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필 여산초당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42번째 줄: 42번째 줄:
 
}}​
 
}}​
  
=='''작품 설명'''==
+
==='''작품 설명'''===
  
==='''소개'''===
+
===='''소개'''====
 
*[[정선]]이 당나라 시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0020&cid=40942&categoryId=40016 백거이(白居易)]의 고사를 주제로 하여 그렸으며 그의 정형산수도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정선]]이 당나라 시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0020&cid=40942&categoryId=40016 백거이(白居易)]의 고사를 주제로 하여 그렸으며 그의 정형산수도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개성적인 필묵법을 절충하여 사용했다.
 
*개성적인 필묵법을 절충하여 사용했다.
 
*수묵화가 아닌 채색화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희소적인 가치를 보인다.
 
*수묵화가 아닌 채색화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희소적인 가치를 보인다.
  
==='''내용'''===
+
===='''내용'''====
 
이 작품은 여산을 배경으로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모습을 그린 고사인물도이다. 작품 속 백거이는 폭포 아래에 위치한 초당에 앉아 있다. 폭포와 초당 사이에는 대나무 숲이 있고 앞으로는 노송(老松) 한 그루와 연꽃이 핀 연못이 있다. 백거이는 마당을 걷고 있는 학을 바라보고 있다.
 
이 작품은 여산을 배경으로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모습을 그린 고사인물도이다. 작품 속 백거이는 폭포 아래에 위치한 초당에 앉아 있다. 폭포와 초당 사이에는 대나무 숲이 있고 앞으로는 노송(老松) 한 그루와 연꽃이 핀 연못이 있다. 백거이는 마당을 걷고 있는 학을 바라보고 있다.
  

2022년 11월 28일 (월) 16:10 판

정선 필 여산초당도(鄭敾 筆 廬山草堂圖)

정선jpg.jpeg

정선 필 여산초당도(鄭敾 筆 廬山草堂圖)조선시대 정선(鄭敾)이 당나라의 고사(故事)를 주제로 한 작품으로 현재 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에 보관되고 있다. 2017년 12월 2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953호로 지정되었다.

정보

분류 내용
지정유형 보물
종류 유물/회화
시대 조선시대
비고 18세기 제작
소재지 성북동
지정일 2017.12.26
시기 미상
참고 규격 : 125.5×68.7cm/ 재질 : 비단에 담채/ 형식 : 족자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작품 설명

소개

  • 정선이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고사를 주제로 하여 그렸으며 그의 정형산수도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 개성적인 필묵법을 절충하여 사용했다.
  • 수묵화가 아닌 채색화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희소적인 가치를 보인다.

내용

이 작품은 여산을 배경으로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모습을 그린 고사인물도이다. 작품 속 백거이는 폭포 아래에 위치한 초당에 앉아 있다. 폭포와 초당 사이에는 대나무 숲이 있고 앞으로는 노송(老松) 한 그루와 연꽃이 핀 연못이 있다. 백거이는 마당을 걷고 있는 학을 바라보고 있다.


작성자: 김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