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nism] 또는 탈근대주의'''
+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nism]'''
  
 
==개요==
 
==개요==
1960년대 중반부터 일어난 문화운동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 등 다방면과 관련되는 한 시대의 이념이다.<br>포스트모더니즘이 일어난 배경은 18세기 서구의 [[계몽주의]]로부터 시작된 이성중심주의 시대이다. 계몽주의는 종교와 같은 보이지 않는 힘을 차단하고 인간이 이성적 판단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 여파로 20세기에 들어서까지 서구는 이성중심 사고와 [[모더니즘]]이 문화와 예술, 삶과 사고를 지배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모더니즘의 지나친 객관성 주장에 대한 반동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이 대두되었다.
+
포스트모더니즘은 1960년대 중반부터 일어난 문화운동의 이념으로, 탈근대주의로도 불린다. 상대성과 다원성을 강조하며 정치 ·경제 ·사회 등 다방면과 관련된다.<br>포스트모더니즘이 일어난 배경은 18세기 서구의 [[계몽주의]]로부터 시작된 이성중심주의 시대이다. 계몽주의는 종교와 같은 보이지 않는 힘을 차단하고 인간이 이성적 판단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 여파로 20세기에 들어서까지 서구는 이성중심 사고와 [[모더니즘]]이 문화와 예술, 삶과 사고를 지배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모더니즘의 지나친 객관성 주장에 대한 반동으로 프랑스와 미국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대두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을 대표하는 키워드로는 탈획일화, 후기구조주의, 그리고 데리다의 해체(Deconstruction) 등이 있다.
 +
 
 +
 
 +
==분야 별 정의==
 +
 
 +
포스트모더니즘은 그 정의가 광범위하며,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바뀐다.
 +
 
 +
===사회운동===
 +
 
 +
니체와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은 이들은 전근대 사상이 반대논리를 폭력적으로 억압해왔다고 주장했다. 데리다는 계몽주의에서 비롯된 합리주의가 이성이 감성을, 백인이 흑인을, 남성이 여성을 억압해온 근거라고 비판했다. 또 역사에서 장기적으로 지속되어 온 은폐된 원리,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모순들을 해체해야 한다고 하였다. <ref>[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담론과 해체를 중심으로, 양경숙•김현아, 한국교육현상해석학회]</ref> 이러한 데리다의 해체론은 학생운동 ·여성운동 ·흑인민권운동 ·제3세계운동 등의 사회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
 
 +
===문화예술===
 +
 
 +
문화예술에서는 사상의 변화 시기가 더 세밀히 구분된다. 19세기 [[사실주의]]에 대한 반발이 20세기에 절정을 찍은 모더니즘이며, 이에 대해 다시 반발하여 나온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시각이다.
 +
 
 +
 
 +
 
 +
 
 +
==출처==
 +
<references/>

2020년 6월 29일 (월) 00:51 판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nism]

개요

포스트모더니즘은 1960년대 중반부터 일어난 문화운동의 이념으로, 탈근대주의로도 불린다. 상대성과 다원성을 강조하며 정치 ·경제 ·사회 등 다방면과 관련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일어난 배경은 18세기 서구의 계몽주의로부터 시작된 이성중심주의 시대이다. 계몽주의는 종교와 같은 보이지 않는 힘을 차단하고 인간이 이성적 판단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 여파로 20세기에 들어서까지 서구는 이성중심 사고와 모더니즘이 문화와 예술, 삶과 사고를 지배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모더니즘의 지나친 객관성 주장에 대한 반동으로 프랑스와 미국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대두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을 대표하는 키워드로는 탈획일화, 후기구조주의, 그리고 데리다의 해체(Deconstruction) 등이 있다.


분야 별 정의

포스트모더니즘은 그 정의가 광범위하며,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바뀐다.

사회운동

니체와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은 이들은 전근대 사상이 반대논리를 폭력적으로 억압해왔다고 주장했다. 데리다는 계몽주의에서 비롯된 합리주의가 이성이 감성을, 백인이 흑인을, 남성이 여성을 억압해온 근거라고 비판했다. 또 역사에서 장기적으로 지속되어 온 은폐된 원리,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모순들을 해체해야 한다고 하였다. [1] 이러한 데리다의 해체론은 학생운동 ·여성운동 ·흑인민권운동 ·제3세계운동 등의 사회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문화예술

문화예술에서는 사상의 변화 시기가 더 세밀히 구분된다. 19세기 사실주의에 대한 반발이 20세기에 절정을 찍은 모더니즘이며, 이에 대해 다시 반발하여 나온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시각이다.



출처

  1.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담론과 해체를 중심으로, 양경숙•김현아, 한국교육현상해석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