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의 가랑잎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박목월의 제4시집으로 1968년 민중서관에서 출간되었다. B6판이며, 238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지훈· 등과 함께 펴낸 『청록집』을 제1시집으로 보면 제5시집이 된다. 책 머리에 지은이의 서문격인 머리말을 위시하여 「」·「난초잎새」·「더덕순」·「용설난」·「하선」·「바람소리」·「만년의 꿈」·「내년의 뿌리」·「삽화」·「푸성귀」·「무내마을 과수댁」·「고향에서」·「논두렁길」·「문고리」·「동정」 등 72편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경상도의 가랑잎』은 주로 50대에 쓴 작품을 주축으로 편성한 것으로, 그의 후기시의 전반부에 해당된다. 「머리말」에서 “경상도의 가랑잎은 고향의 가랑잎이라는 뜻이다. 경상도의 소박하고도 마디가 억센 사투리처럼 나는 소박하기를 염원하고, 또한 그와같이 무뚝뚝하게 져가는 가랑잎이기를 소원한다.”라고 하고 있듯이, 바로 뒤이어 나온 연작시집 『어머니』의 시편들과 함께 고향과 유년기로 향한 회고의 정서를 노래한 시작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이 시집은 제목이 암시하듯이 향토 회귀적인 특성이 강하다. 이러한 특성은 시인 자신의 고향인 경상도 사투리와 가락이 시에 많이 차용되고 있다는 것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뭐락카노, 저 편 강기슭에서/ 니 뭐락카노, 바람에 불려서// 이승 아니믄 저승으로 떠나는 뱃머리에서/ 나의 목소리도 바람에 날려서// 뭐락카노 뭐락카노/ 썩어서 동아밧줄은 삭아내리는데// 하직을 말자 하직을 말자/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 「이별가」, 아베요 아베요/ 내 눈이 티눈인 걸/ 아베도 알지러요./ 등잔불도 없는 세상에/ 축문 당한기요./ 눌러 눌러/ 소금에 밥이나마 많이 묵고 가이소.- 「만술 아비의 주문」). 이는 인간의 삶에 대한 애정을 보여주었던 중기의 특성이 보다 구체화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인은 고향 사람들의 말투와 가락을 빌려 그들의 순박함과 인정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시집에서 두드러지는 또 하나의 특징은 죽음에 대한 의식과 허무함이 드러난다는 점이다. 강소천‧조지훈 등 동료들의 죽음은 시인으로 하여금 생의 무상감을 깨닫게 하고, 노년의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동기가 된다(「청파동」, 「이‧삼일」). 이로 인해 시인은 자신의 삶을 회고하고 담담하게 죽음을 맞으려는 태도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시인이 생각하는 죽음은 공포스럽거나 절망스러운 것이 아니라,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이라는 구절에서 보이듯이 담담하고 자연스럽게 오는 것이다.
이후 그의 시는 죽음에 대한 의식과 달관이 주조를 이루게 되는데, 『크고 부드러운 손』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종교적인 색채를 띠고 나타난다.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권영민)

수상내역

연도 수상
1969년 서울시 문화상 수상.

관련 콘텐츠

  • "박목월과 경상도의 미학" 손진은(경주대학교 교수)

관련 연구

  • 박선영(2011). 박목월의 『경상도의 가랑잎』의 공간 은유 분석 RISS
  • 김권동(2015). 입말체와 글말체의 시 쓰기-박목월의 시집 ≪慶尙道의 가랑잎≫에 실린 방언시를 중심으로- RISS
  • 조춘희(2007). 박목월 시의 문체론적 고찰 - 《경상도의 가랑잎》을 중심으로 RISS
  • 박선영(2010). 『경상도의 가랑잎』의 사물화 양상 RISS

RDF

Domain(A) Range(B) Relation 설명
경상도의 가랑잎 박목월 쓰여지다 A는 B에 의해 쓰여졌다.
경상도의 가랑잎 1968년 간행되다 A는 B에 간행되었다.
경상도의 가랑잎 민중서관 간행되다 A는 B에서 간행되었다.
경상도의 가랑잎 용설난 수록하다 A는 B를 수록하고 있다.
경상도의 가랑잎 고향에서 수록하다 A는 B를 수록하고 있다.
경상도의 가랑잎 서울시 문화상 수상하다 A는 B를 수상하였다.


경상도가랑잎그래프.png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작성자

인문정보콘텐츠(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