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설화

정의

 어떤 민족이나, 지역 등에서 입으로 전해져 (구전(口傳))되어 오는 이야기를 총칭한다.

설화는 역사 시대 이전부터 있어 온, 말로 된 예술 형식이다. 크게 신화, 전설, 민담으로 나누어진다. 설화의 발생은 자연적, 집단적이고, 내용은 민족적이면서 평민적이다. 또한, 한 민족, 지역의 생활감정과 풍습을 암시하고 있다. 특징은 상상, 공상이 가미 되어 있고, 형식은 서사성을 띄어서 소설의 모태가 된다. 이러한 설화가 문자로 정착되고, 문학적 형태를 취한 것이 곧 설화문학이다.

상세

설화는 흥미나 교훈을 주기 위하여 구연되었다. 이야기가 점차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전파되고, 유사한 이야기가 다양한 형태로 전승된다. 그 중 전설이나 영웅담 같이 몇몇 이야기는 특정 시간과 공간에 고정되기도 한다.

설화의 전달자는 특정되지는 않지만, 기억력이 탁월한 사람, 경험이 풍부한 사람, 특히, 말솜씨가 좋은 사람이다. 기록 이전 시대나 사회에서는 이러한 사람이 집단의 지도자나 역사가로서 활약하고, 현자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좁은 사회 안에서는 한 고을 또는 한 집안에서 교육 혹은 오락 담당자를 맡았다. 설화는 일반적으로 산문으로 이루어지지만, 때로는 운율을 지니기도 한다.

특징

  • 설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언제, 누가 지었는지 알 수 없다. 또한 이야기를 전하는 사람이 잊어버리거나 이야기를 보태어 처음과 달라지기도 한다.
  • 설화는 일정한 이야기 형식을 가지고 전해진다. 일이 일어난 순서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인물, 사건, 배경의 요소로 이야기가 꾸며졌다. 그래서 설화는 소설의 시작이기도 하다.
  • 설화의 내용은 비현실적인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을 더욱 비범하게 보이기 위해 혹은,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을 넣어 인물의 행동을 특별하도록 꾸미곤 했다. 설화에서 사건은 인과 관계보다는 우연히 일어나는 일이 많아. 예를 들면,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지거나 사라지곤 한다.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 설화엔 삶의 지혜와 교훈이 담겨 있다. 재미 외에도, 사람들이 조상들의 삶의 지혜를 엿보고, 교훈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설화가 전해 내려올 수 있었다.

의의

인류의 초기 단계에서 설화는 신적인 존재를 찬양하고, 자신의 복을 빌기 위한 의식석상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때로는 설화가 사회의 규범을 알려주기 위한 수단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시대가 흐름에 따라 교훈적 기능이나 오락적 기능으로 바뀌었다. 설화는 호기심을 돋우는 줄거리를 통하여 듣는 사람에게 교훈을 준다.

또한 단순히 즐거움 때문에 구연되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놀거리가 다양해져 교훈적 기능이 약해졌으나,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함께 설화의 내용을 즐기는 오락적 기능은 여전히 남아 있다.

한국에서의 설화

한국의 고대설화가 정착한 것은 고려 때부터로,《삼국유사(三國遺事)》가 설화의 보고(寶庫)라 할만하다. 삼국유사 안에는 단군신화(檀君神話)를 비롯한 수많은 신화·전설이 수록되어있다.


관련항목

류선옥, "설화 교육이 학습자의 사고구조에 미치는 영향", 1996.,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재철, "한국설화문학의 탐구", 2009., 단국대학교출판부

설총, "단군신화·구토설화·주몽신화 외", 2013., 북앤북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설화 신화 A는 B를 포함한다
설화 전설 A는 B를 포함한다
설화 민담 A는 B를 포함한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설화 [說話]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설화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 국립민속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 설화 [說話] - 옛이야기 (초등국어 개념사전, 2010. 3. 25., (주)북이십일 아울북)


작성자 및 기여자

청바지 김새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