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량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명량대첩(鳴梁大捷)'''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명량대첩 사진.jpg|200px]]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 '''시기''' || 1597년 10월 26일 <br/> 1597년 9월 16일음력
 
|-
 
| style="text-align:center;"|'''장소''' || 조선 전라도 해남과 진도 사이 명량 수도(세칭 울돌목)
 
|-
 
| style="text-align:center;"|'''교전 세력''' || 조선(수비) VS 일본(공격)
 
|-
 
| style="text-align:center;"|'''병력''' || 800~900여 명, 판옥선 13척, 초탐선(협선) 32척, 어선 100척 (고기잡이 배) <br/> VS <br/> 약 7200명~수만명, 전선 133척, 후방 200척 이상
 
|-
 
| style="text-align:center;"|'''결과''' || 조선 수군의 압도적인 승리
 
|-
 
| style="text-align:center;"|'''영향''' || 조선 수군의 제해권 탈환 <br/> 일본군의 북상 저지
 
|-
 
|}
 
</onlyinclude>
 
  
==소개==
 
명량해전은 1597년 ([[선조]] 30년) 정유년 9월16일 명량수도에서 벌어진 대첩이며, 이 사건은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해낸 기적과 같은 대첩이다. 명량해전은 [[정유재란]] 판세를 완전히 뒤집은 대첩으로 기록되고 있다. [[한산도대첩]] (59척 격파, 세계 4대해전), [[노량해전]] (200척 격파, 일본군 철수)과 함께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3대 해전으로 손꼽히는 사건이다.
 
<br/>
 
명량해전의 명칭을 '명량대첩'으로 잘못 쓰고 있는 사람이 많이 있다. '명량대첩'이 아닌 명량해전이 올바른 표기이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명확히 알아야하는 역사적 사실이다.
 
 
==내용==
 
===배경===
 
===전개===
 
===결과===
 
 
==관련 자료==
 
===사진 자료===
 
===영상 자료===
 
 
=='''작성자 및 기여자'''==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br/> 작성자 ''[[천성현]]''
 

2022년 12월 1일 (목) 16:21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