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세덕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함세덕(1915~1950)

개요

한국의 문학인, 극작가이다.

생애

1915년 3월 인천에서 출생했다. 목포공립보통학교에 입학했지만, 1929년 인천공립보통학교로 전학, 졸업했다. 1934년 인천상업학교를 졸업했다.


졸업 후 일본인이 경영하는 일한서방(日韓書房)에 입사했으나 1년 만에 그만두었다. 이 무렵 유치진, 김소운 등과 교류하면서 극작법을 배웠다. 1936년 『조선문학』에 단막희곡 「산허구리」로 등단했으며, 1939년 동아일보 주최 제2회 연극대회에 참가 「동승(童僧)」을 공연하여 극연좌상(劇硏座賞)을 받았다. 연이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해연(海燕)」이 당선되었으며, 「낙화암」,「오월의 아침」, 「동어(冬魚)의 끝」, 「서글픈 재능」, 「심원의 삽화」 등 여러 작품을 발표했다.


1941년 3월 친일극단 현대극장(1941)(現代劇場) 창립회원, 조선극작가동호회 회원으로 참여했다. 1942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전진좌(前進座) 연출부에 들어가 본격적인 연극수업을 받았다. 1943년 친일희곡 「에밀레종」을 창작했다. 또한 조선연극문화협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해방 후 발 빠르게 변신하여 좌익극단 낙랑극회(樂浪劇會)를 조직하고 창립공연으로 「산적」을 공연했다. 좌익계열 조선연극건설본부에 가담했으며, 조선연극동맹에 참여해 좌익문예 활동을 했다. 문예활동으로는 사회 비판과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희곡 「기미년 3월 1일」, 「태백산맥」,「고목」, 「소위대통령」등을 발표했다. 1950년 한국전쟁 중 사망했다.

활동 배경과 평가

  • 함세덕의 작품은 일제 말 친일작가요 월북작가로서 오랫동안 연구의 길이 막혀있었기 때문에 작품 경향이 외국 작품의 모방에 기울어져 있다는 평가가 있었다.
  • 해금 이후 그의 희곡들이 다시 읽혀지고 당 시대의 수준을 뛰어넘는 극작 기량이 인정되었다.
  • 모방작의 혐의를 받던 작품에 대해 창조성을 인정하고, 친일이나 좌익 등 이념의 색채를 띤 작품에서도 함세덕의 작품세계를 알 수 있다.
  • 함세덕은 시대상황에 따라 항일, 친일, 좌익 등 민감한 변화를 보이면서도 낭만주의적 정서에 기반을 둔 사실주의극의 집필에 몰두하였었다. 그는 특히 어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즐겨 썼는데, 이는 그의 성장지가 인천이었다는 사실 외에도, 어촌이야말로 자연의 서정성과 생존의 절박성을 뚜렷이 담고 있는 공간이라는 데 이유가 있다.

작품세계 (활동내역)

함세덕의 작품들은 초기 중기 후기에 거쳐서 많은 부분이 변화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혀 접점이 없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함세덕의 작품이 순수, 친일, 좌익극의 형태를 띌때도 소년형 인물(함세덕 작품의 인물설정)은 거의 항상 등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인물 설정을 통해 어른들로 인해 고통받는 어린이들의 모습을 그려내며 등장인물들이 그러한 고난을 통해 성장하거나 아니면 후기의 작품과 같이 등장인물들이 그러한 상황을 바꾸기위해 노력하는 자주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것을 볼때 함세덕은 소년형 인물(함세덕 작품의 인물설정)을 통해 그가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어 했던 모습을 표현하고자 했음이 드러난다.

소년형인물 이란?

함세덕 희곡의 등장하는 14~18세의 인물들을 이르는 것으로 함세덕의 작품이 초기 중기 후기를 거치면서 많은 변화를 보여주면서 변신의 귀재라는 별명도 얻었지만

그러한 와중에도 그의 대부분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형태이다 대표적으로 동승의 도념, 산허구리의 석이, 무의도 기행의 천명, 해연의 세진과 진숙, 에밀레종의 13세 혜공왕,심원의 삽화의 소학교를 다니는 전처의 아들, 감자와 쪽제비와 여교원의 여교사 수방, 낙화암의 어린 세왕자, 기미년 3월 1일에 등장하는 중학생등이 있다.

초기의 소년형 인물

초기의 소년형 인물은 성장 모티프에 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성장 모티프는 탐색의 과정을 통한 발견을 통해 이루어 지는 것으로 이를 연극 기호학에서는 이를 '탐색의 모델'이라고 칭한다.

여기서 주로 나타나는 형태는 주체 X가 대상 Y를 추구한다 이며 여기서 주체 X는 바로 소년형 인물이다.

동승의 경우

동승의 경우 주인공인 도념은 14살의 사미승이며 비구니가 파계하면서 낳은 아이이다. 여기서 도념이 추구하는 것은 바로 모성이다. 그는 어릴때 부터 어머니를 보지 못하고 자라왔고 항상 어머니가 나중에 데려올거라는 믿음을 항상 가지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절에 온 미망인을 보고 그의 수양 아들로 들어 가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그를 이 절에서 구원해줄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 스스로 절을 떠나게 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데 이때 표면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어미니를 비롯한 모성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신이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는가에 대한 자아 탐색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는 도념이 자아 탐색을 할 정도로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숙명을 따르라던 미망인과 주지와 달리 그들의 세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념만의 세계를 추구하게 된 것을 보여준다.

산허구리의 경우

산허구리의 주인공인 석이는 불행만 가득한 노어부 가족의 작은 아들로 어머니는 아들을 잃은 충격으로 실성하고 아버지인 노어부는 술에 찌들어 산다 그리고 그의 첫째 누나는 남편을 바다에서 잃어서 궂은 날씨에도 조개를 캐면서 생계를 꾸려나가고 있다. 여기서 주인공인 석이는 매형과 지신의 친형이 바다로 인해 죽었다는 사실을 보았고 또한 이러한 가족의 불행이 바다뿐만이 아닌 작품속에 등장하는 물고기 유통과정 전반의 걸쳐있는 어두운 면에 의한것을 을 보여주게 된다 이러한 점을 본 석이는 절망에 빠저버린 다른 가족들과는 달리 신작로라는 산허구리 이외의 새로운 공간을 제시하며 이러한 현실에 대한 판단을 하고 긍정적인 부분을 탐색하는 주체로써의 석이의 성장을 보여 준다.

해연의 경우

외딴 섬에 살고 있던 세진과 진숙은 예술가를 꿈꾸던 세진이 진숙을 모델로 그림을 그려주면서 서로간의 사랑을 확인하게 되지만 결국 그 둘이 이복남매라는 사실이 들어나면서 사랑은 실패 하게 되지만 일반적으로 사랑의 실패가 가져오는 비극적 결말과는 달리 그 둘은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었게 되면서 성적인 성숙을 이뤄 냈다고 말할 수 있다.

후기의 소년형 인물

초기의 소년형 인물이 어린이들의 수난을 보여 준것이라면 후기의 소년형 인물(1940년 이후 작품)은 좀더 진취적이고 자신을 억압하던 가부장적인 요소를 교정하고 극복하는 인물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소년형 인물의 중요성

과거에는 함세덕의 작품을 초기에는 서정적인 리얼리즘 중기에는 국민연극 후기에는 좌익극의 성격을 많이 띈다고 하여 그 세가지를 극명하게 나누었지만 소년형 인물은 그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거의 유일한 요소로 그의 작품이 어느정도의 일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소년형 인물은 함세덕 작품 연구에 아주 중요학 역할을 하는 요소이자 함세덕 본인이 작품속에서 끊임 없이 추구하고자 했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있다.

작품 및 저서

창작 연도 작품 제목
1936 산허구리
1939 동승
1940 해연
1940 낙화암
1940 오월의 아침
1940 동어의 끝
1940 서글픈 재능
1941 심원의 삽화
1941 무의도기행
1941 감자와 쪽제비와 여교원
1941 흑경정
1942 추장 이사베라
1943 에밀레종
1943 남풍
1943 황해
1944 청춘
1945 백야
1946 기미년 3월 1일
1947 고목
1947 산적
1947 태백산맥
1949 소위대통령
1949 산사람들

기타

  • 한국 전쟁 이전에 월북한 뒤 북조선연극동맹에 가담하여 남한의 현실을 비판하는 작품을 쓰면서 활발히 활동했다. 제주 4·3 항쟁을 소재로 한 「산사람들」, 이승만 대통령이 등장하는 풍자 희곡이자 그의 마지막 작품이 된 「소위대통령」이 대표적이다.
  •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과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 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친일 작품 수는 「추장 이사베라」 등 희곡 4편을 포함하여 총 6편이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함세덕 동승 함세덕은 동승을 만들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강대학교 석사논문(함세덕 초기 희곡의 성장 모티프 연구 : 「동승」,「산허구리」,「해연」을 중심으로) 저자: 박윤경

함세덕과 아이들- 함세덕 희곡의 소년형 인물이 갖는 의미(한국극예술연구 제29집, 2009.4, 85-122 (38 pages)) 저자: 이상우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문성철

기여자: 양지수

기여자: 조효지

기여자: 최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