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의태자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설명

<마의태자>는1937년 [동아일보]를 통해 발표된 유치진(柳致眞)의 역사소재의 첫 번째 희곡작품이다.

지상에 발표되었을 때의 제목은 ‘개골산(皆骨山)’이었으며, 전4막으로 이루어진 작품이었다. 1941년 3월 극단 고협(高協)의 창립 2주년 기념공연에서 <마의태자와 낙랑공주>로 개제되었으며, 1953년 10월 극단 신협(新協) 공연에서 제5막이 덧붙여지고 <마의태자>라는 제목으로 굳어졌다.

이 작품은 <자명고>(自鳴鼓)> <원술랑(元述郎)> <처용의 노래> <사육신(死六臣]> 등 일련의 유치진 역사극의 시발점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토막(土幕)> <> 등 그의 사실주의 계열의 작품이 일제의 검열로 수난을 당한 끝에 역사극으로 전환을 시도한 실험적인 작품이다.

줄거리

이 작품은 신라 망국의 애환을 다루고 있으며 세 갈래의 인물군(人物群)이 등장하고 있다.

겉으로 화친을 내세우나 속으로는 신라를 무혈병탄(無血倂呑)하려는 계략을 추진하고 있는 왕건을 비롯한 고려의 군신들, 고려 군신의 계략을 간파하고 이에 저항하는 마의태자를 비롯한 주전파, 고려 군신의 계략에 놀아나 왕건에게 투항하기를 주장하는 경순왕을 비롯한 투항파가 그 세 갈래 인물군이다.

이 세 갈래의 인물군은 신라의 국운을 둘러싸고 갈등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왕건의 딸인 낙랑공주와의 사랑문제로 갈등을 일으킨다.

백성들에게‘신라의 빛, 신라의 기둥’으로 추앙을 받던 마의태자를 처음 만난 순간부터 낙랑공주는 태자의 사나이다운 기개를 흠모하게 된다.공주의 이러한 마음을 짐작하지 못하는 경순왕은 공주를 사랑한다.

신라의 멸망을 막아보기 위해 마의태자는 두 차례에 걸쳐 왕건을 살해하려고 시도하지만, 그 때마다 실패하고 공주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해 나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태자는 진정으로 그를 사랑하는 공주에게 사랑을 느끼기 시작한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유치진 마의태자 A는 B를 집필했다

참고문헌

한국신극사연구 (이두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한국현대희곡사 (유민영, 홍성사, 1982)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