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친왕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친왕2.jpg

정의

1877(고종 14)~1955. 조선 말기 왕족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이평길(李平吉). 호는 만오(晩悟). 의왕(義王)·의친왕(義親王) 또는 의화군(義和君)이라고도 불린다. 고종의 다섯째아들이며, 어머니는 귀인장씨(貴人張氏)이다. 1891년(고종 28) 12월 의화군에 봉하여졌으며, 1893년 9월 김사준(金思濬)의 딸을 맞아 가례(嘉禮)를 올렸다.


일생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제1대 황제인 고종과 귀인 장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호는 만오(晩悟)며, 초명은 평길(平吉)이었고 이름은 이강(李堈)이다. 1891년(고종 28)에 의화군에 봉해졌다.

1894년 보빙대사(報聘大使)로 도일하여 일제의 청일전쟁 승리를 자축하는 연회에 참석하였다. 이듬해 6개국 특파대사(特派大使)로 영국·독일·프랑스·러시아·이탈리아·오스트리아 등을 차례로 방문하고 1896년 귀국했다.1899년(광무 3) 미국에 유학을 가서 오하이오주 웨슬리언대학교와 버지니아주 로노크대학(Roanoke College)에서 공부했다. 미국에서 유학생 시절에 의친왕에 봉해졌다. 을사조약이 있던 1905년 미국에서 귀국하여 대한제국 육군 부장, 적십자사 총재가 되었다.


1919년 일진회에서 활동하다 독립운동에 헌신한 전협, 최익환 등과 협의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탈출하고 상하이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할 것을 결심하였다. 당시 조선 황족 중에서 유일하게 항일투쟁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인물로 평가된다.

그는 일제 경찰의 감시를 피해 기차로 평양을 거쳐 신의주에서 압록강철교를 건너 만주에 도착하였다. 하지만 의친왕이 자택에서 사라지자 대대적인 체포 작전을 전개한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다시 국내로 송환되었다. 그의 망명실패로 국내 항일 조직이었던 대동단 조직도 큰 타격을 입었다. 1927년 그 뒤 여러 번 일본 정부로부터 도일을 강요받았으나, 거부하고 끝까지 배일(排日)정신을 지켰다.


말년

해방 후에는 김구와 김규식이 상해임시정부 각료들과 의친왕을 방문하기도 했다. 딱히 정치적인 경향을 보이거나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으면서 단순한 사회원로 정도로 말년을 누리고 있었으나 황족 재산이 국유화되고 황실 인사를 배척하던 이승만이 정권을 잡으면서 물질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소외당한다.


그리고 6.25 한국전쟁도 겪는데, 의친왕은 고종의 자녀들 중에서 유일하게 전쟁에 휩쓸린다. 개전 후 불과 3일만에 서울이 공산군에 의해 함락당했는데 인민공화국 치하의 서울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면서 피죽만 겨우 먹는 생활을 하게 되었다. 이후 1.4후퇴 무렵에는 부산으로 피난을 떠났는데 70노구를 이끌고 피난을 가며 상당한 고생을 하였다. 그 과정에서도 역시 제대로 못 먹었으니 자연스레 영양실조에 각종 질병에 시달리게 되었다.


그러다 결국 노환이 겹쳐, 1955년 8월 15일, 79세를 일기로 타계하였다. 임종하기 며칠 전, 천주교 서울대교구 가회동 성당 제3대 주임 박우철 바오로 신부로부터 '비오'라는 세례명으로 세례성사를 받았다.


사후 어머니 귀인 장씨의 묘소가 있는 서삼릉 묘역에 매장되었다가 의친왕의 자녀들이 홍유릉 묘역에 매장된 의친왕비(김수덕)와의 합장을 추진해 1996년 유해를 이장해 합장묘로 조성했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