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9번째 줄: 9번째 줄:
 
산문의 첫번째 문으로, 기둥이 일렬로 서있다.
 
산문의 첫번째 문으로, 기둥이 일렬로 서있다.
 
<gallery>
 
<gallery>
파일:통도사일주문.jpg|1930년대 통도사 일주문'''CC BY by 한국저작권위원회''' [[https://gongu.copyright.or.kr/| 공유마당]]
+
파일:통도사일주문.jpg|1930년대 통도사 일주문'''CC BY by 한국저작권위원회'''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파일:선암사일주문.jpg|선암사 일주문 '''CC BY NC by Patrick Vierthaler''' [[https://www.flickr.com/photos/pv9007/42700462644/in/photolist-284i2Tb-nX7di7-nX7x7t| 플리커]]
+
파일:선암사일주문.jpg|선암사 일주문 '''CC BY NC by Patrick Vierthaler''' [[https://www.flickr.com/photos/pv9007/42700462644/in/photolist-284i2Tb-nX7di7-nX7x7t| 출처 플리커]]
 
</gallery>
 
</gallery>
 
*천왕문
 
*천왕문
 
사천왕을 모신 전각이다. 그림이나 조각상으로 사천왕을 세운다.
 
사천왕을 모신 전각이다. 그림이나 조각상으로 사천왕을 세운다.
 
<gallery>
 
<gallery>
파일:범어사천왕문.jpg| 범어사의 천왕문 '''CC BY by 김순식''' [[https://gongu.copyright.or.kr/| 공유마당]]
+
파일:범어사천왕문.jpg| 범어사의 천왕문 '''CC BY by 김순식'''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파일:보탑사사천왕상1.jpg| 보탑사의 사천왕상 '''CC BY NC ND by 이진혁''' [[https://gongu.copyright.or.kr/| 공유마당]]
+
파일:보탑사사천왕상1.jpg| 보탑사의 사천왕상 '''CC BY NC ND by 이진혁'''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파일:보탑사사천왕사2.jpg| 보탑사의 사천왕상 '''CC BY NC ND by 이진혁''' [[https://gongu.copyright.or.kr/| 공유마당]]
+
파일:보탑사사천왕사2.jpg| 보탑사의 사천왕상 '''CC BY NC ND by 이진혁'''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gallery>
 
</gallery>
 
*불이문
 
*불이문
 
산문의 마지막 문.
 
산문의 마지막 문.
 
<gallery>
 
<gallery>
파일:운문사불이문.jpg|운문사의 불이문 '''CC BY NC ND by 김인혜''' [[https://gongu.copyright.or.kr/| 공유마당]]
+
파일:운문사불이문.jpg|운문사의 불이문 '''CC BY NC ND by 김인혜'''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파일:.jpg|
+
파일:불국사불이문.jpeg|불국사의 불이문 '''CC BY NC ND by 임재선'''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gallery>
 
</gallery>
 
===전각===
 
===전각===
29번째 줄: 29번째 줄:
 
*대웅전
 
*대웅전
 
석가모니를 봉안한 전각
 
석가모니를 봉안한 전각
 +
<gallery>
 +
파일:수덕사대웅전.jpg|수덕사의 대웅전 '''CC BY SA by Joongi Kim''' [[https://flic.kr/p/6d2xEJ| 출처 플리커]]
 +
파일:흥국사대웅전.jpg|흥국사의 대웅전 '''CC BY SA by Republic of Korea''' [[https://flic.kr/p/oen1px| 플리커]]
 +
</gallery>
 
*영산전
 
*영산전
 
석가모니와 석가모니의 일생을 8시기로 나누어 그린 팔상탱화를 봉안한 전각. 팔상탱화를 봉안하고 있어 팔상전이라고도 한다.
 
석가모니와 석가모니의 일생을 8시기로 나누어 그린 팔상탱화를 봉안한 전각. 팔상탱화를 봉안하고 있어 팔상전이라고도 한다.
35번째 줄: 39번째 줄:
 
*극락전
 
*극락전
 
무량수전, 아미타전 등으로도 불린다.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봉안한다.
 
무량수전, 아미타전 등으로도 불린다.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봉안한다.
 +
<gallery>
 +
파일:불국사극락전.jpg|불국사의 극락전 '''CC BY NC SA by Hong, Yun Seon''' [[https://flic.kr/p/4u6ePr| 출처 플리커]]
 +
파일:부석사무량수전.jpg|부석사의 무량수 '''CC BY by 이상화'''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
</gallery>
 
*미륵전
 
*미륵전
 
미륵불과 협시보살인 신광보살,청광보살을 모신 전각
 
미륵불과 협시보살인 신광보살,청광보살을 모신 전각
46번째 줄: 54번째 줄:
 
부처님의 제자인 승보를 봉안한 전각
 
부처님의 제자인 승보를 봉안한 전각
 
===탑===
 
===탑===
 +
재료에 따라 목탑, 모전석탑, 전탑, 석탑 등으로 나눈다.
 
==가람배치==
 
==가람배치==
사찰 건물의 배치
+
사찰 건물의 배치와 형식을 가리킨다.
 
===지형에 따른 가람배치===
 
===지형에 따른 가람배치===
 
사찰이 지어진 지형이 평지인지 산지인지에 따라 구분한다.
 
사찰이 지어진 지형이 평지인지 산지인지에 따라 구분한다.

2019년 12월 1일 (일) 19:01 판

합천 해인사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공공누리 제4유형

개요

가람(伽藍)은 산스크리트어 ‘saṃghārāma’를 음역한 승가람마(僧伽藍摩)의 약어로, 승려가 살면서 불도를 닦는 곳을 가리킨다. 중원(衆園)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구조

산문

속세와 사찰을 나누는 경계

  • 일주문

산문의 첫번째 문으로, 기둥이 일렬로 서있다.

  • 천왕문

사천왕을 모신 전각이다. 그림이나 조각상으로 사천왕을 세운다.

  • 불이문

산문의 마지막 문.

전각

법당,금당 또는 불당이라고도 한다.

  • 대웅전

석가모니를 봉안한 전각

  • 영산전

석가모니와 석가모니의 일생을 8시기로 나누어 그린 팔상탱화를 봉안한 전각. 팔상탱화를 봉안하고 있어 팔상전이라고도 한다.

  • 비로전

비로자나불을 중앙에 모신 전각

  • 극락전

무량수전, 아미타전 등으로도 불린다.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봉안한다.

  • 미륵전

미륵불과 협시보살인 신광보살,청광보살을 모신 전각

  • 약사전

약사여래와 협시보살로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모신다.

  • 관음전

원통전이라고도 하며 관세음보살을 모신 곳이다.

  • 명부전

저승을 상징하는 곳이다. 저승의 심판관인 10대왕을 봉안하고 있어 시왕전이라고도 하며, 지장 보살을 주불로 모시고 있어 지장전이라고도 한다.

  • 나한전

부처님의 제자인 승보를 봉안한 전각

재료에 따라 목탑, 모전석탑, 전탑, 석탑 등으로 나눈다.

가람배치

사찰 건물의 배치와 형식을 가리킨다.

지형에 따른 가람배치

사찰이 지어진 지형이 평지인지 산지인지에 따라 구분한다.

  • 평지가람

주로 삼국시대에 건축된 경우가 많다.

  • 산지가람

통일신라 시대에 수행 중심인 선종의 영향으로 산 속에 건축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억불숭유 정책으로 도시 내에 사찰을 폐쇄하여 산지에 자리잡게 되었다.

탑과 금당 배치에 따른 가람배치

탑을 중심으로 금당(金堂 : 부처를 모시는 전각)이 어떻게 배치되어있느냐에 따라 구분한다.

  • 일탑일금당식(一塔一金堂式)

불교 초기에 많이 볼 수 있는 양식으로, 남에서 북으로 중문, 탑, 금당을 일자로 배치하고 이를 회랑으로 둘러싼다. 주로 백제 사찰에서 볼 수 있다.

  • 일탑삼금당식(一塔三金堂式)

탑을 중심으로 동쪽, 서쪽, 북쪽에 금당을 배치하는 양식. 고구려 사찰에서 볼 수 있다.

신라의 황룡사는 금당을 동에서 서로 서금당, 중금당, 동금당을 일자로 배치하고 중금당 북쪽에는 강당을, 남쪽에 탑이 배치되어있다.

황룡사배치도.jpg

경주 황룡사지 가람배치도 CC BY-NC-ND by joyjunyi [네이버블로그]

  • 이탑일금당식(二塔一金堂式)

하나의 금당에 동탑, 서탑 두 개의 탑을 배치한다.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되었다.

감은사지배치도.jpg

경주 감은사지 가람배치도 CC BY NC ND by hanbam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