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잠단지 ver.2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선잠 박물관)
8번째 줄: 8번째 줄:
 
[[파일:선잠단지 정류장.jpg|500px]]
 
[[파일:선잠단지 정류장.jpg|500px]]
  
선잠단지, 성락원 정류장에서 내리면 선잠단지 - 선잠 박물관 순으로 편하게 가실 있습니다.
+
선잠단지, 성락원 정류장에서 내리면 선잠단지 - 선잠 박물관 순으로 편하게 있다.
  
 
===선잠단지===
 
===선잠단지===
33번째 줄: 33번째 줄:
 
[[파일:선잠단지 가는길2.jpg|300px]]
 
[[파일:선잠단지 가는길2.jpg|300px]]
  
그 길 따라 쭉 내려오시면 바로 왼쪽에 선잠단지가 있습니다.
+
그 길 따라 쭉 내려오면 바로 왼쪽에 선잠단지가 있다.
  
 
[[파일:선잠단지 입구.jpg|300px]]
 
[[파일:선잠단지 입구.jpg|300px]]
57번째 줄: 57번째 줄:
 
[[파일:선잠단지 입구2.jpg|300px]]
 
[[파일:선잠단지 입구2.jpg|300px]]
  
이제 이 선잠단지 계단에서 내려와 작은 횡단보도를 건너 쭉 직진하면
+
선잠단지 계단에서 내려와 작은 횡단보도를 건너 쭉 직진하면
  
 
[[파일:선잠 박물관 가는 길.jpg|300px]]
 
[[파일:선잠 박물관 가는 길.jpg|300px]]
  
도보 약 5분 이내로 선잠 박물관에 도착하실 있습니다.
+
도보 약 5분 이내로 선잠 박물관에 도착할 있다.
  
 
[[파일:선잠 박물관 입구.jpg|300px]]
 
[[파일:선잠 박물관 입구.jpg|300px]]
68번째 줄: 68번째 줄:
  
 
==사진==
 
==사진==
 +
 +
===소개===
 +
 +
====선잠단지====
 +
누에치기를 처음 했다는 중국 고대 황제의 황비 서릉씨를 누에신(잠신蠶神)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
 +
세종대왕은 누에를 키우는 일을 크게 장려했는데, 각 도마다 좋은 장소를 골라 뽕나무를 심도록 하였으며, 한 곳 이상의 잠실을 지어 누에를 키우도록 하였다. 그러다가 중종 원년(1506)에는 여러 도에 있는 잠실을 서울 근처로 모이도록 하였는데 지금의 강남 잠실이 바로 옛 잠실들이 모여 있던 곳이다.
 +
 +
선잠단의 설치 이후 매년 3월에 제사를 지내다가 1908년 잠신이 의지할 자리인 신위를 사직단으로 옮기면서 지금은 그 터만이 남게 되었다.
 +
 +
====선잠 박물관====
 +
조선시대 서릉씨를 양잠의 신(蠶神)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냈던 사적 제83호 선잠단지는 우리 조상들이 의생활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했음을 상징하는 장소이다.
 +
선잠단지와 연계하여 역사성과 상징성을 제고하고 자랑스런 역사 문화를 계승, 가치를 알리며 시민이 공유할 수 있는 문화공간 조성을 위해 건립되었다.
 +
 +
===포토존===
 +
 
==주변==
 
==주변==

2022년 6월 20일 (월) 04:13 판

개요

선잠단지, 성락원앞 버스 정류장에서 내려, 선잠단지성북 선잠박물관으로 가는 길 안내와 주변 환경, 답사를 통해 선정해 본 포토존과 함께 장소 소개 및 역사에 대해 담고 있다.

위치

선잠단지, 성락원 앞 버스 정류장의 위치와 선잠단지로 가는 길, 선잠단지-선잠 박물관 가는 길을 안내하는 내용을 담았다.

선잠단지, 성락원

  • 정류장

선잠단지 정류장.jpg

선잠단지, 성락원 정류장에서 내리면 선잠단지 - 선잠 박물관 순으로 편하게 갈 수 있다.

선잠단지

  • 지도
지도를 불러오는 중...


  • 가는 길

선잠단지 가는길1.jpg

정류장 앞에 있는 편의점에서 직진하여 바로 있는 횡단보도를 건너서

선잠단지 가는길2.jpg

그 길 따라 쭉 내려오면 바로 왼쪽에 선잠단지가 있다.

선잠단지 입구.jpg

선잠 박물관

  • 지도
지도를 불러오는 중...
  • 가는 길

선잠단지 입구2.jpg

선잠단지 계단에서 내려와 작은 횡단보도를 건너 쭉 직진하면

선잠 박물관 가는 길.jpg

도보 약 5분 이내로 선잠 박물관에 도착할 수 있다.

선잠 박물관 입구.jpg

짠짠

사진

소개

선잠단지

누에치기를 처음 했다는 중국 고대 황제의 황비 서릉씨를 누에신(잠신蠶神)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세종대왕은 누에를 키우는 일을 크게 장려했는데, 각 도마다 좋은 장소를 골라 뽕나무를 심도록 하였으며, 한 곳 이상의 잠실을 지어 누에를 키우도록 하였다. 그러다가 중종 원년(1506)에는 여러 도에 있는 잠실을 서울 근처로 모이도록 하였는데 지금의 강남 잠실이 바로 옛 잠실들이 모여 있던 곳이다.

선잠단의 설치 이후 매년 3월에 제사를 지내다가 1908년 잠신이 의지할 자리인 신위를 사직단으로 옮기면서 지금은 그 터만이 남게 되었다.

선잠 박물관

조선시대 서릉씨를 양잠의 신(蠶神)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냈던 사적 제83호 선잠단지는 우리 조상들이 의생활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했음을 상징하는 장소이다. 선잠단지와 연계하여 역사성과 상징성을 제고하고 자랑스런 역사 문화를 계승, 가치를 알리며 시민이 공유할 수 있는 문화공간 조성을 위해 건립되었다.

포토존

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