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사옹원인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이름''' ||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
+
|'''이름''' || 백자 사옹원인
 
|-
 
|-
 
|'''지정유형''' || [[보물]]
 
|'''지정유형''' || [[보물]]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백자 사옹원인’은 조선 궁중에서 식사와 음식을 담당한 중앙관청 중 하나인 사옹원(司饔院)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든 백자인장이다. 일반적으로 보인(寶印)의 경우 인끈을 달아 묶었던 점과는 달리 백자 상형연적처럼 사자 형상을 만들어 붙인 점이 독특하다. 또한 사자 형상을 정교하고 세밀한 기법으로 조각한 후 청채(靑彩)와 동채(銅彩)로 장식한 것은 조선후기 백자 조성방법 가운데 가장 수준 높은 기법에 속한다. 이 작품은 실제 인장으로 사용한 유물이자 조선시대 관청에서 금속이나 석재 인장 이외에 백자를 인장으로 사용했음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
‘백자 사옹원인’은 [[조선]] 궁중에서 식사와 음식을 담당한 중앙관청 중 하나인 [[사옹원]](司饔院)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든 [[백자인장]]이다. 일반적으로 보인(寶印)의 경우 [[인끈]]을 달아 묶었던 점과는 달리 [[백자 상형연적]]처럼 사자 형상을 만들어 붙인 점이 독특하다. 또한 사자 형상을 정교하고 세밀한 기법으로 조각한 후 [[청채]](靑彩)와 [[동채]](銅彩)로 장식한 것은 [[조선후기]] 백자 조성방법 가운데 가장 수준 높은 기법에 속한다. 이 작품은 실제 인장으로 사용한 유물이자 [[조선시대]] 관청에서 금속이나 석재 인장 이외에 백자를 인장으로 사용했음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
 
 +
현존하는 [[관인]](官印) 가운데 ‘사옹원인(司饔院印)’ 자체가 드물고 백자로 제작된 사례로는 유일할 뿐 아니라 시대성과 조형미를 모두 갖추고 있는 뛰어난 작품이다.
  
현존하는 관인(官印) 가운데 ‘사옹원인(司饔院印)’ 자체가 드물고 백자로 제작된 사례로는 유일할 뿐 아니라 시대성과 조형미를 모두 갖추고 있는 뛰어난 작품이다.
 
 
출처 :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출처 :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포털
  
68번째 줄: 69번째 줄:
 
백자 사옹원인
 
백자 사옹원인
  
[[파일:백자 사옹원인2.jpg]]
+
[[파일:백자 사옹원인.jpg]]
  
 
출처: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 포털
 
출처: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 포털
83번째 줄: 84번째 줄:
  
 
===기타===
 
===기타===
작성자 [[김민종]]
+
작성자

2022년 12월 1일 (목) 19:30 기준 최신판

백자 사옹원인

(白磁 司饔院印)

The White Porcelain Seal of Saongwon

소개

이름 백자 사옹원인
지정유형 보물
종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백자
지정일 2018.02.22
수량 1점
시대 18세기 후반

내용

‘백자 사옹원인’은 조선 궁중에서 식사와 음식을 담당한 중앙관청 중 하나인 사옹원(司饔院)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든 백자인장이다. 일반적으로 보인(寶印)의 경우 인끈을 달아 묶었던 점과는 달리 백자 상형연적처럼 사자 형상을 만들어 붙인 점이 독특하다. 또한 사자 형상을 정교하고 세밀한 기법으로 조각한 후 청채(靑彩)와 동채(銅彩)로 장식한 것은 조선후기 백자 조성방법 가운데 가장 수준 높은 기법에 속한다. 이 작품은 실제 인장으로 사용한 유물이자 조선시대 관청에서 금속이나 석재 인장 이외에 백자를 인장으로 사용했음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현존하는 관인(官印) 가운데 ‘사옹원인(司饔院印)’ 자체가 드물고 백자로 제작된 사례로는 유일할 뿐 아니라 시대성과 조형미를 모두 갖추고 있는 뛰어난 작품이다.

출처 :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소재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소유자(소유단체)

전***

관리자(관리단체)

간송미술문화재단


관련자료

사진자료

백자 사옹원인

백자 사옹원인.jpg

출처: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 포털

영상자료

조선백자의 이야기

문서자료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백자 사옹원인

기타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