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화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박종화(1901~1981)

개요

박종화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소설가이자 시인이다. 호는 월탄(月灘)이며,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같은 동인으로서 창작활동을 함께 한 현진건의 사돈에 해당된다. 초반에는 낭만주의적 작품을 창작하였으나, 추후 민족의 역사적 주체성이나 민족혼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역사소설을 연재하였다. 이러한 점은 일제 강점기로 의하여 한민족이 잊고 있었던 역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고 평가받는다.

생애

박종화 (1901~1981) 출처: [1] [2]
날짜 내용
1901.10.29 서울에서 출생
1920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 《장미촌》에 〈오뇌의 청춘〉, 〈우유빛 거리〉등단.
1922 문학잡지 《백조》의 발간 참여, 〈밀실로 돌아가라〉발표.
1924 시집 《흑방비곡》 발간.
1935 장편소설 <금삼의 피>를 '매일신보'에 연재 시작, 이후 <아랑의 정조>, <다정불심> 등의 역사소설을 발표.
1942 수필집 『청태집(靑苔集)』발간.
1945 조선문학가협회 부회장 역임.
1947 성균관대학교 교수, 서울시예술위원회 위원장 역임.
1949 한국문학가협회장, 서울신문사 사장, 서울시 문화위원회장 역임.
1954 서울신문사 사장 사임, 『조선일보』에서「임진왜란(壬辰倭亂)」연재 시작. 전 946회 연재.
1955 예술원 회장 취임, 제1회 예술원상 수상, 단편<황진이(黃眞伊)의 역천(逆天)> 연재.
1957 성균관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 수료, 이후 장편 「벼슬길」(1958)「여인천하(女人天下)」(1959) 연재.
1961 회갑기념으로 『월탄시선(月灘詩選)』을 출간.
1962 성균관대학교 교수 직위 정년퇴직, 『조선일보』에 「자고 가는 저 구름아」를, 『부산일보』에 「제왕삼대(帝王三代)」를 각각 연재.
1964 문인 협회 이사장 역임,「월탄삼국지(月灘三國誌)」를 『한국일보』에 4년에 걸쳐 연재.
1966 제1회 5·16민족상을 수상한 상금으로 ‘월탄문학상’을 창설, 같은 해 10월 제1회 월탄문학상 시상.
1969 『조선일보』에서「세종대왕」연재 시작. 1977년까지 8년에 걸쳐 2,456회 연재.
1981.01.13 숙환으로 평창동 자택에서 별세.

수상내역

  • 문화훈장 대통령장
  • 국민훈장

작품 및 저서

단편 소설

  • 〈오뇌의 청춘〉(1920)
  • 〈우유빛 거리〉(1920)
  • 〈밀실로 돌아가라〉(1922)
  • 〈목매이는 여자〉(1923)
  • 〈아버지와 아들〉(1924)
  • 〈순대국〉(1924)
  • 〈아랑의 정조〉(1937)
  • <황진이의 역천> (1955)

시집

  • 〈흑방비곡〉(1924)
  • 〈청자부〉(1946)

역사 소설

  • 〈금삼의 피〉(1938)
  • 〈대춘부〉(1938)
  • 〈다정불심〉(1942)
  • 〈임진왜란 (소설)〉(조선일보 연재, 1957)
  • 〈여인천하 (소설)〉(1959)
  • 〈자고 가는 저 구름아〉(조선일보 연재, 1962)
  • 〈제왕삼대〉(부산일보 연재, 1962)
  • 〈월탄 삼국지〉(한국일보 연재, 1968)
  • 〈양녕대군 (소설)〉(부산일보 연재, 1966)
  • 〈세종대왕 (소설)〉(1969)

관련 학술서

  • 공임순. (2018). 박종화와 이광수, ‘임진란’과 역사소설의 시계열화(時計列化). 춘원연구학보, (12), 9-36.
  • 오세인. (2012). 1920년대 초 ‘거리(街)’의 시적 표상화 양상 연구. 비평문학, (45), 337-368.


관련 콘텐츠

영화

연산군.png

  • 《연산군》(1961) (원작: 금삼의 피)[[3]]


다정불심.png

  • 《다정불심》(1967)[[4]]


드라마

용의눈물.png

  • 《용의 눈물》(원작: 세종대왕)[[5]]


여인천하.png

  • 《여인천하》[[6]]


신돈.png

  • 《신돈》(원작: 다정불심)[[7]]


왕의여자.jpg

  • 《왕의 여자》(원작: 자고 가는 저 구름아)[[8]]

관련항목

박종화 시각화.png

항목A 항목B 관계
박종화 현진건 A는 B의 사돈이다
박종화 서울 A는 B 출생이다
박종화 1901년 A는 B에 탄생했다
박종화 장미촌 A는 B에 참여하다
박종화 백조 A는 B에 참여하다
현진건 백조 A는 B에 참여하다
백조 장미촌 A는 B을 본받다
박종화 성균관대학교 A는 B에 근무하다
박종화 임진왜란 A는 B을 창작하다
박종화 월탄삼국지 A는 B을 창작하다
박종화 월탄문학상 A는 B을 창설하다
박종화 세종대왕 A는 B을 창작하다
박종화 1981년 A는 B에 사망하다
박종화 금삼의 피 A는 B을 창작하다
박종화 다정불심 A는 B을 창작하다
박종화 여인천하 A는 B을 창작하다
박종화 자고가는저구름아 A는 B을 창작하다
금삼의 피 영화 A는 B로 만들어지다
다정불심 드라마 A는 B로 만들어지다
다정불심 영화 A는 B로 만들어지다
세종대왕 드라마 A는 B로 만들어지다
여인천하 드라마 A는 B로 만들어지다
자고가는저구름아 드라마 A는 B로 만들어지다

참고문헌

위키백과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월탄 박종화옹 별세 - 중앙일보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