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애주의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명사

1. 철학 인종에 대한 편견이나 국가적 이기심 또는 종교적 차별을 버리고 인류 전체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온 인류가 서로 평등하게 사랑하여야 한다는 주의. ≒사해동포주의. [1]

유래

그리스의 비극작가 아이스킬로스가 신보다 인간을 사랑하는 것을 philanthropia(인간애)라고 부른 데서 기원한 말.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악한 사람에까지 미치는 사랑의 아픔을 philanthropia로 보았다. 로마 시대에 이르러 이 말은 'humanitas'로 번역되어 '인간애'만이 아니라 교양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다가 후에 휴머니즘이라는 뜻으로 변하였다. 박애주의는 서구의 기독교에 의해 본격화되었으며, 대부분의 종교에 공통적인 사상이라 할 수 있다. 박애주의는 자신의 인격을 존중히 여기는 것처럼 다른 사람을 사랑해야 한다는 것으로, 사랑에서의 평등을 강조한 데서 출발한다.

사상사적인 관점에서 박애주의는 만인을 평등한 관점에서 바라보려는 시각에 뿌리를 두고 있다. 동양에서는 기원전 5세기 묵자의 겸애(兼愛) 사상에서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묵자는 혈연을 중심으로 한 공자의 인(仁)을 비판하며 천하 만민을 두루 평등하게 사랑하는 겸애를 주장하였다. 서양에서는 이성을 모든 민중의 뜻으로 파악하고 윤리적 성선설을 주창한 루소에 의해 주창되었는데, 그는 모든 사람에게 내재한 이성을 인간의 선한 마음의 전제라고 보았다.

인간의 본래 모습, 즉 자연 상태로의 복귀를 주장한 루소는 이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바라보는 사상을 정초하였다. 그의 자유·평등·박애 사상은 후에 프랑스 혁명의 이념이 되었다. 박애주의는 본질적으로 자유·평등의 이념과 긴밀하게 닿아 있는 것으로, 민주주의 발전과 궤를 같이 한 것이었다. 마하트마 간디의 '무저항주의', 마틴 루터 킹 목사의 '비폭력 운동', 슈바이치의 '생명의 외경(畏敬)' 등은 박애주의에 기초한 사상이라 할 수 있다.

박애주의는 이상적 사회를 지향하는 문학에 저류를 흐르는 중심 사유로서 수많은 작품들에 배경이 된 사상이다. 특히 톨스토이는 모든 인류가 선악에 관계없이 나와 별로 다르지 않은 형제들이기 때문에 용서하고 사랑해야 할 대상이라는 관점을 견지하였다. 사해동포주의에 투철한 원시 그리스도교의 삶을 실현하려 했던 톨스토이의 사상은 한국 근대문학의 많은 작가들에게 중대한 영향을 주었다. 최남선이나 이광수 등은 박애주의·비폭력주의·무저항주의를 주창했던 톨스토이즘에 깊이 침윤되었으며, 그들의 문학작품에 나타나는 계몽주의는 이러한 박애 사상과 관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김문주)

[2]

박애주의자

관련 자료

관련 연구

학술논문

  • 바바라드링크 ( Barbara Drinck ). "전체성과 자부심 -박애주의 교육의 초석-"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7 NO.1 (2012):1-15
  • 이상오. "『박애주의 교육사상』에 대해서" 기독교교육논총 VOL.44 NO.- (2015):365-369
  • 정기섭. "18세기 박애주의 학교(Philanthropin)의 교육사상과 교육방법"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VOL.81 NO.1 (2018):1-15

관련도서

RDF 및 온톨로지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애주의 권정생 A가 B에 영향을 주었다.
박애주의 안젤리나 졸리 A가 B에 영향을 주었다.
박애주의 오드리 헵번 A가 B에 영향을 주었다.
박애주의 알버트 슈바이쳐 A가 B에 영향을 주었다.
박애주의 사랑 A는 B을 기반으로 한다.
박애주의 평등 A는 B을 기반으로 한다.
박애주의 이기주의 A는 B와 반대이다.


박애주의 온톨로지.JPG

작성자 및 기여자

각주

  1. 표준국어대사전 - 박애주의
  2. 박애주의 [博愛主義, Philanthropia (문학비평용어사전, 2006. 1. 30., 한국문학평론가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