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이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율곡 이이
김은호가 그린 이이의 초상화

시대 조선시대
본명 덕수
별칭 자(字): 숙헌(叔獻),호(號): 율곡(栗谷),석담(石潭),우재(愚齋),시호: 문성(文成),별칭: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
출생 1536년 음력 12월 26일 조선 강원도 강릉부 죽헌동 오죽헌 몽룡실
사망 1584년 2월 27일 조선 한성부 대사동 자택
직업 문관 겸 성리학자
종교 유교(성리학) > 불교 > 유교(성리학)
가족 아버지:이원수,어머니:신사임당, 서모:권씨 측실, 배우자:곡산 노씨부인 자녀:이씨

내용

율곡 이이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다. 

시호는 문성(栗谷)이며 서인의 영수로 추대되었다. 9번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구도장원공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생애

율곡 이이는 1536년 강원도 강릉부 죽현동에 있는 외가인 오죽헌에서 이원수신사임당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인 신사임당이 학문적 소양이 깊었으며 높을 덕을 가진 사람이었고 자유롭게 자식들을 교육했다. 그렇기에 이런 어머니 밑에서 자란 이이 또한 매우 총명한 아이로 자랄 수 있게 되었다. 이이는 생후 1년만에 말과 글을 깨우쳐서 신동이라는 소리를 주변에서 들었다. 3세 때는 글을 다 깨우쳤으며 신사임당의 글과 그림을 흉내 낼 정도였다. 4세 때는 <사략>의 첫 권을 배웠는데 스승보다도 능력이 뛰어났다고 한다. 이이는 효성이 깊어 5세 때 어머니가 병으로 눕자, 사당에 들어가 매일 1시간 씩 기도를 올렸다고도 한다. 11세 때도 아버지가 병으로 눕자, 자신의 팔을 칼로 찌르고 그 피를 아버지의 입에 넣었다고 한다. 1548년, 13살에 진사 초시에 장원 급제를 했다. 16세 때에는 유교 경서 뿐만이 아닌 다양한 학문들을 깊게 익히고 성리학을 연구했다. 스승없이 조광조를 사숙하다가 조광조의 문하생인 백인걸을 찾아가 가르침을 받았다. 1564년 이이는 국가를 위해 일하기 시작하였고, 윤원형이 승려를 끌어들여 비행을 일삼자 상소를 올리며 윤원형을 관직에서 몰아내게 되었다. 관료생활을 하면서도 계속 이황,조식,성혼,정철등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학문을 연구했다. 이후에는 명나라에 갈 때 사신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동행하기도 했다. 이이는 허례와 허식을 비판했지만, 도덕과 윤리라는 이름 아래 형식적이며 겉치례가 많았던 당시 사회에서 이이의 의견을 받아들여지기 어려웠다. 그러나 사심없이 사물을 판단하려는 이이의 태도를 선조는 좋게 받아들였다. 1570년 관직을 사퇴하고 황해남도 해주 야두촌에 돌아가 학문의 터를 닦기 시작했다. 그 다음해인 1571년에는 다시금 조정의 부름을 받고 내려가 백성들의 자치 생활을 권장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1572년 이준경이 죽기 직전, 당이 나뉘어 사람들이 다투게 될 거고 그 중심에는 이이가 있을 거라 말했다. 이이는 이를 자신을 모함하려는 것이라고 반박했으며, 또한 자신은 붕당정치를 무조건 비판하지 않고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동인과 서인의 당쟁이 심해지자 동인김효원, 서인심의겸정철을 동시에 탄핵시키며 당쟁을 조절하려 하였으나, 동인들은 이이가 불교로 들어가 승려가 된 것, 이이의 재종조부 이가가 탐관오리의 사위라 관직에 제한을 받아야했으나 이인적의 도움으로 출세하여 이후 명동을사사화에 가담했다는 것을 빌미로 이이를 공격했다. 이이는 다시금 사회의 기강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아래와 같은 내용을 주장했다.

  1. 문벌이나 출신보다는 능력 있는 사람을 기용하자.
  2. 신분을 가리지 말고 평민을 포함하여 폭넓게 인재를 양성하자.
  3. 중앙에서는 외척의 권력 집중화를 막고, 지방에서는 수령의 자질을 높이며 이서(吏胥)들에게도 녹봉을 주어 민폐를 막아야 한다.
  4. 붕당을 막기 위해서는 사림의 공론을 존중하고 사기를 높여야 한다.
  5. 민생을 괴롭히는 방납을 시정해야 한다.
  6. 왕실 사유재산을 억제하고 왕실의 경비를 줄여야 한다.
  7. 군포에 대한 족징과 인징을 금지해야 한다.
  8. 공노비의 선상(選上)을 개선하여 부담을 줄여야 한다.
  9. 사창제를 실시하여 빈민을 구제해야 한다.

특징

율곡 이이가 주장한 이론이다.

  • 서얼 허통론:1583년 국난을 극복하고자, 이이는 서얼 또한 전쟁에서 공훈을 세우거나 군량미를 내면 관직에 오를 수 있는 기회를 주자는 주장을 했다.
  • 십만 양병설:현재 우리나라의 군사력은 타국에 비하면 약하므로, 일본의 도발에 대한 대응으로 10만병의 병사를 양성하여 침략에 대비하자는 주장이다.


오천원.png

오만원권에 들어간 어머니 신사임당과 함께, 율곡 이이는 오천원권에 들어갔다.


관련 자료

  • 영상 자료

외부 링크

문서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