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소개)
28번째 줄: 28번째 줄:
 
==소개==
 
==소개==
 
'''김용준(金瑢俊, 1904년 2월 3일 ~ 1967년 11월 3일)'''은 한국의 화가이며 미술평론가, 미술사학자, 수필가다.
 
'''김용준(金瑢俊, 1904년 2월 3일 ~ 1967년 11월 3일)'''은 한국의 화가이며 미술평론가, 미술사학자, 수필가다.
 
+
호는 근원(近園)·선부(善夫)·검려(黔驢)·우산(牛山)·노시산방주인(老枾山房主人)이다.
호는 근원(近園)·선부(善夫)·검려(黔驢)·우산(牛山)·노시산방주인(老枾山房主人)이다.
 
  
 
==생애==
 
==생애==

2018년 6월 12일 (화) 22:14 판


소개

김용준(金瑢俊, 1904년 2월 3일 ~ 1967년 11월 3일)은 한국의 화가이며 미술평론가, 미술사학자, 수필가다. 호는 근원(近園)·선부(善夫)·검려(黔驢)·우산(牛山)·노시산방주인(老枾山房主人)이다.

생애

근원(近園) 김용준(金瑢俊)은 1904년 2월 3일 경북 선산(善山)에서 아버지 김이도(金以燾)와 어머니 김옥순(金玉順) 사이에 2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23년에 고려미술원(高麗美術院)에서 이마동(李馬銅), 구본웅(具本雄), 길진섭(吉鎭燮), 김주경(金周經) 등과 함께 미술 수업을 시작했다. 1924년에는 도화교실에서 이종우(李鍾禹)로부터 미술 수업을 받았다. 중앙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1924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건설이냐? 파괴냐?>로 입선할 정도로 일찍부터 미술에 재능을 보였다. 1925년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중앙고등보통학교 시절에 진숙경(秦淑卿)을 만나 1926년에 결혼했으며 곧 이어 동경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했다. 김용준은 표현파를 추구하는 유학생들의 모임인 백치사(百痴社)를 조직하기도 했으며, 여기서 소설가 이태준(李泰俊)을 만나 후에 그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다.

작품세계(활동내역)

1927년 조선일보에 발표한 그의 첫 미술론인 「화단개조(畫壇改造)」, 「무산계급회화론」 등에서 이러한 그가 동경미술학교 재학 초기에 당시 일본 전위 작가들에 의해 수용되었던 프롤레타리아 사상에 일시적으로 경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가 3달 뒤에 발표한 「프롤레타리아 미술 비판」을 통해 이전에 주장했던 논지를 오히려 신랄하게 비판하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그가 왜 사상적 경향을 바꾸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일본을 통해 소개되었던 다양한 서구의 예술이념과 정치사회적 이념에 대해 충분한 이해 없이 식민지라는 불안정한 역사적 배경 아래에서 성급하게 근대문화의 수용과 자주라는 과제를 동시에 지향하고자 했던 한국문예계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1931년 2월, 동경미술학교를 졸업한 후 귀국하여 중앙고등보통학교 미술교사로 재직하면서 ‘제2회 향토회 전람회’, 제2회 서화협전(書畫協展)’, 동미전(東美展)’등에 작품을 출품하며 「동미전과 녹향전(錄鄕展)」, 「서화협전의 인상」, 「미술에 나타난 곡선(曲線) 표징(表徵)」, 「화단 일 년의 회고」등의 글을 발표해 당시 한국화단의 주요 논제였던 '조선향토색론'을 이끌어나갔다.

작품 및 저서

기타(수상내역)

관련항목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