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화동 전시안내센터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주진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2월 24일 (목) 02:36 판 (현재를 함께하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근현대를 기록하다

1899년 서대문에서 청량리를 연결하는 최초의 대중교통 수단인 전차가 부설되었다.

1920년대 이후 서울 인구가 급증하고 주거지가 외곽으로 확장되면서 전차와 버스는 서울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이 되었다.

이 시기에 한인의 주거지가 혜화동 너머로 확장 되었는데, 일본인들이 북촌으로 진출하면서 혜화동에도 몰리기 시작한다.

1941~1959 개인 주택

혜화동은 북촌에서는 드물게 문화주택이 몰려 있던 곳이었다. 문화주택은 서양식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주택이었다.

혜화동 전시안내센터는 영화 제작자였던 일본인 다나카 사부로가 있던 집이다. 일본식 목조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성곽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성곽 위에 집을 짓는 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1907년 성곽이 해체가 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본다.

해방 후 소유주가 변경되었고 1959년 대법원장 공관으로 사용하기 전까지 3명의 개인 거주자가 이 집을 거쳐갔다.

1941~1945: 다나카 사부로: 조선영화제작주식회사 사장

1945~1955 하준석: 중추원 참의

1955~1957 손원일: 독립운동가, 초대 해군참모총장, 제 5대 국방부정관

1957~ 1959 한석진: 기업가

1959~1979 대법원장 공관

1959년 이후 이 건물은 개인 소유의 주택이 아닌 나라의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거주지인 공관이 되었다.

1979년까지 대법원장 공관으로 사용되면서, 우리나라 3~4대 대법원장 조진만 판사와 5~6대 대법원장을 역임한 민복기 관사가 거주하였다.

이곳에서는 혁명제판 판결문을 초고가 작성된 의미가 있는 공간이었으며, 1971년 검찰과 법원의 갈등으로 불거진 제 1차 사법 파동이 타결된 장소이기도 하다.

입구에 들어서서 1층 서쪽에 위치한 공간이 당시 판결문 작성실로 사용된 방이다.

현재를 함께하다

서울시장 공관에서 부터 현재 시민들에게 개방하기 까지 시대는 변화화하였고, 우리나라의 역사적 가치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아졌다.

1981~2013 서울시장 공관

1979년 서울특별시로 소유권이 이전되면서 1981년 대법원장 공관이 아닌 서울시장 공관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된다.

1981년 제 18대 박영수 시장부터 2013년 제 35대 박운순 시장까지 33년 동한 총 13명의 서울시장이 혜화동 시장공관에서 거주하게된다.

제임기간 중 이곳에 거주하지 않았던 지장들도 있다.

시장공관으로 사용될 당시에는 1층은 공적업무를 위한 회의실과 응정실로, 2층은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미래를 바라보다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