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자료)
75번째 줄: 75번째 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B2%AD%EC%9E%90&ridx=0&tot=205# 청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B2%AD%EC%9E%90&ridx=0&tot=205# 청자]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2022년 11월 28일 (월) 18:39 판

청자

(靑磁)


소개

이름 청자
유형 개념용어
분야 공예

정의

철분이 조금 섞인 백토로 만든 형태 위에 철분이 1∼3% 정도 들어 있는 장석질 유약을 입혀 1,250∼1,300℃ 정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워낸 자기.

개설

이 때 유약의 색은 초록이 섞인 푸른색으로 비취색(翡翠色)과 흡사하고 투명에 가까우며 태토(胎土)의 색은 흐린 회색이기 때문에 청자의 색은 회색이 바탕이 된 녹청색이 되며 고려사람들은 이를 비색(翡色)이라 하였다.


청자의 태토와 유약은 청자를 만든 나라와 지방, 그것을 만든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고 굽는 방법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여기에 따라서도 태토와 유약의 색이 조금씩 다르다.


우리 나라 청자도 신라·고려시대에는 앞에 설명한 것과 같으나 조선시대에는 태토가 백색인 백태(白胎)청자도 있다. 중국의 경우에는 월주요청자(越州窯靑磁), 북송(北宋)의 여관요청자(汝官窯靑磁), 남송(南宋)의 관요청자(官窯靑磁), 용천요청자(龍泉窯靑磁)와 북방청자라 불리는 요주청자(耀州靑磁), 임여요청자(臨汝窯靑磁)가 모두 조금씩 다르며, 같은 용천요청자와 남송 관요청자 중에서도 조금씩 차이가 있다.


우리 나라 청자와 흡사한 중국청자는 월주요여관요청자인데 월주청자는 유약의 투명도가 약하고 갈색을 약간 머금은 올리브그린(olive green)색을 띠며 여관요청자도 유약의 투명도가 낮다. 남송 관요청자는 유약과 태토가 우리 청자와 비슷한 것도 있으나 태토가 흑색이며 청자색은 아주 흐리고 유약이 두껍고 불투명한 것이 있다.


용천청자는 유약이 두껍고 불투명하며 청자색이 아주 진한데 태토가 백색인 백태청자도 있다. 요주·임여요 청자계통은 유약이 갈색을 머금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태토와 유약 속에 섞여 있는 철분의 함유량과 환원염이냐 산화염이냐에 따라 나타난다.


최성기 우리 나라 청자는 환원번조로 고운 비취빛의 아름다운 비색 청자이지만 불길이 잘못되어(산화염) 황색이나 갈색을 머금고 있는 것이 있으며, 같은 그릇인데 어느 부위는 비취색이고 다른 부위는 갈색을 머금은 예도 상당량에 달한다.


중국 만당(晩唐)·오대(五代)의 월주청자와 북송 여관요청자, 남송 관요청자·용천요청자도 어떠한 일정한 시기 중에서 제한된 수량만이 명품이고, 모두가 비색(翡色)의 아름다움을 지닌 청자는 아니다. 그 시대가 지향하는 가장 이상적인 아름다운 청자는 최고의 정점에 도달한 일정한 시기와 특정한 지역에서만 가능할 수 있다.


관련자료

사진자료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jpg


청자 어룡형 주전자

청자 어룡형 주전자.jpg


청자압형수적

청자압형수적.jpg


영상자료

  • KBS 스페셜 - 고려청자 비색의 유혹

  • 고려가 만든 푸른빛의 자기, 고려청자

문서자료

청자

작성자 및 기여자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작성자 장유진

청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