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숙자의 좌충우돌 생애기 - 엄마도 사람이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숙자의 고향)
12번째 줄: 12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69d7e4; color:#ffffff; font-size:100%; text-align:center;" | '''신숙자'''
 
! colspan="2" style="background:#69d7e4; color:#ffffff; font-size:100%; text-align:center;" | '''신숙자'''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신숙자2.jpg|250px|]] '''<br/>[https://www.europeana.eu/portal/en/record/15503/FS_PV315415aalt.html?q=Johann+Sebastian+Bach#dcId=1574671680485&p=1 europeana],<br/> CC BY-NC-SA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신숙자2.jpg|250px|]]
by anonym (Fotograf/Urheber)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직업''' ||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직업''' || 전업주부
 
|-  
 
|-  
 
| style="text-align:center;"|'''출생''' ||
 
| style="text-align:center;"|'''출생''' ||
35번째 줄: 34번째 줄:
 
여러분들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지역인‘고창’이라는 지역을 알고 있는가요? 전라북도 고창군은 전라북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선운산이라는 산으로 유명한 지역입니다. 이곳에 위치한 선운사에는 ‘상사화(相思花)’ 즉 사랑의 고통을 상징하는 꽃인 꽃무릇이 절경을 이루는 장소로 유명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선운사는 많은 문학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던 서정주 시인이 살던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속하는 고창 고인돌유적이 있으며, 우리나라 읍성 중에서 보존상태가 가장 좋은 축에 속하여 산책코스로도 이용될 정도로 가치가 높은 고창읍성 또한 이곳에 위치하지요. 더불어 이 지역은 복분자와 장어가 특산물로, 정기의 상징인 음식들이 특산물인 만큼 지역 자체가 굉장히 힘차고 활력이 도는 지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제가 왜 고창에 대하여 물어보고 설명을 하였을까요? 바로 필자의 어머니 ‘신숙자’씨가 태어나고 자란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필자의 어머니이신 신숙자씨는 고창 중에서 선운사를 끼고 있는 아름다운 지역인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의 용흥부락이라는 조그마한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여러분들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지역인‘고창’이라는 지역을 알고 있는가요? 전라북도 고창군은 전라북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선운산이라는 산으로 유명한 지역입니다. 이곳에 위치한 선운사에는 ‘상사화(相思花)’ 즉 사랑의 고통을 상징하는 꽃인 꽃무릇이 절경을 이루는 장소로 유명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선운사는 많은 문학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던 서정주 시인이 살던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속하는 고창 고인돌유적이 있으며, 우리나라 읍성 중에서 보존상태가 가장 좋은 축에 속하여 산책코스로도 이용될 정도로 가치가 높은 고창읍성 또한 이곳에 위치하지요. 더불어 이 지역은 복분자와 장어가 특산물로, 정기의 상징인 음식들이 특산물인 만큼 지역 자체가 굉장히 힘차고 활력이 도는 지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제가 왜 고창에 대하여 물어보고 설명을 하였을까요? 바로 필자의 어머니 ‘신숙자’씨가 태어나고 자란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필자의 어머니이신 신숙자씨는 고창 중에서 선운사를 끼고 있는 아름다운 지역인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의 용흥부락이라는 조그마한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주요 작품목록'''====
 
바흐의 작품은 타 음악가의 작품과는 다르게 BWV라는 호칭이 따라다닌다. 타 음악가들의 작품에는 붙어있지 않는 이러한 표현이 낯설고 신기할텐데, BWV란 바흐 작품 목록이라는 뜻의 독일어인 Bach Werke Verzeichnis의 줄임말로 볼프강 슈미더가 붙인 바흐의 작품들의 번호이다. 바흐의 BWV는 칸타타로 시작하는 1번부터 1126번까지 존재한다. 바흐의 작품은 BWV가 존재하므로 악장이라는 표현은 잘 쓰지 않으며 파트1이나 BWV00/0 이런식으로 붙인다. 예를들어 바흐 칸타타 35번 파트1은 35번 1악장이 아닌 BWV 35/1로 나타낸다. 이렇게 쓰는 이유는 2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첫번째로는 바흐가 작품번호를 매기지 않아서 정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두번째로는 바흐의 곡중 현존하는 곡들은 1번부터 1126번까지 BWV가 부여되었는데 일일히 종류별로 나눠 분류하기엔 양이 방대하기 때문이다.
 
  
  

2020년 6월 22일 (월) 14:59 판

전국의 모든 어머님께 대한 감사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머님께 무한한 사랑을 받으며 성장해나간다. 이제 갓 태어난 신생아부터 중장년층에 이르기까지 어머님들의 눈에는 자식들이 아무리 컸다고 하더라도 한없이 여리고 약한 자식으로 보일 뿐이다. 이러한 자식에 대하여 아낌없이 사랑을 베푸시는 모습에 우리는 감사함을 느끼지만, 때로는 당연하다는 듯 여기고는 한다. 이렇게 어머님들이 베푸는 아가페적 사랑은 매우 고귀하고 존중받아야 마땅한 사랑이지만, 이러한 대가 없는 사랑에 무뎌지는 경우를 보고 있으면 마음 한켠이 아리기도 한다. 당연한듯 무한한 사랑을 주시는 어머니도 누군가의 어여쁜 딸이었거나 진행형으로 누군가의 딸이기도 하다. 쉽지 않은 이러한 사랑을 베풀어 주시는 모든 어머님들께 감사의 말로 이 글을 시작하고자 한다.

박상현의 어머니이자 누군가의 딸인 '신숙자'




미안하다...아빠, 엄마도 아빠 엄마가 처음이잖니, 응답하라 1988 성동일 대사 中 


신숙자의 고향

여러분들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지역인‘고창’이라는 지역을 알고 있는가요? 전라북도 고창군은 전라북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선운산이라는 산으로 유명한 지역입니다. 이곳에 위치한 선운사에는 ‘상사화(相思花)’ 즉 사랑의 고통을 상징하는 꽃인 꽃무릇이 절경을 이루는 장소로 유명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선운사는 많은 문학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던 서정주 시인이 살던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속하는 고창 고인돌유적이 있으며, 우리나라 읍성 중에서 보존상태가 가장 좋은 축에 속하여 산책코스로도 이용될 정도로 가치가 높은 고창읍성 또한 이곳에 위치하지요. 더불어 이 지역은 복분자와 장어가 특산물로, 정기의 상징인 음식들이 특산물인 만큼 지역 자체가 굉장히 힘차고 활력이 도는 지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제가 왜 고창에 대하여 물어보고 설명을 하였을까요? 바로 필자의 어머니 ‘신숙자’씨가 태어나고 자란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필자의 어머니이신 신숙자씨는 고창 중에서 선운사를 끼고 있는 아름다운 지역인 고창군 부안면 용산리의 용흥부락이라는 조그마한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신숙자의 유년기 시절

푸가는 하나의 주제(때로는 2개 혹은 3개의 주제. 이 경우에는 2중푸가 혹은 3중푸가라고 한다)가 각 성부 혹은 각 악기에 장기적이며 규율적인 모방반복을 행하면서 특정된 조적(調的) 법칙을 지켜서 이루어지는 악곡이다.

이 푸가는 15세기경부터 시작이 되었지만 제대로된 체계화를 갖추지 못한 장르로 이러한 푸가를 바흐가 대위법을 통하여 형식의 틀을 다지게 되면서 음악의 체계가 과학적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형식을 만들게 된 바흐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후대에서는 바흐를 '음악의 아버지'라고 부르게 된다.

영상 자료

Bach <toccata and fugue> (BWV 565) / 바흐 <토카타와 푸가> (바흐 작품번호 565번) / CC BY SA by Top Classical Music

음원 자료

https://freesound.org/s/135883/ Bach fugue G minor/ 바흐 푸가 사단조 / CC BY by roby_caso
https://archive.org/details/HaroldSamuelBWV847#donate_dropdown Bach - Prelude & Fugue No. 2 in C Minor / 바흐 2번 전주곡 & 푸가 다단조 / public domain
신숙자의 학창시절

17세기 초엽에서 18세기 중엽까지의 바로크시대에 가장 성행했던 성악곡의 형식으로 바흐가 만든 대부분의 교회 음악이 이에 해당한다.

현재 소실되지 않고 남아있는 바흐의 칸타타는 BWV1번부터 BWV224번까지 총 224개의 칸타타가 있으며 이 중에서 200번까지는 교회 음악인 칸타타이지만 201~224번까지는 교회음악에 회의감을 느끼고 만든 세속 칸타타이다.

영상 자료

Bach cantata 35 (BWV35) / 바흐 칸타타 35번 파트1(바흐 작품번호 35번) / CC BY SA by Classical Inspiration

Bach cantata 127 (BWV127) / 바흐 칸타타 127번 (바흐 작품번호 127번) / CC BY SA by History of Music

음원 자료

https://archive.org/details/JohannSebastianBachCantata196/5-01Sinfonia.mp3 Bach cantata (BWV196) / 바흐 칸타타 (바흐 작품 번호 196) / public domain
신숙자의 20대 시절

인벤션(Invention)이란 악곡의 형식으로, 다성음악으로 된 즉흥곡이다 바흐는 푸가를 대위법을 사용하여 음악의 토대를 다진 것 처럼 인벤션을 통하여 화성학을 다졌다. 이러한 바흐의 모습을 보고 베토벤은 '바흐는 화성의 왕이다'라고 지칭하였다.

영상 자료

Bach Invention No.4 In D Minor (BWV775) / 바흐 인벤션 4번 라단조 (바흐 작품번호 775번) / CC BY SA by Pianow

음원 자료

https://archive.org/details/BachInventionNo.1 Bach Invention No.1 In C Major (BWV772) / 바흐 인벤션 1번 다장조 (바흐 작품번호 772번) / public domain
https://archive.org/details/BachInvention3  Bach Invention No.3 In D Major (BWV774) / 바흐 인벤션 2번 라장조 (바흐 작품번호 774번) / public domain

신숙자의 30대 시절

이후 현재인 40대 까지의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