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성칠(聖七), 호는 겸곡(謙谷)·백암(白巖). 황해도 황주 출생. 농촌 서당 훈장 박용호(朴用浩)의 아들이다. 국권을...)
 
 
1번째 줄: 1번째 줄: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성칠(聖七), 호는 겸곡(謙谷)·백암(白巖). 황해도 황주 출생. 농촌 서당 훈장 박용호(朴用浩)의 아들이다. 국권을 잃은 후 중국에 망명해 독립운동에 종사할 때에는 박기정(朴箕貞)이라는 별명을 쓰기도 했고, 태백광노(太白狂奴) 또는 무치생(無恥生)의 별호를 쓰기도 하였다.
+
일제강점기 『안중근전』, 『한국통사』, 『대동민족사』 등을 저술한 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네이버 지식백과] 박은식 [朴殷植]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6월 10일 (금) 16:16 기준 최신판

일제강점기 『안중근전』, 『한국통사』, 『대동민족사』 등을 저술한 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