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백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강백(1947~)

생애

이강백은 대한민국의 극작가이다.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나 197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다섯》이 당선됨으로써 등단하였다. 극단 '가교'의 일원이었다. 무학(無學)의 학력(學歷)으로 1982년에서 1990년까지 크리스찬아카데미 문화부장을 지냈고, 1990년에서 1997년까지는 동아연극상 심사위원을 맡았다. 한편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강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강사, 객원교수 등을 지내고, 2003년부터 서울예술대학교 극작과 교수로 재임, 2012년 퇴직하였다. 퇴직 이후 연극 극작을 주로 하고있다.

오태석과 이강백.jpg 한국의 극작가 오태석(좌)과 이강백(우)

작품세계 (활동내역)

이강백의 작품은 늘 당대의 시대와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작품의 경향이 달라지는 것이 한눈에 드러나는 작가였다. 연극 평론가 이경미는 “이강백의 작품은 늘 작품이 발표된 ‘그 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이강백의 70, 80년대의 작품은 많이 공연되지 않는다.” 라고 평했다.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이 곧 이강백 희곡의 발전양상이라는 판단에 기초해 현재까지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자

유신정권.jpg 유신집권기 시절 박정희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의 모습

-1기 정치 비판 경향 (1971년 <다섯> ~ 1979년 <개뿔>) 이 시기는 이강백이 등단했던 유신집권기 라는 시대와 맞물려 초기와, 후기로 나뉜다. 초기에는 단막극을 쓰면서 위기를 조장하는 세력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권력을 유지하는 지를 살폈다. 그리고 그 상관관계를 극으로 표현해냈다. 또한 정치사에 대한 장막극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소재의 채용은 근본적으론 비민주적인 권력에 대한 비판의식을 노리는 것이었다. 또한 초창기로서 우의적 비유<파수꾼>, 설화의 채용<>, 등 그의 작품들의 기본적인 특성이 대두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론 <파수꾼>, <>, <내마> 등이 있다.

탄광촌.jpg 1986년 탄광촌을 꽉 채운 광부사택 모습

-2기 빈부의 갈등 비판 경향 (1980년 <족보> ~ 1992년 <영자와 진택>) 1980년 발표한 <족보>부터 이강백은 가진 자와 못가진 자의 문제를 다루는데 전념한다. <족보>는 그 동안 남을 속이며 살아온 집안의 가장이 유서로 그 동안 남을 속이며 모아온 재물을 모두 돌려주라는 유언을 남기는 데서 시작하는 작품이다. 뒤이어 나온 <쥬라기의 사람들>은 탄광촌의 쟁의가 소재이다. 돈을 적게 들이려 노력하는 회사의 입장을 대변하는 소장과 노동자들의 갈등이 기본 구조다. 이 시기에는 단순히 소재만이 바뀐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알레고리를 약화시키려는 시도로 사실성을 높이거나 혹은 설화의 이야기 구조를 차용하려고 한다. 그뿐이 아니라 서사극적 기법의 실험, 겹시공간의 창조 등 새로운 시도도 무르익는 시기다. 이시기의 대표작으론 <칠산리>, <봄날>, 등이 있다.


-기타 사회비판의식이 약한 작품들 이강백은 비판의식이 있는 작품만 발표한 것은 아니다. <결혼>을 시작으로 해서 1970년대 후반에 비판의식이 약해진 박품을 다수 발표한다. 이 작품들은 <결혼>이 재물이 되는 등, 보이지 않는 내면의 가치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2기의 후반으로 파악되는 1980년대 말미에도 이런 사회 비판의식이 흐려진 작품들이 다수 발표되었다는 것이다. <물거품> 등에서 드러나듯이 이 80년대의 작품군들도 보이지 않는 것의 가치를 논한다. 이강백은 인터뷰를 통해서 1970년대의 변화는 알레고리의 틀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환이라고 말한 바가 있다. 1980년대 말기에도 이러한 작품군들 이후에 <북어대가리>부터는 작품 경향이 변하는데 이렇게 보면 이러한 작품들의 발표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단계에서의 이강백의 작가적 특성이기도 하다.

작품 및 저서

이강백 희곡전집1.jpg


이강백 희곡전집2.jpg


이강백 희곡전집3.jpg


이강백 희곡전집4.jpg


이강백 희곡전집5.jpg


이강백 희곡전집6.jpg


이강백 희곡전집7.jpg

이강백 희곡전집8.jpg


북어대가리 공연사진.jpg

기타(수상내역 등)

관련항목

관련 논문

『이강백의 ‘작품(oeuvre)성’ 연구』 이은하. 2010

『이강백 초기 희곡에 나타난 고독의 미학 : 〈셋〉과 〈다섯〉을 중심으로』 이상란. 2017

『이강백 드라마의 서사적 특징 연구』 이상복. 2008

『이강백의 희곡세계와 연극미학 - ‘환멸’과 ‘어머니찾기 모티프’ 작품군을 중심으로』 김성희. 1997

『이강백 희곡의 우화와 현실의 상관관계』 신아영. 2007

『이강백 희곡의 반복 구조와 반복의 철학』 백현미. 1999

『이강백 희곡의 알레고리 연구』 최선영. 2012

연결 관계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이강백 희곡 A는 B를 썼다
이강백 서사극 A는 B를 썼다
이강백 설화 A는 B를 썼다
이강백 알레고리 A는 B를 사용했다
이강백 여우인간 A는 B를 썼다
이강백 북어대가리 A는 B를 썼다
이강백 영월행 일기 A는 B를 썼다
이강백 보석과 여인 A는 B를 썼다
이강백 황색여관 A는 B를 썼다
이강백 봄날 A는 B를 썼다
이강백 느낌, 극락같은 A는 B를 썼다
이강백 파수꾼 A는 B를 썼다
이강백 결혼 A는 B를 썼다
이강백 가교 A는 B에 소속되었다
이강백 서울예술대학교 A는 B에 소속되었다
이강백 크리스찬아카데미 A는 B에 소속되었다
이강백 구태환 A는 B와 작업했다
이강백 김광보 A는 B와 작업했다
이강백 김혜순 A는 B와 결혼했다
이강백 이성열 A는 B와 작업했다
이강백 정대경 A는 B와 작업했다

참고문헌

  • 생애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10475&cid=40942&categoryId=33385 매일경제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080719 PLAY DB

  • 유신집권기

주간조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10/2017111001816.html?Dep0=twitter&d=2017111001816

  • 탄광촌

오픈아카이브 http://db.kdemocracy.or.kr/isad/view/00701023

  • 작품세계 (활동내역)

『알고리즘 작가 이강백 생애와 작품경향, <봄날>, <물고기남자>분석』 레포트 2010

  • 이강백, 오태석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3/08/2007030800045.html

  • 작품및 저서, 책표지

인터파크

  • 수상내역, 공연사진

PLAY DB http://www.playdb.co.kr/artistdb/detail.asp?ManNo=3901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