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반의십자가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동리

한국의 소설가·시인. 순수문학과 신인간주의의 문학사상으로 일관해왔다. 광복 직후 민족주의문학 진영에 가담, 우익 민족문학론을 옹호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고유의 토속성과 외래사상과의 대립을 통해 인간성의 문제를 그렸고, 6·25전쟁 이후에는 인간과 이념의 갈등에 주안을 두었다. 작품은《화랑의 후예》,《무녀도》,《역마》,《황토기》,《등신불》등이다. 예술원상 및 3·1문화상 등을 받았다.

개요

김동리가 지은 장편소설. 1955년 11월부터 1957년 4월까지 18회에 걸쳐 『현대문학』에 연재되었으며, 1958년일신사(日新社)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그 뒤 1982년, 홍성사(弘盛社) 간행으로 다시 개작, 발표되었다. 표제의 ‘사반’은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좌도(左盜)로서, 예수의 삶을 그 배면에 깔면서 사반의 지상적인 투쟁의 일생을 제시하고 있는 작품이다.

작품 소개

갈래 장편소설
배경 서기 1세기경, 로마 시대, 예수 사역 시대
공간 갈릴리 지방의 한 동굴을 중심으로 한 유대지방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주제 구원을 위한 현실 참여의 문제 및 종교나 종교인이 가지는 이상과 현실간의 괴리를 암시

줄거리

사반은 어려서부터 무술(武術)을 좋아하였으며, 유대를 점령한 로마군을 물리치기 위하여 열여덟 살에 집을 나와 무력을 기른다. 그 뒤 3년간 유랑하면서 그는 유대의 독립을 위해서는 개인의 무술보다 집단적으로 훈련된 군대와 민중을 움직일 수 있는 메시아의 존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또한 점성술사 하닷의 계시를 듣고 신봉하면서 메시아와의 만남을 통하여 그와의 협력으로 구원이 지금 이 땅에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그러나 그는 메시아로 생각되는 예수를 두 번 만나면서 그가 땅 위에 새 나라를 세우려 하기보다는 하늘나라에 새 나라를 세우려 하는 자임을 깨닫게 된다. 그러한 실망과 더불어 그는 사생활에서는 똑같이 사랑하며 그에게 힘이 되었던 마리아와 실바아 가운데 예수에게 귀의한 마리아를 잃게 되고, 신봉하던 하닷까지 잃으면서 점차 자신감을 상실한다. 그러나 결국 아굴라의 흉계로 로마군에게 잡혀 십자가에 처형될 때도 예수를 만난 사반은 끝까지 예수가 말하는 내세의 낙원을 거부하며 죽는다.

등장인물

사반 직접적인 투쟁을 통해 로마의 압정에서 신음하고 있는 자신의 동포들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유대 나라의 건설을 꿈꾼다. 현실적인 가치관을 가진 정적 인물이다.
예수 유대 민족의 메시아이며 영원한 하느님의 나라를 건설하는 것을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상적인 가치관을 지닌 정적 인물이다.
마리아 처음에는 사반을 사랑하여 실비아에게 질투를 느끼고 시기하는 여성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예수의 설교를 듣고 이적을 본 뒤에 그를 따른다. 일정한 동기부여가 있고 이를 통해 성격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적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작품해설

이 작품은 김동리6.25전쟁이라는 역사적 현실을 겪으면서 참된 인간 구원과 휴머니즘에 기본을 두고 쓴 작품이다. ‘사반’은 예수가 십자가에 달렸을 때 왼쪽 십자가에 달린 강도다. 이 작품은 사실성과 허구성을 조화시킨 작품으로 신과 인간, 하늘과 땅의 영원한 대결에서 종교적으로 허무주의를 극복하려는 작가의 사상적 심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장대한 스케일과 빈틈없는 구성, 정확한 문장 등이 이 작품의 장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장편 소설은 기독교 성경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면서, 사반이라는 작가의 상상력과 추리에 의한 인물 설정, 예수의 이적 행위 등 기독교 사상과는 관련 없는 한국적 샤머니즘의 특질로 채워져 있다는 데 문제가 제기된다. 결과적으로 김동리는 그리스도교적 소재와 문제를 다루었지만, 그 이면에는 동양적 가치관이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50년대 당시, 우리나라의 핍박받고 어렵던 상황에서 인간을 구원하고자 하는 김동리의 신인간주의 사상으로 귀착된다. 이러한 종교적 주제를 통한 인간 구원의 문제는 황순원의 [[<움직이는 성>]](1968년),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1982)등으로 이어지면서 우리 소설사의 한 경향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다. 민속적인 소재를 통하여 토속적인 삶과 그 운명이 시적으로 승화된 이 작품은 무녀도, 황토기 등의 작품과 함께 김동리의 전통지향적인 의식을 나타내주는 초기 대표작 중의 하나이다.


관련 연구결과물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사반의십자가 김동리 A는 B가 저술했다(P)
김동리 예술원상 A는 B를 받는다(P)
사반의십자가 1955-1957 A는 B에 만들어졌다(P)
사반의십자가 현대문학 A는 B에 저술되었다(P)
사반의십자가 장편소설 A는 B에 해당한다(P)
사반의십자가 일제강점기소설 A는 B에 해당한다(P)
사반 사반의십자가 A는 B에 등장한다(P)
예수 사반의십자가 A는 B에 등장한다(P)
마리아 사반의십자가 A는 B에 등장한다(P)
사반 예수 A는 B와 대립한다(P)
마리아 사반 A는 B를 사랑한다(P)
마리아 예수 A는 B의 영향을 받는다(P)

네트워크 그래프

사반.PNG

참고문헌

[1] 줄거리, 작품해설 [2] 작품해설 [3] 사반의 십자가 이미지파일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신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