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레마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상세 내용)
(상세 내용)
26번째 줄: 26번째 줄:
 
|-
 
|-
 
|}
 
|}
 +
 +
 +
*실레 이야기길 열여섯 마당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
 +
|-
 +
|마당||내용||관련 작품
 +
|-
 +
|1. 들병이들 넘어오던 눈웃음길||들병이(들병장수): 병에다 술을 가지고 다니면서 파는 사람. 김유정 소설에는 19살 들병이들이 먹고 살기 위해 남편과 함께 인제나 홍천에서 이 산길을 통해 마을에 들어와 잠시머물다 떠나는 이야기가 많이 그려졌다.||산골나그네. 총각과 맹꽁이, 안해, 소낙비
 +
|-
 +
|2회|| 1996년||명성황후
 +
|-
 +
|3회|| 1997년||겨울 나그네
 +
|-
 +
|4회|| 1998년||한네
  
 
==지도와 연락처==
 
==지도와 연락처==

2019년 6월 13일 (목) 21:17 판


김유정문학촌

개요

소설가 김유정의 고향이자 작품 배경무대가 있는 춘천 실레마을이다.

상세 내용

실레마을 전체가 김유정 작품의 무대로서 지금도 점순이 등 소설 12편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실레 이야기길' 열여섯 마당으로 구성되어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으며 관련 작품 소개가 이루어져 있다.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금병산 자락의 실레 이야기길은 멀리서 문학기행을 오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마당 내용
실레 이야기길 열여섯 마당
1. 들병이들 넘어오던 눈웃음길 들병이(들병장수): 병에다 술을 가지고 다니면서 파는 사람. 김유정 소설에는 19살 들병이들이 먹고 살기 위해 남편과 함께 인제나 홍천에서 이 산길을 통해 마을에 들어와 잠시머물다 떠나는 이야기가 많이 그려졌다.


  • 실레 이야기길 열여섯 마당
마당 내용 관련 작품
1. 들병이들 넘어오던 눈웃음길 들병이(들병장수): 병에다 술을 가지고 다니면서 파는 사람. 김유정 소설에는 19살 들병이들이 먹고 살기 위해 남편과 함께 인제나 홍천에서 이 산길을 통해 마을에 들어와 잠시머물다 떠나는 이야기가 많이 그려졌다. 산골나그네. 총각과 맹꽁이, 안해, 소낙비
2회 1996년 명성황후
3회 1997년 겨울 나그네
4회 1998년 한네

지도와 연락처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실레마을 김유정 A는 B의 고향이다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김민주
  •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