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잠단지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분류:선잠단지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선잠단지소개.png


선잠단누에치기를 처음으로 했다는 중국 고대 황제의 황비 '서릉씨'를 양잠(養蠶)의 신으로 받들어 국가의례 선잠제를 지내던 곳이다.

조선 왕조에서 선잠제를 시행했다는 기록은 1400년(정종2)부터 나타나며, 매년 3월에 제사를 지냈다. 1908년에는 신위를 사직단으로 이전하고, 현재는 터만 남아 있어 '선잠단지'라는 명칭이 부여 되었다.

역사

고대 사회에서는 농업과 잠업(蠶業)이 사회 발전의 주요한 밑거름이었다. 그래서 인간에게 양잠을 처음 가르친 서릉씨를 '선잠(先蠶)'으로 받들어 제사를 지냈다. 삼국시대에 신라 왕실에서 누에치기를 권장한 기록이 있고, 고려시대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선잠을 모시는 제사를 지냈다. 선잠제는 조선왕조에서 국가의 의례로 정비되었다. 조선의 의례는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오례’라고 했는데 그 중 제사를 지내는 의례는 ‘길례’였다. 선잠제에 대한 논의는 태종대부터 시작되어 세종대 『세종실록』 「오례」에 정리되었고, 이후 수정을 통해 『국조오례의』로 법제화 되었다. 이 과정에서 선잠제의 의미와 의식은 강화되었다. 선잠제를 지냈던 선잠단의 위치는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논의되었지만 옮기지 않고 현재 성북동의 ‘선잠단지(先蠶壇址)’에서 제사를 지냈다.

선잠제는 제사의 대상은 여성이지만 제사를 지내는 주체는 국왕이었다. 그러나 제사의 규모가 중사(中祀)였기 때문에 관료를 보내어 대신 지내게 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을 '섭사'라고 한다. 선잠제는 매년 지내야 했지만 기록을 보면 그렇지 못하였다. 다만 세조와 명종은 상대적으로 자주 선잠제를 지냈는데 세조는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였다. 19세기에는 선잠제가 거의 매년 시행되었는데 왕권이 약한 대신에 의례를 강화하였기 때문이다. 선잠제 시행에서 큰 변화는 1767년(영조 43)에 있었다. 이 해에는 왕비가 왕비가 직접 뽕잎을 따는 친잠 의식인 친잠례(親蠶禮)를 치르게 되었다. 영조는 왕비가 직접 선잠제를 치르도록 하였으며 이것은 조선에서는 유일한 일이었다. 조선시대 선잠제는 백성을 위하는 민본정치를 반영한 것이며 백성들의 의생활을 걱정하고 장려하였던 정책이 의식으로 완성된 것이었다.

선잠제는 늦봄 음력 3월의 상서로운 뱀날(巳日)에 지내는데, 음력 3월은 뽕잎이 나기 시작하므로 잠월(蠶月)이라고도 한다. 관상감에서 날짜를 정하면 예조에서 의례 준비를 하였다. 선잠제를 주관하는 관리들은 5일전부터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며 제사를 준비하였다. 절차별 음악과 무용도 준비하고 규범과 법칙에 맞추어 희생, 폐백, 음식, 제기 등을 설치하였다. 선잠제의례 속에 음악, 노래, 무용 그리고 음식이 어우러진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2016년 선잠단지 정밀발굴조사에서 드러난 유구를 기초로 2017년 재현 공사를 진행하였고, 2020년 공사가 마무리되었다. 이러한 문화유산을 선잠단지와 연계하여 역사성과 상징성을 제고하고 자랑스런 역사 문화를 계승, 가치를 알리며 시민이 공유할 수 있는 문화공간 조성을 위해 성북선잠박물관이 2018년 4월 개관하여 운영 중이다.


고문헌 속 선잠(先蠶)

"선잠단, 동소문(東小門) 밖 사한이(沙閑伊)에 있다."  - 세종실록 지리지 
"늦봄의 길한 뱀날 선잠(先蠶)에게 제사를 지낸다." - 『국조오례서례』
"공경히 옛 법을 따라 제단을 모으도록 명하여 제사를 받드니 어찌 감히 소홀히 하겠습니까? 삼가 제수를 갖추어 잔을 올립니다.
이제 이 예를 올리는 것은 직접 솔선하는 데 뜻이 있사오니 정성을 굽어 살피시어 우리나라를 도와주옵소서."
- 『서릉씨 작헌례의 어제제문』『친잠의궤




선잠단

<선잠단의 유래와 연혁>
시기 내용 비고
1400 (정종2) 조선 왕조 최초 선잠제 시행(장소: 개경)
1401 (태종1) 선농과 선잠 악장 정비 논의
1411 (태종11) 선잠 폐백 제도 상정, 희생으로 돼지에 양도 더함 희생: 제사에 제물로 쓰이는 동물
1414 (태종14) 예조에서 선잠단의 제도와 규모를 확인함
1430 (세종12) 태종 후반기에 수정된 선잠단 체제를 확인하고 정비함
1475 (성종5) 『국조오례의』에 선잠제를 정비하여 수록
1797 (정조21) 선잠단 동쪽 계단의 칠을 보강함
1887 (고종24) 선잠단을 살피고 홍살문, 담장, 계단이 그대로임을 확인
1908 (융희2) 신위가 사직단으로 옮겨지고 선잠단지가 국유지로 이속됨
1939 사적 117호로 지정되면서 일부를 보호구역으로 결정
1963 사적 83호로 지정
2011 '서울 선잠단지'로 명칭 변경 2011.07.28. 선잠단지 → 서울 선잠단지


선잠단은 제단이 있고 사방에 계단이 놓여 있으며 그 주위는 '유'로 둘러싸여 있었다. '유'는 단이 있는 낮은 담으로 신들의 공간과 인간의 공간을 구분하는 기능을 하였다. '유'는 제단을 둘러싼 내유, 제단 아래쪽 공간을 둘러싼 외유로 구성된다.

1908년 일제는 조선의 국가제사를 대거 축소했다. 이 때, 선잠단의 신위(神位)는 선농단과 함께 사직단(社稷壇)으로 이전되었고 선잠제도 중단되었다. 이후 선잠단지는 사유지로 매각되어 점차 주택지가 들어서기 시작했다. 해방 후 선잠단을 정비하려는 노력이 계속 되었으나 1961년 유가 있던 자리에 도로가 나고 이후 축소된 형태로 복원되는 등 아직까지 제 모습을 찾지 못하고 있다.

2016년 이루어진 선잠단지 정밀발굴조사 결과 동쪽의 중앙과 아래 구역에서 남북 방향으로 평평하게 다듬은 돌이 발견되었고 기와편 일부도 출토되었다. 또, 제단의 대지, 유, 문이 있던 자리가 확인되어 그것을 바탕으로 2020년 선잠단이 재현 되었다. 그러나 도로로 인해 훼손된 선잠단 서쪽 구역은 아직 확인할 수 없으며 성북구는 지속적인 관심과 원형 고증을 통해 선잠단을 복원해 나갈 것이다.


  • ‘선잠단’을 아시나요?…왕비 주관 제단 첫 발굴 KBS News, 2017. 1. 10.
선잠제 재현 행사의 모습을 보여주고, 선잠단의 원형을 파악하여 선잠단지 발굴 공사가 이루어지는 현장을 담은 뉴스 보도 영상



선잠제

성북구는 선잠제가 중단된 지 85년만인 1993년 5월 16일 선잠제를 재현하고 매년 행사를 진행해왔다. 행사를 주관하는 선잠제향보존위원회는 종묘제례보존회와 대한잠사회의 고증과 자문을 받아 선잠제를 재현했다. 성북구는 선잠단선잠제의 복원도 함께 추진하여 유형과 무형의 문화유산을 올바로 복원하고자 한다.


  • 3년만에 재개 된 '선잠제' 양잠의 풍요 기원 서울경기케이블TV, 2021. 05. 21.
선잠제 제례 행사의 모습을 담은 영상



친잠례

친잠례(親蠶禮)는 왕비가 손수 누에치기의 모범을 보여 양잠을 장려하기 위한 의식이다. 왕비의 친잠은 성종 8년(1477)에 이르러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조선시대에 총 8번 시행된 친잠례는 창덕궁 후원에서 왕비가 내외명부를 거느리고 뽕잎을 따는 의례로 이루어졌다. 다만 영조 43년(1767)에는 경복궁의 옛 터에 선잠단을 본 뜬 친잠단을 만들어 왕비가 직접 제사를 지내고, 이후 채상단에서 친잠례를 행하여 가장 성대하게 시행되었다.



영조43(1767년) 친잠례
의식의 단계 세부의식(내용)
준비과정 1일전부터 당일 식전까지 선잠단과 채상단에서의 신좌, 판위, 위차 등을 설치
왕비의 출궁
작헌의식 행사의 시작 → 작헌례(酌獻禮) 시행 → 사배(四拜) 시행 → 예필(禮畢) → 망료(望燎)
친잠의식 행사의 시작 → 왕비의 채상(採桑) → 혜빈 이하의 채상 → ⻝蠶 → 고두레(叩頭禮) 시행 → 사배(四拜) 시행 → 음식 하사 → 의식종결
조현 의식 의식의 준비 → 행사시작 → 혜빈의 치사(致詞)와 왕의 교서(敎書) → 왕세손빈의 치사와 왕의 교서 → 명부의 치사와 왕의 교서 → 의식 종결
왕비의 환궁

더 알아보기

단어


영상

  • 성북동 비디오 가이드(선잠단지/선잠박물관) 성북동주민자치회, 2021. 12. 30.
성북 역사문화해설 전문 <성북동아름다운사람들>(성아들)의 신용복 성아들문화유산해설사가 선잠단지와 관련된 역사를 간략히 설명해주고, 선잠박물관도 간단히 둘러보는 영상


  • 누에와 누에신(잠신)을 거쳐 선잠단지까지 문화재청, 2016. 09. 28.
제8기 문화재청 대학생 기자단 곽은비 기자가 제작한 영상으로, 의복을 만들어 입었던 과거 속 중요한 역할을 했던 '누에'를 신으로 모셨던 이야기와 선잠단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있는 영상

작성자 및 기여자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