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34번째 줄: 34번째 줄:
  
 
==기업이념==
 
==기업이념==
''정의옹호'' : 민족지로서 민족의 정의를 으뜸가는 가치로서 정치적 정의,
+
'''정의옹호''' : 민족지로서 민족의 정의를 으뜸가는 가치로서 정치적 정의,
 
경제적 정의, 사회적 정의를 옹호하겠다는 신념의 피력이며, 아울러
 
경제적 정의, 사회적 정의를 옹호하겠다는 신념의 피력이며, 아울러
 
이러한 정의를 존중하는 여론기구로 자임함을 천명한 것입니다. <br/>
 
이러한 정의를 존중하는 여론기구로 자임함을 천명한 것입니다. <br/>
''문화건설'' :  일제 강점기 당시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시된 조선 민중의 역사적 소임을
+
'''문화건설''' :  일제 강점기 당시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시된 조선 민중의 역사적 소임을
 
밝힌 것으로, 민족문화의 발굴 보존 및 문화실력의 양성으로써 민족문화의 발전을
 
밝힌 것으로, 민족문화의 발굴 보존 및 문화실력의 양성으로써 민족문화의 발전을
 
기약하는 청사진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실제로 이 사시 정신은 일제 강점기의 전국
 
기약하는 청사진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실제로 이 사시 정신은 일제 강점기의 전국
 
향토문화대조 사업, 문자보급 계몽운동, 문화예술 행사의 빈번한 개최나 유별나게
 
향토문화대조 사업, 문자보급 계몽운동, 문화예술 행사의 빈번한 개최나 유별나게
 
돋보이는 국학기사의 집중 연재로 구체화되었습니다. <br/>
 
돋보이는 국학기사의 집중 연재로 구체화되었습니다. <br/>
''산업발전'' : 민족이 당한 온갖 수모와 수난이 산업부진에 있다는 당시 여론에 따라,
+
'''산업발전''' : 민족이 당한 온갖 수모와 수난이 산업부진에 있다는 당시 여론에 따라,
 
자생적경제력을 키우기 위해 먼저 경제의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는
 
자생적경제력을 키우기 위해 먼저 경제의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는
 
자구적 소임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이 정신은 구체적으로 물산장려운동의
 
자구적 소임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이 정신은 구체적으로 물산장려운동의
48번째 줄: 48번째 줄:
 
산업사찰단을 파견하는 행사, 해외 실업인의 초청, 그리고 국산 우수상품
 
산업사찰단을 파견하는 행사, 해외 실업인의 초청, 그리고 국산 우수상품
 
선정으로 실천되었습니다.<br/>
 
선정으로 실천되었습니다.<br/>
''불편부당'' :  좌우 대립이 극심하던 당시 조선일보의 중립지적 성격을 명확히 밝힌
+
'''불편부당''' :  좌우 대립이 극심하던 당시 조선일보의 중립지적 성격을 명확히 밝힌
 
것이었습니다. 불편은 좌파나 우파에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 가치를 지향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불편은 좌파나 우파에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 가치를 지향한다는
 
의미입니다. 아울러 부당은 어떤 정치력, 지배력 또는 경제력에 의해서도
 
의미입니다. 아울러 부당은 어떤 정치력, 지배력 또는 경제력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고 운영해 나갈 수 있다는 자신을 표명한 것인데, 이후 이 사시는 어떤
 
흔들리지 않고 운영해 나갈 수 있다는 자신을 표명한 것인데, 이후 이 사시는 어떤
세력에 의해서도 좌우되지 않는다는 조선일보의 뚜렷한 좌표로 발전됐습니다.<br/>
+
세력에 의해서도 좌우되지 않는다는 조선일보의 뚜렷한 좌표로 발전됐습니다. <br/>
==연혁==
+
==기업인재상==
  
 +
'''열정''' : 열정을 가지고 도전하는 사람. 단순히 우수한 것에 그치지 않고
 +
매사에 열정적이고 최선을 다하는 인재를 말합니다.<br/>
 +
 +
'''전문성''' : 자기분야에서 최고의 전문지식을 지닌 사람을 말합니다.<br/>
 +
 +
'''언론정신''' : 건전한 가치관과 직업윤리를 바탕으로
 +
언론인의 사명을 실천하는 사람<br/>
 +
 +
'''창의''' : 새로운 시각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
창의적인 사람
 +
새로운 것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을 지닌 인재를
 +
말합니다. 호기심은 창의를 부르고 창의는
 +
변화를 이끕니다.<br/>
  
 
==기타==
 
==기타==

2019년 6월 16일 (일) 19:48 판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기업이념

정의옹호 : 민족지로서 민족의 정의를 으뜸가는 가치로서 정치적 정의, 경제적 정의, 사회적 정의를 옹호하겠다는 신념의 피력이며, 아울러 이러한 정의를 존중하는 여론기구로 자임함을 천명한 것입니다.
문화건설 : 일제 강점기 당시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시된 조선 민중의 역사적 소임을 밝힌 것으로, 민족문화의 발굴 보존 및 문화실력의 양성으로써 민족문화의 발전을 기약하는 청사진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실제로 이 사시 정신은 일제 강점기의 전국 향토문화대조 사업, 문자보급 계몽운동, 문화예술 행사의 빈번한 개최나 유별나게 돋보이는 국학기사의 집중 연재로 구체화되었습니다.
산업발전 : 민족이 당한 온갖 수모와 수난이 산업부진에 있다는 당시 여론에 따라, 자생적경제력을 키우기 위해 먼저 경제의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는 자구적 소임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이 정신은 구체적으로 물산장려운동의 금자탑인 조선특산품 전람회를 비롯하여 연례적으로 국내외 산업사찰단을 파견하는 행사, 해외 실업인의 초청, 그리고 국산 우수상품 선정으로 실천되었습니다.
불편부당 : 좌우 대립이 극심하던 당시 조선일보의 중립지적 성격을 명확히 밝힌 것이었습니다. 불편은 좌파나 우파에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 가치를 지향한다는 의미입니다. 아울러 부당은 어떤 정치력, 지배력 또는 경제력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고 운영해 나갈 수 있다는 자신을 표명한 것인데, 이후 이 사시는 어떤 세력에 의해서도 좌우되지 않는다는 조선일보의 뚜렷한 좌표로 발전됐습니다.

기업인재상

열정 : 열정을 가지고 도전하는 사람. 단순히 우수한 것에 그치지 않고 매사에 열정적이고 최선을 다하는 인재를 말합니다.

전문성 : 자기분야에서 최고의 전문지식을 지닌 사람을 말합니다.

언론정신 : 건전한 가치관과 직업윤리를 바탕으로 언론인의 사명을 실천하는 사람

창의 : 새로운 시각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창의적인 사람 새로운 것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을 지닌 인재를 말합니다. 호기심은 창의를 부르고 창의는 변화를 이끕니다.

기타

조선닷컴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