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문인보국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상세내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조선문인보국회==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설립자====
+
|-
이광수, 김동환, 김억, 정인섭, 유진오, 이태준, 최재서, 박태원
+
! colspan="2" style="background:#aaaaaa;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조선문인보국회'''
==== 발기인====
+
|-
이광수·김동환·김억·정인섭·유진오·이태준·최재서·박태원·김문집 등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구분''' || 친일문학단체
====설립목적====
+
|-
황도문학 수립을 목적으로 하는 친일문학단체의 통합
+
| style="text-align:center;"|'''설립일''' || 1943년 04월 17일
====상세내용====
+
|-
일제강점기 말인 1943년 4월 17일 부민관 대강당에서 결성하였다. 기존의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조선하이쿠작가협회[朝鮮俳句作家協會], 조선센류협회[朝鮮川柳協會], 국민시가연맹(國民詩歌聯盟) 등 4개 단체의 해산에 따라 조직되어 1945년 8월 15일까지 존속하였다. 한국에서 일본의 황도문학을 수립하고 문학자의 총력을 태평양전쟁에 집결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회장에 야나베[矢鍋永三郞], 이사장 카라시마[辛島驍], 상무이사 테라다[寺田瑛], 사토[佐藤武雄], 유진오(兪鎭午), 테라모토[寺本喜一], 이사 이광수(李光洙), 유치진(柳致眞), 최재서(崔載瑞), 사이토[齋藤淸衛], 니시무라[西村公鳳], 사무국장 테라다[寺田瑛], 총무국장 박영희(朴英熙), 출판부장 기쿠치[菊池武夫], 사업부장 토키우[道久良], 심사부장 히로야마[白山靑樹], 소설·희곡부 회장 [[유치진]], 평론·수필부 회장 최재서(崔載瑞), 시부 회장 주요한(朱耀翰), 단가부 회장 히로세[百瀨千尋], 하이쿠부 회장 야마다[山田凡二], 센류부 회장 테라다[寺田五柳子] 등으로 구성되었다. 1943년 4월 28일부터 5월 8일까지 종군작가강연회, 1943년 4월 29일 일본작가환영간담회, 1943년 5월 4일부터 5월 9일까지 문예전, 1943년 5월 26일 내선작가교환회, 1943년 5월 27일 해군을 찬양하는 시 낭독회, 1943년 5월 30일 작가들의 조선군 보도연습 훈련, 1943년 11월 5일 출진학도격려대회 등의 친일활동을 펼쳤다.
+
| style="text-align:center;"|'''설립목적''' || 황도문학 수립을 목적으로 하는 친일문학단체의 통합
 
+
|-
==주요 활동==
+
| style="text-align:center;"|'''주요활동/업무''' || 친일문학 강연회, 찬양시 낭독회, 출진학도 격려대회
1943년 4월 : 단체 창립
+
|-
 
+
|}
1943년 5원 : 조선문인보국회 결성문예전 개최
+
==소개==  
 
+
일본 제국주의 황도문학(皇道文學)의 수립을 목적으로 결성한 반민족적 친일문학단체
1943년 5월 : '해군을 찬양하는 시낭독회' 개최
 
 
 
1943년 8월 : 징병제 실시 감사를 위한 '낭독과 연극의 밤' 개최
 
 
 
1943년 10월 : 결전 소설과 희곡 현상공모
 
 
 
1943년 11월 : 학도병 출진을 격려하는 강연대회 개최
 
 
 
1944년 4월 : 증산 현장에 소속 작가 파견
 
  
1944년 6월 : '결전태세 문학자 총궐기대회' 개최
+
==설립목적==
 +
한국에서 일본의 황도문학을 수립하고 문학자의 총력을 태평양전쟁에 집결하는 것
  
1944년 8월 : '적국 항복 문인대강연회' 개최
+
==활동==
 +
기존의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조선하이쿠작가협회[朝鮮俳句作家協會], 조선센류협회[朝鮮川柳協會], 국민시가연맹(國民詩歌聯盟) 등 4개 단체의 해산에 따라 1943년 4월 17일 조직되어 1945년 8월 15일까지 존속하였다.<br/>
 +
1943년 4월 28일~ 5월 8일: 종군작가강연회<br/>
 +
1943년 4월 29일: 일본작가환영간담회<br/>
 +
1943년 5월 4일~ 5월 9일: 문예전<br/>
 +
1943년 5월 26일: 내선작가교환회<br/>
 +
1943년 5월 27일: 해군을 찬양하는 시 낭독회<br/>
 +
1943년 5월 30일: 작가들의 조선군 보도연습 훈련<br/>
 +
1943년 11월 5일: 출진학도격려대회
  
1944년 11월 : 국민총력조선연맹이 파견하는 위문대에 소속 작가 4명 참가 결정
+
==구성 인물==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48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left"  
1945년 5월 : '낭독 문학의 밤' 개최
 
 
 
1945년 8월 : 조선국민의용대 진발 기념 '문예와 음악의 밤' 개최
 
 
 
==기능과 역할==
 
이 단체는 대표급 문인과 작가들이 총동원되다시피 하여 온갖 친일문필과 행동으로 내선일체와 전쟁지원에 참여하였다. 그러다 1943년 4월 17일조선하이쿠작가협회(朝鮮俳句作家協會), 조선센류협회(朝鮮川柳協會), 국민시가연맹(國民詩歌聯盟) 등의 단체와 더불어 발전적으로 해체되고 조선문인보국회를 강화해 결성하였다.이 단체는 ‘조선에 최고의 황도문학(皇道文學)을 수립한다’는 구호 아래 1천여 명의 문학자들이 모여 결성식을 갖고 선언문을 채택하였다. 조선문인보국회는 패전 때까지 전 조선은 물론 일본·중국·남방 등 각 전지(戰地)를 순회하면서 일본군을 위문격려하고 각종 문학연설회를 열어 징병과 징용, 정신대 동원에 앞장섰다.
 
 
 
==연원 및 변천==
 
본래 1939년 10월 29일 부민관에서 250여 명의 문인이 모여 결성하였다. 발기인에는 이광수·김동환·김억·정인섭·유진오·이태준·최재서·박태원·김문집 등이 참여하였다. 회장에 추대된 이광수는 취임사에서 “이번 이 협회의 창립은 새로운 국민문학의 건설과 내선일체의 구현에 있다. 인류는 유사 이래 국민생활을 떠나 생활한 일이 없고, 문학도 국민생활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다. 반도문단의 새로운 건설은 내선일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조선인측 간사에는 김동환·정인섭·주요한·이기영·박영희·김문집이 선임되었다. 이 단체는 1939년 11월 8일 첫 사업으로 회원들의 자작 위문문을 넣은 위문대 모집과 문예의 밤을 개최하는 데 합의하였다. 1939년 12월 21일 부민관 대강당에서 문학인의 밤 행사를 열었다. 또 1940년 2월 11일 이른바 기원절에 즈음하여 평양에서 문예대강연회를 개최하였다. 이와 같은 행사에는 일본인 문학인들도 다수 참석하였다. 조선문인협회는 전쟁 말기가 되자 더욱 적극적인 활동에 나서 전조선 순회강연회를 개최하고, 부여신궁 창건에 대표를 파견하여 조영공사(造營工事)를 하였다. 특히 1941년 12월 13일 대미·대영 선전포고(12.8)에 따르는 총후국민의 분기를 촉구하는 ‘결전하는 문화대강연회’를 부민관에서 개최하였다.
 
==참고사진==
 
[[파일:통일3.png]]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문인보국회 [朝鮮文人報國會] (두산백과)
 
 
 
==조선문인보국회와 유치진==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유치진]] || [[조선문인보국회]] || 소속이다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aaaaaa;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구성인물'''
 +
|-
 +
| style="width:150px; text-align:center;" |'''회장''' || 야나베(矢鍋永三郞)
 +
|-
 +
| style="text-align:center;"|'''이사장''' || 카라시마(辛島驍)
 +
|-
 +
| style="text-align:center;"|'''상무이사''' || 테라다(寺田瑛), 사토(佐藤武雄), 유진오(兪鎭午), 테라모토(寺本喜一)
 +
|-
 +
| style="text-align:center;"|'''이사''' || [[이광수]](李光洙), [[유치진]](柳致眞), 최재서(崔載瑞), 사이토(齋藤淸衛), 니시무라(西村公鳳)
 +
|-
 +
| style="text-align:center;"|'''사무국장''' || 테라다(寺田瑛), 총무국장 박영희(朴英熙)
 +
|-
 +
| style="text-align:center;"|'''출판부장''' || 기쿠치(菊池武夫)
 +
|-
 +
| style="text-align:center;"|'''사업부장''' || 토키우(道久良)
 +
|-
 +
| style="text-align:center;"|'''심사부장''' || 히로야마(白山靑樹)
 +
|-
 +
| style="text-align:center;"|'''소설·희곡부 회장''' || [[유치진]]
 +
|-
 +
| style="text-align:center;"|'''평론·수필부 회장''' || 최재서(崔載瑞)
 +
|-
 +
| style="text-align:center;"|'''시부 회장''' || 주요한(朱耀翰)
 +
|-
 +
| style="text-align:center;"|'''단가부 회장''' || 히로세(百瀨千尋)
 +
|-
 +
| style="text-align:center;"|'''하이쿠부 회장''' || 야마다(山田凡二)
 +
|-
 +
| style="text-align:center;"|'''센류부 회장''' || 테라다(寺田五柳子)
 +
|-
 
|}
 
|}
 +
<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
 +
 +
==네트워크 그래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 />
 +
<iframe width="900" height="600" src="https://hwiki.eumstory.co.kr/work/A/2111098/jo/jo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1806&cid=40942&categoryId=34645 두산백과]
  
[[분류:유치진]][[분류:안병렬]]
+
[[분류:단체]]
 +
[[분류:친일단체]]
 +
[[분류:일제강점기 단체]]
 +
[[분류:문학단체]]
 +
[[분류:1943년 설립]]

2022년 6월 15일 (수) 21:50 기준 최신판

소개

일본 제국주의 황도문학(皇道文學)의 수립을 목적으로 결성한 반민족적 친일문학단체

설립목적

한국에서 일본의 황도문학을 수립하고 문학자의 총력을 태평양전쟁에 집결하는 것

활동

기존의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조선하이쿠작가협회[朝鮮俳句作家協會], 조선센류협회[朝鮮川柳協會], 국민시가연맹(國民詩歌聯盟) 등 4개 단체의 해산에 따라 1943년 4월 17일 조직되어 1945년 8월 15일까지 존속하였다.
1943년 4월 28일~ 5월 8일: 종군작가강연회
1943년 4월 29일: 일본작가환영간담회
1943년 5월 4일~ 5월 9일: 문예전
1943년 5월 26일: 내선작가교환회
1943년 5월 27일: 해군을 찬양하는 시 낭독회
1943년 5월 30일: 작가들의 조선군 보도연습 훈련
1943년 11월 5일: 출진학도격려대회

구성 인물



























네트워크 그래프

출처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