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문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문학 그 자체로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경향. 문학이 시대상황을 반영하는 등 도구성, 이념성, 목적성을 띄는 것에 반대함.
 
문학 그 자체로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경향. 문학이 시대상황을 반영하는 등 도구성, 이념성, 목적성을 띄는 것에 반대함.
 
국가, 시대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차이는 나나, 우리나라의 경우 현실참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됨.
 
국가, 시대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차이는 나나, 우리나라의 경우 현실참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됨.
 
순수문학은 도구성(道具性)으로서의 문학에 반대하고, 특정인이나 특정이념을 위한 목적의식이 뚜렷한 문학에도 반대한다. 기본적으로 순수문학은 현실 참여문학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인식되어왔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2019년 6월 5일 (수) 20:09 기준 최신판

정의

문학 그 자체로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경향. 문학이 시대상황을 반영하는 등 도구성, 이념성, 목적성을 띄는 것에 반대함. 국가, 시대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차이는 나나, 우리나라의 경우 현실참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됨.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1]]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한승원권정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