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무방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만무방


개요

1935년 7월 『조선일보(朝鮮日報)』에 발표된 김유정의 단편소설이다.
전지적 작가 시점이며 제목 '만무방'은 강원도 방원으로 '염치가 없이 막된 사람'을 뜻한다.

이해와 감상

만무방조선일보.jpg

등장인물

  • 응칠 : 도박과 절도를 일삼으며 반사회적 행위를 저지르는 만무방이다. 원래는 성실한 농부였지만 쌓여 가는 빚 때문에 떠돌이 신세가 된다. 동생에 대한 형제애를 가지고 있으며, 적극적인 현실 대응방식을 보여준다.
  • 응오 : 순박하고 성실한 농민이지만, 열심히 농사지은 벼를 수확해 봤자 모든 걸 지주와 빚쟁이에게 빼앗길 처지이고, 아내까지 병을 얻은 절망적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기 논의 벼를 수확하지 않고, 이를 몰래 훔치는 소극적 대응 방식을 보여 준다.

줄거리

두 형제는 강원도 어느 산골 마을에서 하루를 벌어 하루를 먹고 사는 가난한 이들이다. 응칠은 전과자이다. 도박과 절도를 일삼으며 근근히 살아간다. 숲에서 나온 응칠은 성팔이를 만나 동생 응오가 벼를 도둑맞았다는 소문을 듣는다. 하지만 응칠이는 되려 그 소식을 전한 성팔이를 의심하게 된다. 응칠이도 5년 전에는 착실한 농사꾼이었지만, 빚을 갚아낼 길이 없어 그만 도둑질, 도박을 일삼게 되었고, 구걸 끝에 아내와 아이들과도 헤어지게 되었다. 결국 그런 삶을 전전하다가 감옥에까지 들어가게 되고, 한 달 전 아우가 그리워 이 마을로 돌아온 것이다. 응칠은 스스로 응오의 벼를 훔쳐간 도둑을 잡고, 이 마을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전과자인 응칠에게 불똥이 튈까 두려웠던 것이다. 그 와중 응오는 아픈 아내를 간호하느라 벼를 베는 것을 포기했다. 바위 굴 속에서 노름판을 발견한 응칠은 도박으로 돈을 딴 후 서낭당 앞 돌에 앉아 덜덜 떨며 도둑을 잡기 위해 잠복한다. 닭이 세 홰를 울때, 복면을 한 그림자가 나타나 벼를 훔치는 것을 보자, 응칠은 격투 끝에 도둑을 잡아 복면을 벗기고 절망한다. 도둑은 바로 응오였던 것이다. 소작료를 떼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자기 벼를 훔친' 것이었다. 눈물을 흘리며 응칠은 황소를 훔치고자 응오를 달랬지만, 부질없다는 듯 형의 손을 뿌리치고 달아나는 응오를 몽둥이질로 쓰러뜨린다. 응칠은 한숨을 쉬며 응오를 업고 고개를 내려온다.

해석

만무방은 궁핍한 농촌 현실에 대한 저항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당대의 농민들은 성실하게 농사를 지으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지주와 일제, 그리고 고리대금업자의 가혹한 수탈 때문에 생계유지는 커녕 빚만 늘어나는 사회 구조적 모순에 처해있었다. 결국 '만무방'은 사회의 윤리에 위배되는 사람이라기보다는 모순된 구조의 사회가 빚어낸 인간형이라는 의미를 함축하는 반어적, 냉소적인 말인 것이다.

전문

전문 보기

관련연구

학위논문

구분 논문명 저자명 발행사항 발행년도 학위논문사항
1 金裕貞論 : 「소낙비, 봄봄, 동백꽃, 만무방」을 중심으로 조춘용 홍익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2 김유정 문학의 사실성과 전통성 연구 김주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3 1920-30년대 한국 단편소설의 冒頭 서술자 기능 연구 김원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만무방 김유정 A는 B가 집필했다
만무방 조선일보 A는 B에 발표되었다
만무방 1935년 A는 B에 발표되었다

만무방구축.PNG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김예진
  •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