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록선별과 평가)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br/>
 
<br/>
 +
=='''[[아카이브와 콘텐츠(2020)]]'''==
 +
 +
=='''[[인문정보콘텐츠(2020)]]'''==
 +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020)]]'''==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019)]]'''==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019)]]'''==
 +
=='''[[인문정보콘텐츠(2019)]]'''==
  
=='''[[인문정보콘텐츠(2019)]]'''==
 
 
=='''[[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2018)]]'''==
 
=='''[[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2018)]]'''==
 
 
=='''[[인문정보콘텐츠(2018)]]'''==
 
=='''[[인문정보콘텐츠(2018)]]'''==
  
12번째 줄: 15번째 줄:
  
 
== '''[[기록선별과 평가]]''' ==
 
== '''[[기록선별과 평가]]''' ==
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www.hsarchives.org/
 
 
 
사운드클라우드의 한성대 성곽마을 아카이빙 프로젝트 페이지(한성대 성곽마을 곳곳에서 채집한 소리를 사운드클라우드에 올림)
 
 
https://soundcloud.com/hsarchivesorg
 
 
 
 
한성대 성곽마을 아카이빙 프로젝트는 2019년 봄학기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과 도서관정보문화트랙의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에 참여한 32명의 학생들이 학교 옆 삼선동 마을(삼선 3구역)을 기록한 것입니다.
 
 
삼선동은 한양도성 혜화문 밖, 낙산 기슭에 있는 오래된 마을입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1960년대와 70년대 산업화에 밀려 농촌에서 상경한 사람들이 길을 만들고, 계단을 만들고, 골목을 만들고, 담을 만들고, 지붕을 고쳐가며 살던 동네입니다. 마을 곳곳에 오랜 세월의 흔적과 추억이 깃든 곳입니다.
 
 
한성대 학생들은 캠퍼스를 오가며, 강의실에서 사시사철 이 마을을 바라봅니다. 어쩌면 이 마을은 우리가 대학을 다니는 4년만이 아니라 학창시절 기억이 지속되는 한 계속 우리의 마을일 것입니다.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번 봄 학기에 이 마을 속으로 들어가 우리의 눈으로 지금의 마을 모습을 기록하여 우리의 기억을 남기고 또 마을공간의 현재를 기록하고자 했습니다.
 
 
우리가 기록하고 싶은 것은 조금씩 달랐습니다. 누군가는 골목을, 누군가는 계단을, 또 누군가는 대문과 창문을, 담벼락을, 우편함을, 화분을, 화단을, 쉼터를, 지붕을, 광고와 공지문을 기록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사진으로 기록한 마을모습을 모아 9개의 전시를 만들었습니다.
 
 
한성대 성곽마을 아카이빙 프로젝트에 저장된 사진기록에는 누구나 어떤 목적으로든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라이선스가 적용되었습니다. 우리가 만든 기록이 우리의 기억보존에만 머무르지 않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가치 있는 무엇으로 사용될 수 있기를 바랐기 때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재정지원: 한성대학교 캠퍼스사업단 (https://www.hansung.ac.kr/web/hsct/home)
 
 
기술지원: 아카이브랩 (https://archivelab.co.kr/)
 
 
기획지원: 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http://www.archivingnet.org/wp/)
 
 
구술기록 특강: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이호신 교수님
 
 
 
프로젝트 참여자: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도서관정보문화 트랙 학생들
 
 
· A반 : 김도현, 김상엽, 김예은, 김효진, 박하림, 양희수, 유시연, 윤소연, 윤정원, 이서연, 이재희, 이진희, 이현주, 이현주, 임수현, 최승현
 
 
· B반 : 김보민, 김선욱, 김치형, 문성철, 박수민, 서유라, 성동현, 윤나현, 이민기, 이소현, 장동욱, 정민호, 조영은, 조유경, 한유린, 허채빈
 
 
 
프로젝트 책임자: 정경희 교수(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도서관정보문화트랙)
 
 
 
== '''[[어린이청소년정보원]]''' ==
 
== '''[[어린이청소년정보원]]''' ==
 
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www.hsarchives.org/
 
 
 
사운드클라우드의 한성대 성곽마을 아카이빙 프로젝트 페이지(한성대 성곽마을 곳곳에서 채집한 소리를 사운드클라우드에 올림)
 
 
https://soundcloud.com/hsarchivesorg
 
 
 
 
 
한성대 성곽마을 아카이빙 프로젝트는 2019년 봄학기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과 도서관정보문화트랙의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에 참여한 32명의 학생들이 학교 옆 삼선동 마을(삼선 3구역)을 기록한 것입니다.
 
 
삼선동은 한양도성 혜화문 밖, 낙산 기슭에 있는 오래된 마을입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1960년대와 70년대 산업화에 밀려 농촌에서 상경한 사람들이 길을 만들고, 계단을 만들고, 골목을 만들고, 담을 만들고, 지붕을 고쳐가며 살던 동네입니다. 마을 곳곳에 오랜 세월의 흔적과 추억이 깃든 곳입니다.
 
 
한성대 학생들은 캠퍼스를 오가며, 강의실에서 사시사철 이 마을을 바라봅니다. 어쩌면 이 마을은 우리가 대학을 다니는 4년만이 아니라 학창시절 기억이 지속되는 한 계속 우리의 마을일 것입니다.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번 봄 학기에 이 마을 속으로 들어가 우리의 눈으로 지금의 마을 모습을 기록하여 우리의 기억을 남기고 또 마을공간의 현재를 기록하고자 했습니다.
 
 
우리가 기록하고 싶은 것은 조금씩 달랐습니다. 누군가는 골목을, 누군가는 계단을, 또 누군가는 대문과 창문을, 담벼락을, 우편함을, 화분을, 화단을, 쉼터를, 지붕을, 광고와 공지문을 기록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사진으로 기록한 마을모습을 모아 9개의 전시를 만들었습니다.
 
 
한성대 성곽마을 아카이빙 프로젝트에 저장된 사진기록에는 누구나 어떤 목적으로든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라이선스가 적용되었습니다. 우리가 만든 기록이 우리의 기억보존에만 머무르지 않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가치 있는 무엇으로 사용될 수 있기를 바랐기 때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재정지원:    한성대학교 캠퍼스사업단 (https://www.hansung.ac.kr/web/hsct/home)
 
 
기술지원:    아카이브랩 (https://archivelab.co.kr/)
 
 
기획지원:    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http://www.archivingnet.org/wp/)
 
 
구술기록 특강: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이호신 교수님
 
 
 
 
프로젝트 참여자: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도서관정보문화 트랙 학생들
 
 
· A반 :    김도현, 김상엽, 김예은, 김효진, 박하림, 양희수, 유시연, 윤소연, 윤정원, 이서연, 이재희, 이진희, 이현주, 이현주, 임수현, 최승현
 
 
· B반 :    김보민, 김선욱, 김치형, 문성철, 박수민, 서유라, 성동현, 윤나현, 이민기, 이소현, 장동욱, 정민호, 조영은, 조유경, 한유린, 허채빈
 
 
 
 
프로젝트 책임자:    정경희 교수(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도서관정보문화트랙)
 
  
 
='''수업용 참고 자료 '''=
 
='''수업용 참고 자료 '''=

2020년 6월 5일 (금) 19:36 판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아카이브와 콘텐츠(2020)

인문정보콘텐츠(2020)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020)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019)

인문정보콘텐츠(2019)

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2018)

인문정보콘텐츠(2018)

지식의 공유

기록선별과 평가

어린이청소년정보원

수업용 참고 자료

유용한 정보원

교재

  • 디지털 인문학 입문/ 김현 (한국학중앙연구원), 김바로(한국학중앙연구원), 임영상(한국외국어대학교)
  • 팀 버너스리 차세대 웹

위키사용법

그림비 웹퍼블리싱

'그림비'는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도서관정보문화트랙 학생회가 출판하는 잡지입니다. '그림비는 1992년 4월 처음 발간되었으며, 창간 당시에는 '진리의 반딧불'이라는 신문형태였습니다. 그리고 1994년 10월에 지금의 이름인 '그림비'로 제호를 바꾸고 1996년 11월(제13호)부터 책자형태로 발간되었습니다.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과 도서관정보문화트랙 학생들의 소모임인 '그림비 웹페블리싱'은 최신호 그림비 잡지부터 창간호까지 웹에서 볼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웹퍼브리싱하고 있습니다. 2017년도와 2018년도 그림비는 내일북 전자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자책으로 제작한 것입니다.

다른 대학(원) 인문정보학 수업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