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안상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특징)
77번째 줄: 77번째 줄:
  
 
==특징==
 
==특징==
===유용성===
+
===유용성===
 
신촌로터리 - 홍익대학교 간 이동에 가장 효율적인 버스 중 하나이기도 하다. 신촌을 경유하는 다른 노선들은 마을버스 빼면 거의 다 홍대입구역에서 정차하지 홍대 정문까지 가지 않기 때문에 이 버스와 7011번을 타면 적어도 5백미터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어 이 사이를 왕래하는 이들에겐 가뭄의 단비같은 버스이기도. 단, 7011번만 홍익대학교정문에 양방향 모두 정차한다. 다만 운동삼아 슬슬 걸어도 30분이면 닿는 거리인지라 이동량 대비 차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홍대와 달리 연대 코앞까지는 가주지 않는다. 홍대에서 연대 정문으로 한번에 가기 위해서는 홍대입구역으로 내려와서 7737번을 이용하자.
 
신촌로터리 - 홍익대학교 간 이동에 가장 효율적인 버스 중 하나이기도 하다. 신촌을 경유하는 다른 노선들은 마을버스 빼면 거의 다 홍대입구역에서 정차하지 홍대 정문까지 가지 않기 때문에 이 버스와 7011번을 타면 적어도 5백미터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어 이 사이를 왕래하는 이들에겐 가뭄의 단비같은 버스이기도. 단, 7011번만 홍익대학교정문에 양방향 모두 정차한다. 다만 운동삼아 슬슬 걸어도 30분이면 닿는 거리인지라 이동량 대비 차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홍대와 달리 연대 코앞까지는 가주지 않는다. 홍대에서 연대 정문으로 한번에 가기 위해서는 홍대입구역으로 내려와서 7737번을 이용하자.
  

2019년 11월 28일 (목) 19:27 판



이름 안상현
출생 1996년 9월 3일, 서울시
나이 24세
학력 한성대학교


안상현

소개

개요

필자가 5년넘게 타고다닌 버스이자 승객의 70%가 대학생이기 때문에 일명 '청춘버스'라고 불리는 273버스 버스안에서 벼락치기 시험공부를 하면서 학교를 가는 학생, 입사면접 때문에 걱정인 대학생 등 다양한 청춘들을 담고 운행하는 버스이다. 대학생들의 열렬한 사랑을 받는 대학투어 노선으로 더욱 유명하다. 게다가 공교롭게도 노선 한가운데에는 혜화역을 낀 대학로가 길게 늘어서 있고 정말 보기 드문 양방향 대학로 경유 노선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Mn4h52Wk6EU (동영상 삽입) 2는 출발지, 7은 도착지, 3은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노선정보

나무위키 사진---피디아 양식 찾기 중랑~홍대입구역(회차)를 오가며 서울 북동부를 가로지르는 버스. 메트로버스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4km다


역사

•2005년 5월 16일에 신설되었다. 차량은 전날에 폐선된 200번에서 가져왔다.

•2018년 4월 2일을 기해 본래 22:40이던 기점 막차시각이 22:30으로 앞당겨졌다.관련 공지사항

•2019년 7월 1일을 기해 토요일/공휴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회/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폭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2019년 10월 14일을 기해 배차간격 조정이 단행되어, 평일 최대 배차간격은 12분에서 9분으로 줄고, 6분이던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은 7분으로 늘어나게 되었다.[3]관련 공문

•2019년 11월 8일을 기해 210분이던 평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15분으로 5분 늘어나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3회/2회/1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5분/7분이던 평일/토요일의 최소 배차간격이 6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풀랩핑 타요 ?


특징

===유용성===

신촌로터리 - 홍익대학교 간 이동에 가장 효율적인 버스 중 하나이기도 하다. 신촌을 경유하는 다른 노선들은 마을버스 빼면 거의 다 홍대입구역에서 정차하지 홍대 정문까지 가지 않기 때문에 이 버스와 7011번을 타면 적어도 5백미터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어 이 사이를 왕래하는 이들에겐 가뭄의 단비같은 버스이기도. 단, 7011번만 홍익대학교정문에 양방향 모두 정차한다. 다만 운동삼아 슬슬 걸어도 30분이면 닿는 거리인지라 이동량 대비 차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홍대와 달리 연대 코앞까지는 가주지 않는다. 홍대에서 연대 정문으로 한번에 가기 위해서는 홍대입구역으로 내려와서 7737번을 이용하자.

회기(경희대) 및 이문동(외대, 한예종)에서 7호선을 이용할 때 매우 유용한 노선이다. 그 이유는 지하철 1호선과 7호선 환승은 극악이기 때문이다. 1-7호선 환승역은 서쪽으로는 온수역 및 가산디지털단지역 동쪽으로는 도봉산역이다. 이 지역에서 7호선을 이용하기 위해 전철로 환승할 경우 안습인 상황이 발생한다. 가장 빠른 환승 방법은 석계역에서 6호선을 환승한 후 한 정거장 가서 태릉입구역에서 7호선으로 환승하는 방법. 시간적으로는 유리하나 1호선의 불규칙한 운행과 운행 간격이 긴 6호선, 그리고 땅굴 7호선으로의 환승을 하다 보면 정신적 피로를 느끼게 된다. 참고로 중화 방향으로는 7호선 중화역 입구가 없다.

성균관대-고려대-경희대, 외대를 왕복하는 데도 가장 효율적이다.

관련 주요 대학

홍익대

연세대

이화여대

방송통신대

성균관대

한성대

성신여대

고려대

경희대

한국외대

관련 관광지

마로니에공원(혜화역)

홍익대학교 입구

광화문

종묘?광장시장

관련 지하철 역

나무위키에서 보고 데이터광장에서 퍼오기

승객 수 -데이터광장

나무위키에서 보고 데이터광장에서 퍼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