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고리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윤나현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6월 24일 (일) 03:02 판 (정의)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알레고리

정의

알레고리는 '무언가 다른 것을 말하기(other speaking)'의 의미를 지닌 그리스어 알레고리아(allegoria)를 어원으로 한다. 우의(寓意), 풍유(諷諭)로 불리기도 하는 알레고리는 인물, 행위, 배경 등이 표면적 의미와 이면적 의미를 모두 가지도록 고안된 이야기이다. 예를 들면 『이솝우화』와 같은 동물 우화는 일차적으로는 동물 세계를 보여주지만,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인간 세계에 대한 풍자와 교훈을 담고 있다.

또한 알레고리는 흔히 나타내고자 하는 원관념과 그것을 표현한 보조관념의 관계가 1:1로 대응되는 수사법이라고 정의되기도 한다. 알레고리에는 인간사회의 한 단면을 극적으로 제시하여 하나의 교훈적 주제를 표출하는 수많은 우화와 비유담이 포함된다. 알레고리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사고, 행위, 감정에 관계된 술어에 의존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인격성을 띠게 된다. 그리고 의인화와 함께 의동물화도 빈번하게 활용된다. 하지만 수사학상의 의인화가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것이라면, 알레고리로서의 의인화는 계속적인 동시에 총체적이라는 데 차이가 있다. 때문에 대부분의 문학용어사전들이 알레고리를 ‘연장된(extended)’ ‘혼합된(mixed) 메타포’라고 부르기도 한다.

알레고리는 역사·정치적 알레고리와 관념의 알레고리,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역사·정치적 알레고리는 작중 인물, 그의 행위가 실제의 역사적 인물 또는 사건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하며, 관념의 알레고리는 작중 인물의 추상적 개념, 사상 등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한다.

알레고리의 용법

알레고리의 개념이나 용법은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걸쳐있으며, 문학상의 하나의 장르로 바라 보기보다는, 문학작품이 지닌 특성, 즉 비유적, 암시적, 상징적, 풍자적인 구성법이나 표현법으로서 파악해야 한다.

알레고리를 포함한 작품은 일견 고정된 유형을 지니고 교훈적이라 현대 작가들은 사용을 꺼리는 경우도 존재한다. 하지만 정치나 종교를 주제로로 할 때에는 여전히 유효한 형식이며 현대 문학에서도 다양한 작품들이 알레고리를 사용하고 있다.

알레고리의 기원과 전개

알레고리의 발상이나 방법의 기원은 매우 오래되었다. 그리스ㆍ로마신화와 성서 등 대부분을 알레고리로 해석할 수 있다.

신 중심이던 중세시대엔 그리스도교 도덕에 관한 알레고리가 주를 이루었다. 중세에 특히 왕성해서 사랑, 증오, 질투, 방만, 자비, 선악 등 여러 가지 추상개념이 의인화되어, 문학작품에 등장한다. 일견 단순ㆍ소박하다고도 생각되는 이 방법에 의해서 중세의 시인, 철학자들은 인간의 정신, 심리, 정념의 세계와 인간의 윤리ㆍ종교적 과제를 탐구, 해결하고자 했다.

중세의 알레고리에서 그리스도교와 어깨를 겨루는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그리스도교가 아닌 이교의 신이다. 이교의 신이 망각되고, 죽은 것이 아니라 우의적 해석을 통해서 올림포스 신들의 모험의 배후에 있는 숨겨진 교훈을 끌어내려고 하였다.

문화 최성기 르네상스 시대에 와서는 기교주의와 함께 알레고리 표현이 꽃피웠다. 알레고리는 또한 근대에서 사회적ㆍ정치적 풍자방법으로서도 이용되었다. 이후 약 3세기 정도 흥하던 알레고리는 18세기 이후, 점차 침체하는데, 프랑스에서는 혁명기, 제정기에 특유의 우의가 생겨났다. 19세기 말의 상징주의 예술이 발달함에 따라 알레고리의 표현도 점차 변형되어, 예술가가 창작한 신화 속에서 살아남았다. 20세기가 되어 중세 이후의 알레고리는 붕괴하였고, 창작주의와 상징주의가 혼합된 형이상학적인 세계로 나아간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알레고리 우의 알레고리는 우의와 관련이 있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알레고리 [Allegory] (문학비평용어사전, 2006. 1. 30., 국학자료원)

[네이버 지식백과] 알레고리 [allegory]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한국사전연구사)

[네이버 지식백과] 알레고리 [allegory] (두산백과)


작성자 및 기여자

청바지 김새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