, 사촌 큰아버지한테서 오르간을 배우고, 한편으로는 교회 부속학교에도 다니면서 성가대원으로서도 활약하였다. 9세에 양친을 잃은 바흐는 [[요한 파헬벨]]의 제자이자 큰형인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1671-1721)와 함께 살게 되어 오르돌프 시로 옮겨가 형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작곡 기초를 배웠다. 그러다 형이 부양할 가족이 늘어나 생활고에 시달리게 되자, 15세 때 북부[[독일]]의 뤼네부르크의 고등학교에 장학생으로 들어가, 유명한 오르가니스트 겸 작곡가인 게오르크 뵘(Georg Bhm, 1661~1733)과 얀 아담스 라인켄(Jan Adams Reinken, 1623-1722)을 알게 되어 큰 영향을 받았다.바흐는 18살에 학교를 졸업하게 되고 졸업을 한 뒤에 생활고에 시달리게 되어 1703년 4월부터 바이마르 궁정의 악단의 바이올리니스트로 일을 하게 되었고, 그 해 8월에 아른슈타트 교회의 오르가니스트로 일하게 되었다.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면서 작곡가 디트리히 북스테후데(1637-1777)의 작품과 오르간 곡에 많은 영감을 얻고 영향을 받아 바흐의 개성과 기초 양식을 굳히게 되었다. 그러던 중 바흐의 감독자 입장인 성직회의(聖職會議)와 자주 충돌하게 되어 아르슈타트의 교회 오르가니스트를 그만두고 같은 [[독일]]의 도시인 뮐하우젠으로 가게 된다.
+
여러분들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지역인‘고창’이라는 지역을 알고 있는가요? 전라북도 고창군은 전라북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선운산이라는 산으로 유명한 지역입니다. 이곳에 위치한 선운사에는 ‘상사화(相思花)’ 즉 사랑의 고통을 상징하는 꽃인 꽃무릇이 절경을 이루는 장소로 유명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선운사는 많은 문학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던 서정주 시인이 살던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속하는 고창 고인돌유적이 있으며, 우리나라 읍성 중에서 보존상태가 가장 좋은 축에 속하여 산책코스로도 이용될 정도로 가치가 높은 고창읍성 또한 이곳에 위치하지요. 더불어 지역은 복분자와 장어가 특산물로, 정기의 상징인 음식들이 특산물인 만큼 지역 자체가 굉장히 힘차고 활력이 도는 지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제가 왜 고창에 대하여 물어보고 설명을 하였을까요? 바로 필자의 어머니 ‘신숙자’씨가 태어나고 자란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필자의 어머니이신 신숙자씨는 고창 중에서 선운사를 끼고 있는 아름다운 지역인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의 용흥부락이라는 조그마한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뮐 하우젠에 가서 교회 음악중 한 종류인 [[칸타타]]라는 장르에 힘을 쓰게 되고 제 71번, 제 106번, 제 131번 등 유명한 명작을 작곡하게 되었고 이때 바흐의 가장 유명한 곡중 하나인 <토카타와 푸가> (BWV 565)를 작곡하게 된다. 그러던 중 뮐하우젠에서 루터파 내부의 정통파와 경건파 사이의 분쟁에 휘말리게 되어 1년만에 떠나게 된다. 이후 바흐는 바이마르 궁정에 다시 들어가게 되는데 이번에는 바이올리니스트가 아니라 오르가니스트로 들어가게 된다. 1708년도부터 1717년도 사이에는 바흐의 '오르간곡의 시대'라고도 불리며, 현존하는 오르간곡의 대부분이 이 시대에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타의 불허를 추종하는 위대한 오르간 연주자로서 거듭나게 되어 그의 이름이 [[독일]] 전역에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1714년에는 궁정악단의 악장으로 부임하게 되어, 매달 1곡씩 교회 [[칸타타]]라는 장를 작곡을 하게 되었다. 바이마르 궁정에서는 기존에는 없었던 비발디와 같은 새로운 바로크 시대 음악가들의 협주곡이 즐겨 연주되었는데, 바흐는 이러한 곡들을 연구를 한 끝에 이탈리아 협주곡의 형식과 기법(技法)을 개발하게 되고 이것은 바흐의 그 후의 작품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717년 8월, 바흐는 쾨텐 궁정에 악장으로서 취임하였다. 궁정악장은 당시의 독일에서 음악가가 꿈꿀 수 있는 가장 높은 사회적 지위이며, 음악에 대하여 관심이 많고 젊은 영주도 바흐의 재능을 높이 사서, 이례적(異例的)인 대우를 제공하였다. 쾨텐의 궁정은 칼뱅주의여서 교회음악을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바흐의 주된 직무는 귀족이나 영주들을 위한 세속적인 합주곡이나 실내악을 작곡하는 업무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6곡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BWV1046-1051),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BWV1001-1006), <무반주 첼로 모음곡>(BWV1007-1012)와 같은 곡을 작곡하였고 바흐의 세속적인 성격을 띄고 있는 기악곡의 대부분이 시대에 작곡이 되게 되었다. 정신적으로도 물질적으로도 풍성한 생활을 반영하는 것처럼 그것들은 밝고 즐거운 표현으로 넘쳐 있었다.
 
 
 
 
 
1707년, 바흐는 먼 친척의 딸 마리아 바르바라와 결혼하여 두 사람 사이에 7명의 자녀를 슬하에 두었는데, 쾨텐 시대인 1720년에 이 부인이 병으로 사망하게 된다. 다음해인 1721년, 그는 16세 연하인 소프라노 테너 안나 막달레나와 재혼하고, 13명의 아이를 더 가지게 된다. 총 20명의 자녀중에서 절반가까이는 어렸을 때에 사망하였는데, 나머지 자녀들은 모두 선천적으로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장남인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1710-1784), 차남인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막내아들 요한 크리스티안(1735-1782)은 음악사(史)에 이름을 남기는 뛰어난 작곡가가 되었다. 쾨텐 시대에는 이들 아이들이나 또는 바흐의 명성을 듣고 찾아 모여든 제자들을 위하여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권(BWV846-869), <인벤션>(BWV772-801)을 비롯한 수많은 클라비어곡도 작곡하였다. 바흐는 좋은 환경 속에서 쾨텐 영구거주를 한때 결심했었으나 1723년 여러 사유로 인하여 라이프치히로 떠나게 되었다.
 
 
 
 
 
[[독일]] 바로크의 핵심 작곡가 요한 쿠나우(Johann Kuhnau 1660-1722)의 후임으로 토마스 교회의 칸토르 합창장을 맡게 되었다. 1750년에 사망할 때까지의 27년간, 곳에 머무르며 교회음악의 최고 책임자로서, 또 라이프치히 음악감독으로서 열정적인 활동을 계속 이어나갔다. 이 시대의 창작물의 대표적인 예는 <마태오 수난곡>(BWV244), <나단조 미사>(BWV232),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BWV248), 약 160곡의 교회 칸타타 등의 교회 음악이지만,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그 대부분은 라이프치히 시대의 최초의 수년간에 작곡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자기의 이상을 굳건히 주장하고 수호했던 바흐는, 시의 당국자나 교회의 책임자들과 자주 충돌하였으며, 교회음악이라는 장르에 점점 열정이 식어 의지를 잃은 것 같이 생각된다. 1724년 이후, 교회음악의 작곡은 갑작스럽게 수요가 줄게 되고, 그에 반하여 세속 칸타타나 세속적 기악곡이 주된 장르를 맡게 된다. 또한 1736년경부터는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전에 작곡한 것을 수정하기도 하고 몇 편의 작품을 곡집 형태로 정리하여 묶기도 하였으며, 혹은 곡집을 적극적으로 출판하기도 하였다. 클라비어를 위한 <파르티타>(BWV825-830), <이탈리아 협주곡>(BWV971), <골드베르크 변주곡>(BWV988) 등이 그 예시다. 1747년 5월, 바흐는 포츠담의 궁정으로 [[프리드리히 대왕]]을 방문하고, 왕이 제출한 주제를 바탕으로 즉흥연주의 묘기를 보였다. 이것이 동기가 되어 작곡한 것이 대왕에게 헌정한 <음악적 헌정>(BWV1079)이다. 1748년부터 다음해에 걸쳐 바흐의 최후의 걸작인 <푸가 기법>(BWV 1080)의 작곡이 진행되었으나, 1749년 5월 뇌일혈로 쓰러진 후 앞을 보지 못하게 되어<푸가 기법>의 완성을 보지 못하고, 1750년 7월 28일, 사망하게 된다.
 
  
 
===='''주요 작품목록'''====
 
===='''주요 작품목록'''====

2020년 6월 22일 (월) 14:26 판

전국의 모든 어머님께 대한 감사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머님께 무한한 사랑을 받으며 성장해나간다. 이제 갓 태어난 신생아부터 중장년층에 이르기까지 어머님들의 눈에는 자식들이 아무리 컸다고 하더라도 한없이 여리고 약한 자식으로 보일 뿐이다. 이러한 자식에 대하여 아낌없이 사랑을 베푸시는 모습에 우리는 감사함을 느끼지만, 때로는 당연하다는 듯 여기고는 한다. 이렇게 어머님들이 베푸는 아가페적 사랑은 매우 고귀하고 존중받아야 마땅한 사랑이지만, 이러한 대가 없는 사랑에 무뎌지는 경우를 보고 있으면 마음 한켠이 아리기도 한다. 당연한듯 무한한 사랑을 주시는 어머니도 누군가의 어여쁜 딸이었거나 진행형으로 누군가의 딸이기도 하다. 쉽지 않은 이러한 사랑을 베풀어 주시는 모든 어머님들께 감사의 말로 이 글을 시작하고자 한다.

박상현의 어머니이자 누군가의 딸인 '신숙자'




미안하다...아빠, 엄마도 아빠 엄마가 처음이잖니, 응답하라 1988 성동일 대사 中 


신숙자의 고향

여러분들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지역인‘고창’이라는 지역을 알고 있는가요? 전라북도 고창군은 전라북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선운산이라는 산으로 유명한 지역입니다. 이곳에 위치한 선운사에는 ‘상사화(相思花)’ 즉 사랑의 고통을 상징하는 꽃인 꽃무릇이 절경을 이루는 장소로 유명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선운사는 많은 문학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던 서정주 시인이 살던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속하는 고창 고인돌유적이 있으며, 우리나라 읍성 중에서 보존상태가 가장 좋은 축에 속하여 산책코스로도 이용될 정도로 가치가 높은 고창읍성 또한 이곳에 위치하지요. 더불어 이 지역은 복분자와 장어가 특산물로, 정기의 상징인 음식들이 특산물인 만큼 지역 자체가 굉장히 힘차고 활력이 도는 지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제가 왜 고창에 대하여 물어보고 설명을 하였을까요? 바로 필자의 어머니 ‘신숙자’씨가 태어나고 자란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필자의 어머니이신 신숙자씨는 고창 중에서 선운사를 끼고 있는 아름다운 지역인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의 용흥부락이라는 조그마한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주요 작품목록

바흐의 작품은 타 음악가의 작품과는 다르게 BWV라는 호칭이 따라다닌다. 타 음악가들의 작품에는 붙어있지 않는 이러한 표현이 낯설고 신기할텐데, BWV란 바흐 작품 목록이라는 뜻의 독일어인 Bach Werke Verzeichnis의 줄임말로 볼프강 슈미더가 붙인 바흐의 작품들의 번호이다. 바흐의 BWV는 칸타타로 시작하는 1번부터 1126번까지 존재한다. 바흐의 작품은 BWV가 존재하므로 악장이라는 표현은 잘 쓰지 않으며 파트1이나 BWV00/0 이런식으로 붙인다. 예를들어 바흐 칸타타 35번 파트1은 35번 1악장이 아닌 BWV 35/1로 나타낸다. 이렇게 쓰는 이유는 2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첫번째로는 바흐가 작품번호를 매기지 않아서 정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두번째로는 바흐의 곡중 현존하는 곡들은 1번부터 1126번까지 BWV가 부여되었는데 일일히 종류별로 나눠 분류하기엔 양이 방대하기 때문이다.


신숙자의 유년기 시절

푸가는 하나의 주제(때로는 2개 혹은 3개의 주제. 이 경우에는 2중푸가 혹은 3중푸가라고 한다)가 각 성부 혹은 각 악기에 장기적이며 규율적인 모방반복을 행하면서 특정된 조적(調的) 법칙을 지켜서 이루어지는 악곡이다.

이 푸가는 15세기경부터 시작이 되었지만 제대로된 체계화를 갖추지 못한 장르로 이러한 푸가를 바흐가 대위법을 통하여 형식의 틀을 다지게 되면서 음악의 체계가 과학적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형식을 만들게 된 바흐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후대에서는 바흐를 '음악의 아버지'라고 부르게 된다.

영상 자료

Bach <toccata and fugue> (BWV 565) / 바흐 <토카타와 푸가> (바흐 작품번호 565번) / CC BY SA by Top Classical Music

음원 자료

https://freesound.org/s/135883/ Bach fugue G minor/ 바흐 푸가 사단조 / CC BY by roby_caso
https://archive.org/details/HaroldSamuelBWV847#donate_dropdown Bach - Prelude & Fugue No. 2 in C Minor / 바흐 2번 전주곡 & 푸가 다단조 / public domain
신숙자의 학창시절

17세기 초엽에서 18세기 중엽까지의 바로크시대에 가장 성행했던 성악곡의 형식으로 바흐가 만든 대부분의 교회 음악이 이에 해당한다.

현재 소실되지 않고 남아있는 바흐의 칸타타는 BWV1번부터 BWV224번까지 총 224개의 칸타타가 있으며 이 중에서 200번까지는 교회 음악인 칸타타이지만 201~224번까지는 교회음악에 회의감을 느끼고 만든 세속 칸타타이다.

영상 자료

Bach cantata 35 (BWV35) / 바흐 칸타타 35번 파트1(바흐 작품번호 35번) / CC BY SA by Classical Inspiration

Bach cantata 127 (BWV127) / 바흐 칸타타 127번 (바흐 작품번호 127번) / CC BY SA by History of Music

음원 자료

https://archive.org/details/JohannSebastianBachCantata196/5-01Sinfonia.mp3 Bach cantata (BWV196) / 바흐 칸타타 (바흐 작품 번호 196) / public domain
신숙자의 20대 시절

인벤션(Invention)이란 악곡의 형식으로, 다성음악으로 된 즉흥곡이다 바흐는 푸가를 대위법을 사용하여 음악의 토대를 다진 것 처럼 인벤션을 통하여 화성학을 다졌다. 이러한 바흐의 모습을 보고 베토벤은 '바흐는 화성의 왕이다'라고 지칭하였다.

영상 자료

Bach Invention No.4 In D Minor (BWV775) / 바흐 인벤션 4번 라단조 (바흐 작품번호 775번) / CC BY SA by Pianow

음원 자료

https://archive.org/details/BachInventionNo.1 Bach Invention No.1 In C Major (BWV772) / 바흐 인벤션 1번 다장조 (바흐 작품번호 772번) / public domain
https://archive.org/details/BachInvention3  Bach Invention No.3 In D Major (BWV774) / 바흐 인벤션 2번 라장조 (바흐 작품번호 774번) / public domain

신숙자의 30대 시절

이후 현재인 40대 까지의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