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뮤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정의== 사전적 의미로는 ‘세계의 음악’을 뜻하지만, 실제로는 ‘(미국과 영국의 주류 팝 음악을 제외한) 세계의 음악’ 정도로 쓰인다...)
 
(차이 없음)

2023년 6월 14일 (수) 03:44 기준 최신판

정의

사전적 의미로는 ‘세계의 음악’을 뜻하지만, 실제로는 ‘(미국과 영국의 주류 팝 음악을 제외한) 세계의 음악’ 정도로 쓰인다.

한때는 ‘제3세계 음악’으로 불리기도 했고 이에 대한 비판으로 월드 뮤직이란 이름이 대신 쓰이게 됐지만 다양한 각 지역의 음악을 타자화하고 하나로 뭉뚱그린다는 점에서 여전히 비판의 여지는 남아있다. 음악을 팔기 위한 마케팅 용어로 처음 등장했다는 주장도 있다. 한동안 ‘월드 비트’란 말과 비슷하게 쓰였다.

자메이카의 스카와 레게, 브라질의 보사노바, 아르헨티나의 탱고, 아프리카 대륙의 민속음악, 넓게는 한국의 케이팝까지도 월드 뮤직의 범주에 들어간다. 여러 비판에도 이제는 ‘대중음악의 새로운 대안’ 정도로 해석되고 정착되어 쓰이고 있다.

관련 음원

  • 펠라 쿠티(Fela Kuti) ‘Zombie’
  • 메르세데스 소사(Mercedes Sosa) ‘Gracias A La Vida’
  • 미키스 테오도라키스(Mikis Theodorakis) ‘To Treno Fevgi Stis Okto’
  • 이즈라엘 카마카위올레(Israel Kamakawiwo’ole) ‘Somewhere Over The Rainbow’
  • 카를로스 가르델(Carlos Gardel) ‘Por una cabeza’

관련 아티스트

펠라 쿠티(Fela Kuti), 데이비드 번(David Byrne), 물라투 아스타케(Mulatu Astatke), 치프턴스(The Chieftains), 질베르토 질(Gilberto Gil), 카에타노 벨로주(Caetano Veloso),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Buena Vista Social Club)


[1]

출처

  1. 월드 뮤직 -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