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터에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개요)
20번째 줄: 20번째 줄:
 
==개요==
 
==개요==
 
  "별 것 아니라고 스스로를 달래면서 모두 버리고 싶었지만 마침내 버려지지 않아서 연필을 쥐고 쓸 수 밖에 없었다.
 
  "별 것 아니라고 스스로를 달래면서 모두 버리고 싶었지만 마침내 버려지지 않아서 연필을 쥐고 쓸 수 밖에 없었다.
   이 글을 세상에 내놓으면서, 나는 그 기억과 인상들이 이제는 내 속에서 소멸하기를 바란다."      <공터에서 작가 후기 中>
+
   이 글을 세상에 내놓으면서, 나는 그 기억과 인상들이 이제는 내 속에서 소멸하기를 바란다."      <『공터에서』 작가 후기 中>
  
김훈의 아버지 김광주는 1910년 출생이다. 그리고 김훈은 1948년에 태어났다. 혼란스러운 그 시대를 살아온 두 부자의 삶은 소설 '공터에서'로 옮겨졌다.
+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4.19, 5.18 등 굵직한 현대사의 아픔을 보여준 『공터에서』
  
소설 '공터에서'의 아버지 마동수와 그의 아들은 흡사 김광주와 김훈을 보는 듯하다. 김훈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소설로 풀어낸 책이다.  
+
김훈은 1948년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김광주는 1910년 태생이다.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아온 父子의 삶은 소설로 옮겨졌다.
  
'공터에서'는 참혹한 시대를 살아간 피해자들의 이야기다.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아픔을 드러내고 있다.
+
『공터에서』는 김훈의 자전적인 경험을 소설로 풀어냈다. 등장인물인 아버지 마동수와 그의 아들은 흡사 김광주와 김훈을 보는 듯하다.
 +
 
 +
『공터에서』'는 참혹한 시대를 살아간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다루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아픔을 드러내었다.
 +
 
 +
김훈은 '이렇게 막막한 세상에서 과연 의지하고 기댈 무언가가 존재하는가?'를 묻는다.
 +
 
 +
달아나고 싶지만 달아날 수 없는 끔찍한 사건들 속에서 김훈은 자신을 인물에 투영시켜 이야기를 꾸려나간다.
 +
 
 +
달아나고 싶지만 달아날 수 없는 끔찍한 사건들을 겪어온 한 가족의 삶을 통해 20세기 한국 현대사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줄거리==
 
==줄거리==

2020년 6월 16일 (화) 23:40 판


개요

"별 것 아니라고 스스로를 달래면서 모두 버리고 싶었지만 마침내 버려지지 않아서 연필을 쥐고 쓸 수 밖에 없었다.
 이 글을 세상에 내놓으면서, 나는 그 기억과 인상들이 이제는 내 속에서 소멸하기를 바란다."       <『공터에서』 작가 후기 中>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4.19, 5.18 등 굵직한 현대사의 아픔을 보여준 『공터에서』

김훈은 1948년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김광주는 1910년 태생이다.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아온 父子의 삶은 소설로 옮겨졌다.

『공터에서』는 김훈의 자전적인 경험을 소설로 풀어냈다. 등장인물인 아버지 마동수와 그의 아들은 흡사 김광주와 김훈을 보는 듯하다.

『공터에서』'는 참혹한 시대를 살아간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다루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아픔을 드러내었다.

김훈은 '이렇게 막막한 세상에서 과연 의지하고 기댈 무언가가 존재하는가?'를 묻는다.

달아나고 싶지만 달아날 수 없는 끔찍한 사건들 속에서 김훈은 자신을 인물에 투영시켜 이야기를 꾸려나간다.

달아나고 싶지만 달아날 수 없는 끔찍한 사건들을 겪어온 한 가족의 삶을 통해 20세기 한국 현대사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줄거리

1920년 대부터 1980년대의 혼란스러운 격동기를 살아온 마씨(馬氏) 집안의 이야기이다.

1910년 서울에서 태어나 6.25 전쟁을 겪으며 살아온 아버지 마동수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그리고 그런 아버지의 삶을 보고 자라온 아들 마장세와 마차세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아버지가 버텨낸 격동의 세월과 해방 이후 연이어 겪게 되는 한국전쟁, 군부독재 시대, 베트남전쟁에 파병된 한국인들, 대통령의 죽음, 언론통폐합의 사건들을

마씨(馬氏) 집안 가족사에 담아냈다

병든 아버지의 죽음을 통하여 거슬러 올라가 현대사의 아픈 비극을 말하고 있다.

한 인간을 통해 우리는 역사를 볼 수 있다.

등장인물

배경

시간적배경

공간적배경

콘텐츠

R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