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 외사리 승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탑의 특징)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괴산 외사리 승탑==
+
[[파일:tmdxkq.jpg|300px]]
[[파일:tmdxkq.jpg]]
 
  
==기본 정보==
 
===만들어진 시기===
 
시기 미상
 
 
===문화재 등록일===
 
1974년 10월 2일
 
 
===소재지===
 
서울 성북구 성북로에 위치한 간송미술관
 
  
 +
{|class='wikitable'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시기''' || style="text-align:center;"| 고려시대 초기
 +
|-
 +
| style="text-align:center;"|'''문화재 등록일''' || style="text-align:center;"| 1974년 10월 2일
 +
|-
 +
| style="text-align:center;"|'''간송미술관 보관''' || {{
 +
#display_map:
 +
Seoul City;
 +
37.5941528, 126.9967806
 +
|service=googlemaps3
 +
|width=300
 +
|height=2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2
 +
}}
 +
|}
 
===탑의 역사===
 
===탑의 역사===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 삼성마을 절터 마을 산기슭에 지어짐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 삼성마을 절터 마을 산기슭에 지어짐
18번째 줄: 27번째 줄:
 
*1964년 탑을 다시 세워 본래의 모습을 찾음
 
*1964년 탑을 다시 세워 본래의 모습을 찾음
  
==탑의 특징==
+
===탑의 특징===
 +
*기단과 탑신의 각 부분이 8각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모습이다.
 +
 
 +
*장식 및 연꽃을 본뜬 장식무늬인 연화문, 탑진부와 옥개석의 수법과 각 부 양식이 쓰였다.
 +
 
 +
*기단은 아래받침돌이 상·하 2돌인데, 아래에는 안상(眼象)을 새기고, 위에는 연꽃무늬를 돌린 후 8각마다 꽃조각을 돌출시켰다. 가운데받침돌은 아래에 구름모양을 돋을새김하였고, 그 위는 각 면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배흘림을 하고 있어 특이하다. 탑신은 몸돌이 가운데받침처럼 배흘림을 하고 있고, 남북면에는 문짝모양의 조각이 있는데, 그 안에 자물쇠가 돋을새김되어 있다. 지붕돌은 처마가 높아졌고, 각 귀퉁이마다 지나치게 커보이는 꽃장식이 솟아있다. 꼭대기에는 중간에 두 줄의 선을 돌린 둥근돌 위에 이와 비슷한 모양의 장식이 두 개 더 얹혀져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
 
 +
 
  
  
작성자:[[김진영]] [[분류:유적건조물]][[분류:종교신앙]][[분류:불교]][[분류:탑]]
+
작성자:[[김진영]] [[분류:성북구의 문화재]][[분류:간송미술관]][[분류:고려시대]][[분류:유적건조물]][[분류:종교신앙]][[분류:불교]][[분류:탑]]

2022년 12월 8일 (목) 18:12 기준 최신판

Tmdxkq.jpg


시기 고려시대 초기
문화재 등록일 1974년 10월 2일
간송미술관 보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탑의 역사

  •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 삼성마을 절터 마을 산기슭에 지어짐
  • 일제강점기에 해외반출될 뻔 하였으나 간송 미술관에 의해 성북구로 옮겨짐
  • 한국전쟁 때 탑이 무너짐
  • 1964년 탑을 다시 세워 본래의 모습을 찾음

탑의 특징

  • 기단과 탑신의 각 부분이 8각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모습이다.
  • 장식 및 연꽃을 본뜬 장식무늬인 연화문, 탑진부와 옥개석의 수법과 각 부 양식이 쓰였다.
  • 기단은 아래받침돌이 상·하 2돌인데, 아래에는 안상(眼象)을 새기고, 위에는 연꽃무늬를 돌린 후 8각마다 꽃조각을 돌출시켰다. 가운데받침돌은 아래에 구름모양을 돋을새김하였고, 그 위는 각 면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배흘림을 하고 있어 특이하다. 탑신은 몸돌이 가운데받침처럼 배흘림을 하고 있고, 남북면에는 문짝모양의 조각이 있는데, 그 안에 자물쇠가 돋을새김되어 있다. 지붕돌은 처마가 높아졌고, 각 귀퉁이마다 지나치게 커보이는 꽃장식이 솟아있다. 꼭대기에는 중간에 두 줄의 선을 돌린 둥근돌 위에 이와 비슷한 모양의 장식이 두 개 더 얹혀져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작성자:김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