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설명)
(작품 소개)
86번째 줄: 86번째 줄:
  
 
==작품 소개==
 
==작품 소개==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靑磁 象嵌菊花牡丹唐草文 母子盒)은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자 공예품이자 청자 그릇으로, 바깥쪽의 큰 그릇인  모합(母盒)과 그 안에 들어가는 작은 그릇인 자합(子盒) 5개로 이루어져 있다. 자합은 1개의 국화형 자합과 4개의 송엽형 자합으로 나눠진다.
+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靑磁 象嵌菊花牡丹唐草文 母子盒)은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자 공예품이자 [[청자]] 그릇으로, 바깥쪽의 큰 그릇인  모합(母盒)과 그 안에 들어가는 작은 그릇인 자합(子盒) 5개로 이루어져 있다. 자합은 1개의 국화형 자합과 4개의 송엽형 자합으로 나눠진다.
  
 
==작품 설명==
 
==작품 설명==

2022년 11월 16일 (수) 05:14 판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수정).jpg




















기본 정보

지정유형 보물
종류 유물/공예
시대 고려시대
비고 12세기 제작
소재지 성북동
지정일 1963.1.21
시기 미상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수량/면적 외합1세트, 내합5세트
  • 소재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작품 소개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靑磁 象嵌菊花牡丹唐草文 母子盒)은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자 공예품이자 청자 그릇으로, 바깥쪽의 큰 그릇인 모합(母盒)과 그 안에 들어가는 작은 그릇인 자합(子盒) 5개로 이루어져 있다. 자합은 1개의 국화형 자합과 4개의 송엽형 자합으로 나눠진다.

작품 설명

  • 크기: 모합은 높이 8.4cm, 지름 18.8cm, 국형자합은 높이 3.1cm, 지름 7.9cm이다. 송엽형자합은 높이 3.0cm, 길이 7.8cm이다. 이 중 가장 큰 크기의 모합은 사진보다 꽤 큰 크기이다.
  • 용도: 화장품을 넣어 두는 그릇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특징: 정연한 구성 안에 다양하고 변화 있는 문양 표현이 모색되어 있고, 부인 용기에 걸맞은 아기자기하고 섬세한 면모가 엿보인다.
  • 비슷한 작품: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 청자 가마터에서 나오는 파편에서 이와 비슷한 작품을 볼 수 있다.

작성자

한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