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사자형뚜껑 향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정보''=== ====간략한 정보====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정보''===
+
==''정보''==
====간략한 정보====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
|-
 +
|colspan="2" |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
 
|-
 
|시대 ||[[고려시대]]
 
|시대 ||[[고려시대]]
18번째 줄: 19번째 줄:
 
|지정종목 || 국보
 
|지정종목 || 국보
 
|-
 
|-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
 
{{
 
#display_map:
 
#display_map:
27번째 줄: 25번째 줄:
 
37.524602, 126.977691
 
37.524602, 126.977691
 
|service=googlemaps3
 
|service=googlemaps3
|width=800
+
|width=500
|height=800
+
|height=500
 
type=normal
 
type=normal
 
|overlays=videos-1,wikipedia
 
|overlays=videos-1,wikipedia
|icon= https://goo.gl/maps/d2m8JF4jTdca67EJ6
+
|icon= https://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zoom=14
 
|zoom=14
 
}}
 
}}
 +
|-
 +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
|}
  
==== 사진====
+
=== 사진===
 +
<gallery mode=packed heights=170px caption="'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
파일:cjdwk1.jpg
 +
파일:cjdwk2.jpg
 +
파일:cjdwk3.jpg
 +
파일:cjdwk4.jpg
 +
파일:cjdwk5.jpg
 +
파일:cjdwk6.jpg
 +
파일:cjdwk7.jpg
 +
파일:cjdwk8.jpg
 +
</gallery>
  
===''설명''===
+
==''설명''==
 
* [[고려시대]]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이다.
 
* [[고려시대]]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이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사자 모양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짐승모양을 한 3개의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 몸체와 몸체 윗면 가장자리 세 곳에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뚜껑은 대좌에 앉아 있는 사자모양을 하고 있으며, 사자의 위치가 뚜껑의 왼편에 치우쳐 있는 것은 시각적 변화에서 오는 조형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사자는 입을 벌린 채 한쪽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앞을 보고있는 자세이며, 두 눈에 검은 점을 찍어서 눈동자를 표현했다. 사자의 목 뒤쪽과 엉덩이 부분에는 소용돌이 모양의 털이 표현되었고, 꼬리는 위로 치켜올려 등에 붙인 모습을 하고 있다.
+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사자 모양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짐승모양을 한 3개의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 몸체와 몸체 윗면 가장자리 세 곳에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뚜껑은 대좌에 앉아 있는 사자모양을 하고 있고, 사자의 위치가 뚜껑의 왼편에 치우쳐 있는 것은 시각적 변화에서 오는 조형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여진다. 사자는 입을 벌린 채 한쪽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앞을 보고있는 자세이며, 두 눈에 검은 점을 찍어서 눈동자를 표현하였다. 사자의 목 뒤쪽과 엉덩이 부분에는 소용돌이 모양의 털이 표현되어있고, 꼬리는 위로 치켜올려 등에 붙인 모습이다.
*유약의 색은 엷은 녹청색으로 광택이 은은하다. 구조적으로 보면 몸체에서 피워진 향의 연기가 사자의 몸을 통하여 벌려진 입으로 내뿜도록 되어있는데, 아름답고 단정하여 이 시기 [[청자향로]]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12세기 전반기에 비취색의 [[청자]]가 절정에 달하였을 때 이와 같이 상서로운 동물이나 식물을 본뜬 [[상형청자]]가 많이 만들어졌다. 특별히 [[사자향로]]중국 송나라 사람들이 극찬을 하였을 정도로 작품성이 뛰어나다.
+
*유약의 색은 엷은 녹청색으로 광택이 은은하다. 몸체에서 피워진 향의 연기가 사자의 몸을 통하여 벌려진 입으로 내뿜도록 돼있는데, 아름답고 단정하여 이 시기 [[청자향로]]의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
 +
*12세기 전반기에 비색(翡色)의 청자가 절정에 달하였을 때 이와 같은 상형청자가 많이 만들어졌으며, 특히 사자향로는 [[고려]] [[인종]] 1년 때에 [[중국]] 송(宋)나라에서 [[고려]]에 왔던 서긍(徐兢)의 『고려도경(高麗圖經)』 「도로조(陶爐條)」에서는 가장 뛰어난 것으로 극찬했다. 이 같은 종류의 파편들이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요지에서 발견되었다.
 +
 
 +
===다른 고려시대 청자 향로===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
*[[청자 양각 연꽃 모양 향로]]
 +
*[[청자 구룡형뚜껑 향로]]
 +
*[[청자 양각도철문 정형 향로]]
 +
 
 +
==''참고 문헌''==
 +
*「문화재대관-국보 도자기 및 기타」 ([[문화재청]],2011)
 +
*「고려청자명품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 1989)
  
===''작성자''===
+
==''작성자''==
 
[[이서윤]]
 
[[이서윤]]
  
[[분류:고려시대]][[분류:
+
[[분류:고려시대]][[분류:국보]][[분류:청자]][[분류:청자향로]][[분류:유물]][[분류:생활공예]][[분류:토도자공예]][[분류:국립중앙박물관]]

2022년 12월 8일 (목) 21:52 기준 최신판

정보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시대 고려시대
수량 1점
지정(등록)일 1962년 12월 20일
분류 유물,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청자
크기 총높이 21.2cm, 뚜껑 높이 13.9cm, 노신 높이 8.1cm, 노신 지름 16.3cm
지정종목 국보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사진

설명

  • 고려시대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이다.
  •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사자 모양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짐승모양을 한 3개의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 몸체와 몸체 윗면 가장자리 세 곳에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뚜껑은 대좌에 앉아 있는 사자모양을 하고 있고, 사자의 위치가 뚜껑의 왼편에 치우쳐 있는 것은 시각적 변화에서 오는 조형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여진다. 사자는 입을 벌린 채 한쪽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앞을 보고있는 자세이며, 두 눈에 검은 점을 찍어서 눈동자를 표현하였다. 사자의 목 뒤쪽과 엉덩이 부분에는 소용돌이 모양의 털이 표현되어있고, 꼬리는 위로 치켜올려 등에 붙인 모습이다.
  • 유약의 색은 엷은 녹청색으로 광택이 은은하다. 몸체에서 피워진 향의 연기가 사자의 몸을 통하여 벌려진 입으로 내뿜도록 돼있는데, 아름답고 단정하여 이 시기 청자향로의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
  • 12세기 전반기에 비색(翡色)의 청자가 절정에 달하였을 때 이와 같은 상형청자가 많이 만들어졌으며, 특히 사자향로는 고려 인종 1년 때에 중국 송(宋)나라에서 고려에 왔던 서긍(徐兢)의 『고려도경(高麗圖經)』 「도로조(陶爐條)」에서는 가장 뛰어난 것으로 극찬했다. 이 같은 종류의 파편들이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요지에서 발견되었다.

다른 고려시대 청자 향로

참고 문헌

작성자

이서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