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연산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성자 및 기여자)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6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수연산방'''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수연산방'''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수연산방.jpg|500px]]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수연산방.jpg|400px]]
 
|-  
 
|-  
| style="text-align:center;"|'''주소''' || 서울 성북구 성불록26길 8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 
 +
| style="text-align:center;"|'''건립시기''' || 1933年
 
|-  
 
|-  
| style="text-align:center;"|'''운영 시간''' || 매일 11:30-22:00 월요일 휴무
+
| style="text-align:center;"|'''면적''' || 일곽(120평)
 
|-  
 
|-  
| style="text-align:center;"|'''메뉴'''|| 대추차(11,500원), 생강차(온)(10,500원), 단호박빙수(11,500원), 엄마손 순 단호밤범벅(12,500원)
+
| style="text-align:center;"|'''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6길 8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248)
 +
|-
 +
| style="text-align:center;"|'''문화재지정''' || 서울특별시 시도민속문화재 제11호
 +
|-
 +
| style="text-align:center;"|'''문화재지정일''' || 1977年 03月 17日
 +
|-
 +
| style="text-align:center;;" |'''소유자''' || 조내혁
 +
|-
 +
| style="text-align:center;"|'''관리자''' || 조내혁
 +
|-
 +
| style="text-align:center;"|'''전화번호''' ||  02-764-1736
 +
|-
 +
| style="text-align:center;"|'''관련 홈페이지''' ||  성북구 문화관광 http://www.seongbuk.go.kr/tour
 +
|-
 +
|}
 
</onlyinclude>
 
</onlyinclude>
  
 +
 +
 +
 +
=개요=
 +
*'''상허 [[이태준]]선생'''이 1933년부터 1946년까지 13년간 거주한 한옥 별장이다. 이곳에 머무는 동안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968196 달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753811 돌다리]',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9203322 황진이]' 등 그의 대표작을 집필했다. 또한, [[이효석]], [[정지용]], [[박태원]] 등의 문인들과도 자주왕래하며 문학적 교류를 나눈 곳이다. 그러다 해방이 되고 좌우익의 이념이 달라 갈등하던 그는 1946년 큰누이의 딸에게 집을 맞기고 월북했다.
 +
 +
*현재는 그의 생외손녀 조상명이 1999년부터 찻집으로 운영하고 있다. 찻집의 이름인 [[수연산방]](문인들이 모이는 산속의 작은 집)은 1933년 이태준이 직접 지은 당호를 이어받은 것이다. 그의 수필<[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51508 무서록]>에는 이 집을 지은 과정과 집터의 내력 등이 쓰여 있다. 1977년 3월 17일 시도민속문화재 제11호에 지정되었다.
 +
 +
=위치=
 +
*주소 : 서울 성북구 성북로 26길 8
 +
 +
*지도
 +
<div>
 +
{{
 +
#display_map:
 +
Seoul City;
 +
37.595411, 126.994744~ [[수연산방]]
 +
|service=googlemaps3
 +
|width=300
 +
|height=3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2
 +
}}​
 +
</div>
 +
 +
*가는 길(4호선 [http://www.hansung.ac.kr/web/www/home 한성대학교]입구역 출발 기준)
 +
**대중교통 : 성북 03번, 2112번, 1111번 버스를 이용하면 약 15분 이내로 도착
 +
**자동차 : 약 6분
 +
 +
=건물 특징=
 +
*아담하고 화려하며 공간의 기능을 집약시킨 듯한 구성으로 대중적인 찻집이나 카페와는 달리 전통 한옥이 주는 색다른 느낌을 준다.
 +
*마루로 올라서 거실로 가면 이태준이 쓰던 책장과 붓통, 탁자 등을 볼 수 있다.
 +
 +
=기타=
 +
*영업시간 : 매일 11:30 - 22:00 (월요일 휴무)
 +
*전화번호 : 02-764-1736
 +
*주차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만차 시 인근 유료주차장 이용
 +
*사전 예약가능
 +
*메뉴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
 +
!메뉴||가격
 
|-
 
|-
 +
|대추차||11,500원
 +
|-
 +
|생강차(온)||10,500원
 +
|-
 +
|단호박빙수(1인분)||11,500원
 +
|-
 +
|단호박빙수(2인분)||21,500원
 +
|-
 +
|엄마손 순 단호박범벅||12,500원
 +
|}
 +
 +
=내부 사진=
 +
[[파일:수연산방4.JPG|300px]]
 +
[[파일:수연산방1.JPG|300px]]
 +
[[파일:수연산방2.JPG|300px]]
 +
[[파일:수연산방3.JPG|300px]]
 +
[[파일:수연1.jpg|300px]]
 +
[[파일:수연3.jpg|300px]]
 +
[[파일:수연4.jpg|300px]]
 +
[[파일:수연2.jpg|300px]]
 +
 +
=동영상=
 +
<youtube>vBQQB5e2-jA</youtube>
 +
 +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 [[임지영]]
  
 +
기여자 : [[한승원]], [[우민혁]], [[안애린]], [[김우진]]
  
==소개==
+
[[분류:장소]]
수연산방은 전통 한옥에 문을 연 전통 찻집 1호. 성북동에 위치한 수연산방은 문장강화와 무서록을 쓴 상허 [이태준]의 고택을 손녀가 찻집으로 낸 곳이다. 시간의 흐름에서 벗어나 온전히 쉴 수 있는 여유가 좋은 집. 집의 규모가 작아 많은 손님을 받을 수 없는데 본채에는 사랑방, 안방, 마루까지 해서 차탁 6개 정도가 마련되어 있다. 마당에도 테이블을 놓고, 라일락 나무 아래도 둥그런 벤치와 테이블을 두었다.
+
[[분류:임지영]]
 +
[[분류:한승원]]
 +
[[분류:우민혁]]
 +
[[분류:안애린]]
 +
[[분류:김우진]]

2018년 6월 21일 (목) 21:16 기준 최신판



개요

  • 상허 이태준선생이 1933년부터 1946년까지 13년간 거주한 한옥 별장이다. 이곳에 머무는 동안 '달밤', '돌다리', '황진이' 등 그의 대표작을 집필했다. 또한, 이효석, 정지용, 박태원 등의 문인들과도 자주왕래하며 문학적 교류를 나눈 곳이다. 그러다 해방이 되고 좌우익의 이념이 달라 갈등하던 그는 1946년 큰누이의 딸에게 집을 맞기고 월북했다.
  • 현재는 그의 생외손녀 조상명이 1999년부터 찻집으로 운영하고 있다. 찻집의 이름인 수연산방(문인들이 모이는 산속의 작은 집)은 1933년 이태준이 직접 지은 당호를 이어받은 것이다. 그의 수필<무서록>에는 이 집을 지은 과정과 집터의 내력 등이 쓰여 있다. 1977년 3월 17일 시도민속문화재 제11호에 지정되었다.

위치

  • 주소 : 서울 성북구 성북로 26길 8
  • 지도
지도를 불러오는 중...
  • 가는 길(4호선 한성대학교입구역 출발 기준)
    • 대중교통 : 성북 03번, 2112번, 1111번 버스를 이용하면 약 15분 이내로 도착
    • 자동차 : 약 6분

건물 특징

  • 아담하고 화려하며 공간의 기능을 집약시킨 듯한 구성으로 대중적인 찻집이나 카페와는 달리 전통 한옥이 주는 색다른 느낌을 준다.
  • 마루로 올라서 거실로 가면 이태준이 쓰던 책장과 붓통, 탁자 등을 볼 수 있다.

기타

  • 영업시간 : 매일 11:30 - 22:00 (월요일 휴무)
  • 전화번호 : 02-764-1736
  • 주차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만차 시 인근 유료주차장 이용
  • 사전 예약가능
  • 메뉴
메뉴 가격
대추차 11,500원
생강차(온) 10,500원
단호박빙수(1인분) 11,500원
단호박빙수(2인분) 21,500원
엄마손 순 단호박범벅 12,500원

내부 사진

수연산방4.JPG 수연산방1.JPG 수연산방2.JPG 수연산방3.JPG 수연1.jpg 수연3.jpg 수연4.jpg 수연2.jpg

동영상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 임지영

기여자 : 한승원, 우민혁, 안애린, 김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