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오층석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외부링크)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문경 오층석탑.jpg]]
+
[[파일:문경 오층석탑.gif]]
  
 +
=='''문경 오층석탑 (聞慶 五層石塔)'''==
 +
===지정유형===
 +
보물
 +
===종류===
 +
유물/석탑
 +
===시대===
 +
고려시대
 +
===비고===
 +
11세기 제작 추정
 +
===소재지===
 +
성북동
 +
===지정일===
 +
1974.10.2
 +
===시기===
 +
미상
 +
===소유(관리)===
 +
간송미술관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style="width:20%|상세 || style="width:80%"|내용
+
==소개==
|-
+
 
|지정유형 || 보물
+
간송미술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다.
|-
+
경상북도 문경에 있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 가려 하자, 전형필이 이를 수습하여 지금의 자리에 세워놓았다.
|종류 || 유물/석탑
+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려놓은 모습으로,각 부분이 거의 완전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
+
아래층 기단의 뚜렷한 안상조각,지붕돌 받침이 4단,3단 등으로 일정치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 고려시대의 석탑임을 짐작할 수 있다.
|시대 || [[고려시대]]
+
탑신부에 체감이 심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상하의 비례가 아름답고 안정감이 있다.
|-
+
1974년 10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소재지 || 성북동
+
 
|-
+
==외부링크==
|지정일 || 1974.10.2
+
 
|-
+
==기타(시대별 자료)==
|시기 || 미상
+
===고려시대===
|-
+
문경 오층석탑
|소유(관리) || [http://kansong.org/museum/ 간송미술관]
+
[https://hwiki.eumstory.co.kr/index.php/%EB%8F%99%EC%9D%B8%EC%A7%80%EB%AC%B8%EC%82%AC%EC%9C%A1_%EA%B6%8C7~9 동인지문사육 권 7-9]
|}
+
 
 +
===조선시대===
 +
사영 김병기 일가 옷
 +
혼천의 및 혼천시계
 +
 
 +
===근대===
 +
서울 흥천사 대방
  
==소개==
 
  
간송미술관에서 소장, 관리 중인 석탑이다. 이름처럼 돌로 만들어졌으며 기단은 2층으로, 탑신은 3층으로 구성되어있다. 기단에는, 각 기단에 새겨진 연꽃무늬가 마주보는 형식으로 새겨졌다. 탑신의 1층 몸돌이 2층과 3층에 비해 지나치게 커보이며 지붕돌받침은 3단으로 이뤄져있다. 이러한 양식상의 변화를 통해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측 중이다.
 
해당 탑은 소탑으로, 고려시대 탑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1975년 5월 10일 서울 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작성자
+
작성자:[[2211170 김선우]]
-[[김아영]]
 
  
[[분류:성북구의 문화재]] [[분류:간송미술관]] [[분류:고려시대]] [[분류:12세기]] [[분류:탑]] [[분류:종교신앙]] [[분류:유적건조물]] [[분류:국보]]
+
[[분류:성북구의 문화재]] [[분류:고려시대]] [[분류:11세기 제작 추정]] [[분류:유물/석탑]] [[분류:보물]]

2022년 12월 1일 (목) 18:35 기준 최신판

문경 오층석탑.gif

문경 오층석탑 (聞慶 五層石塔)

지정유형

보물

종류

유물/석탑

시대

고려시대

비고

11세기 제작 추정

소재지

성북동

지정일

1974.10.2

시기

미상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소개

간송미술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다. 경상북도 문경에 있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 가려 하자, 전형필이 이를 수습하여 지금의 자리에 세워놓았다.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려놓은 모습으로,각 부분이 거의 완전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아래층 기단의 뚜렷한 안상조각,지붕돌 받침이 4단,3단 등으로 일정치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 고려시대의 석탑임을 짐작할 수 있다. 탑신부에 체감이 심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상하의 비례가 아름답고 안정감이 있다. 1974년 10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외부링크

기타(시대별 자료)

고려시대

문경 오층석탑 동인지문사육 권 7-9

조선시대

사영 김병기 일가 옷 혼천의 및 혼천시계

근대

서울 흥천사 대방



작성자:2211170 김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