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필 여산초당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정선jpg.jpeg|300px]]
 
[[파일:정선jpg.jpeg|300px]]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60%;"
 +
!style="width:20%|분류 || style="width:50%"|내용
 +
|-
 
|'''지정유형'''|| 보물
 
|'''지정유형'''|| 보물
 
|-
 
|-
16번째 줄: 18번째 줄:
 
|-
 
|-
 
|'''시기'''|| 미상
 
|'''시기'''|| 미상
|-
 
|'''소유(관리)'''|| [http://kansong.org/ 간송미술관]
 
 
|}
 
|}
===지정유형===
 
보물
 
  
===종류===
+
===소유(관리): ===
유물/회화
+
[http://kansong.org/ 간송미술관]
 
 
===시대===
 
조선시대
 
 
 
===비고===
 
18세기 제작
 
 
 
===소재지===
 
성북동
 
 
 
===지정일===
 
2017.12.26
 
  
===시기===
+
{{
미상
+
#display_map:
 +
Seoul City;
 +
37.581856, 127.010383
 +
|service=googlemaps3
 +
|width=400
 +
|height=3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s://goo.gl/maps/FxQv5MGbTG6Ze5ci7
 +
|zoom=12
 +
}}​
  
===소유(관리)===
 
[http://kansong.org/ 간송미술관]
 
  
 
=='''소개'''==
 
=='''소개'''==
정선이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고사를 주제로 하여 그렸다.
+
*정선이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고사를 주제로 하여 그렸다.
  
정선의 정형산수도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
*정선의 정형산수도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개성적인 필묵법을 절충하여 사용했다.
+
*개성적인 필묵법을 절충하여 사용했다.
  
수묵화가 아닌 채색화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희소적인 가치를 보인다.
+
*수묵화가 아닌 채색화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희소적인 가치를 보인다.
  
  

2022년 11월 27일 (일) 23:50 판

정보

정선jpg.jpeg

분류 내용
지정유형 보물
종류 유물/회화
시대 조선시대
비고 18세기 제작
소재지 성북동
지정일 2017.12.26
시기 미상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소개

  • 정선이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고사를 주제로 하여 그렸다.
  • 정선의 정형산수도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 개성적인 필묵법을 절충하여 사용했다.
  • 수묵화가 아닌 채색화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희소적인 가치를 보인다.


작성자: 김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