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묘농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황묘농접(黃猫弄蝶)= ==기본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40%;" !style="width:20%|분류 || style="width:50%"|내용 |- |'''아티스트'''|| 김홍도...)
 
(황묘농접(黃猫弄蝶))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황묘농접(黃猫弄蝶)=
 
=황묘농접(黃猫弄蝶)=
 +
 +
[[파일:황묘농접_이미지.png|500픽셀]]
  
 
==기본정보==
 
==기본정보==
31번째 줄: 33번째 줄:
 
==작품 소개==
 
==작품 소개==
  
==구성 및 내용==
+
이 그림은 누군가의 환갑을 축하하기 위해 그린듯하다. 그런 내용을 따로 밝혀놓지는 않았지만, 그림의 내용이 그렇다. 예로부터 고양이는 70 노인을 상징하고 나비는 80 노인을 상징한다. 화면 중앙에 있는 패랭이꽃은 꽃말이 청춘이다. 그 옆에 자리한 바위는 불변의 상징이고, 화면 앞쪽에 있는 제비꽃은 구부러진 꽃대의 모양새가 등긁개를 닮아 여의화(如意花)라 부른다.
 +
 
 +
이런 소재들의 상징성에 주목하여 이 그림을 보면, “일흔살 여든살이 되도록 젊음을 변치 말고 장수하시고, 모든 일이 뜻하시는 대로 이루어지기 바랍니다.”라고 읽혀진다. 환갑을 맞은 분께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의미를 가진 그림이다.
 +
 
 +
==관련자료==
 +
 
 +
<youtube> onGHCZSuVxw </youtube>
  
==형태 및 특징==
+
<youtube> wRYpAcKuf-4 </youtube>
  
==의의 및 평가==
 
  
==관련자료==
+
[[분류:성북구의 문화재]] [[분류:간송미술관]] [[분류:보물]] [[분류:유물]] [[분류:서예]] [[분류:조선시대]] [[분류:19세기 초]][[분류:무미건조]]
 +
===작성자 : [[황지원(2211067)]]===

2022년 11월 30일 (수) 21:38 기준 최신판

황묘농접(黃猫弄蝶)

황묘농접 이미지.png

기본정보

분류 내용
아티스트 김홍도(金弘道)
종류 한국화
기법 지본채색
크기 30.1 x 46.1 cm
소장처 간송미술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작품 소개

이 그림은 누군가의 환갑을 축하하기 위해 그린듯하다. 그런 내용을 따로 밝혀놓지는 않았지만, 그림의 내용이 그렇다. 예로부터 고양이는 70 노인을 상징하고 나비는 80 노인을 상징한다. 화면 중앙에 있는 패랭이꽃은 꽃말이 청춘이다. 그 옆에 자리한 바위는 불변의 상징이고, 화면 앞쪽에 있는 제비꽃은 구부러진 꽃대의 모양새가 등긁개를 닮아 여의화(如意花)라 부른다.

이런 소재들의 상징성에 주목하여 이 그림을 보면, “일흔살 여든살이 되도록 젊음을 변치 말고 장수하시고, 모든 일이 뜻하시는 대로 이루어지기 바랍니다.”라고 읽혀진다. 환갑을 맞은 분께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의미를 가진 그림이다.

관련자료

작성자 : 황지원(2211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