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줄거리)
(연구 결과물)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창작년도''' || 1934
 
| style="text-align:center;"|'''창작년도''' || 1934
 
|-  
 
|-  
 +
| style="text-align:center;"|'''분야''' || 문학
 +
|-
 +
| style="text-align:center;"|'''시대''' || [[일제강점기]]
 +
|-
 +
| style="text-align:center;"|'''성격''' || 중편소설, [[모더니즘|모더니즘 소설]], [[세태소설]]
 +
|-
 
|}
 
|}
 
</onlyinclude>
 
</onlyinclude>
  
  
'''제목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29번째 줄: 35번째 줄:
  
  
[네이버 지식백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권영민)
 
  
 
==줄거리==
 
==줄거리==
  
젊은 소설가 구보는 매사에 의욕을 갖지 못한 룸펜이다. 그의 어머니는 하릴없이 집을 나서는 아들을 염려해서, 등뒤에 대고 "일찌거니 들어오너라" 하면서 얇은 실망감을 숨기지 못한다. '직업과 아내를 갖지 않은, 스물 여섯 살 짜리 아들은, 늙은 어머니에게는 온갖 종류의 근심, 걱정거리였다. 우선 낮에 한번 집을 나서면 아들은 밤늦게나 되어 돌아왔다.'
+
구보는 동경 유학까지 다녀온 지식인이지만 직업도 구하지 못하고 장가도 들지 못한 인물이다. 그는 매일 아침 어머니의 잔소리를 뒤로 하고 정오에 집을 나선다. 천변 길의 광교, 종로 네거리를 바라보고 걷던 구보는 어디로 갈까 고민한다. 그는 길을 걷다가 자신의 앞을 가로질러 지나는 사나이와 마주칠 것 같은 착각을 느끼고, 위태롭게 걸음을 멈춘다. 그리고는 한낮에도 답답한 자기의 시력을 저주하며 신체적 불안감을 느낀다. 동대문행 전차에 오른 구보는 전차 안에서 예전에 선 본 여자를 발견한다. 그는 그녀에게 말을 걸까 말까 고민하다 그녀가 전차에서 내리자 이를 곧 후회한다.
 +
 
 +
 
 +
다방으로 자리를 옮긴 구보는 여행비만 있다면 행복할 것 같다는 공상을 한다. 그는 행복감을 만끽하기 위해 경성역의 삼등 대합실로 향하지만 온정을 찾을 수 없는 사람들의 냉정한 눈길에 슬픔을 느낀다. 그러다 우연히 중학 시절 열등생이었던 동창과 마주치고, 그와 동행인 예쁜 여자를 보며 물질에 약한 여자의 허영심을 생각한다. 다방으로 돌아온 구보는 그곳에서 시인이자 사회부 기자인 친구를 만난다. 그는 친구가 돈 때문에 매일 살인강도와 방화범의 기사를 써야 한다는 사실에 안타까워하면서도 즐겁게 차를 마시는 연인들을 바라보며 질투와 고독을 느낀다. 그는 경성 거리를 배회하며 동경에서의 옛사랑을 회상하고 그녀를 불행하게 만들었다는 죄책감을 느낀다.
 +
 
 +
 
 +
또 전보 배달 차량을 보며 친구에게 편지를 받고 싶다는 생각을 떠올린다. 구보는 종로의 한 술집에서 다른 친구와 술을 마시며 세상 사람들을 모두 정신병자로 간주하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그는 소복을 입은 아낙이 여급 모집에 대하여 물어 오던 일을 떠올리고, 이 모든 일이 가난 때문에 생긴 불행이라고 생각한다. 새벽 두 시의 종로 네거리, 구보는 이제 어머니의 행복을 위하여 결혼도 하고 창작에 전념할 것을 다짐하며 집으로 향한다.
 +
 
 +
 
 +
==이해와 감상==
  
혼인을 시키면 제 계집 귀여운 줄을 알아 자연 돈 벌 궁리를 하겠지 싶어 권할라치면, "돈 한푼 없이 어떻게 기집 멕여 살립니까?"가 그 대꾸이다. 월급 자리를 구할 생각은 없이, 집에선 책이나 읽든가 글을 쓰다가 나가면 밤중까지 쏘다니니 보기에도 딱했다.
 
  
때로 글을 팔아 돈 몇 푼을 벌어올 때도 있긴 하다. 그럴 때면 옷감을 끊어서 건넌방 맏며느리 바느질 솜씨로 치마를 해서 입고 일가집에 자랑하러 다닌다. 아무리 직장이 귀하다지만, 고등학교를 나오고 동경에서 공부까지 하고 돌아온 아들이 무직자임은 도무지 믿어지지 않는다.
+
이 작품은 작가의 자전적 소설로, 소설가 구보가 하루 동안 서울 거리를 배회하며 느끼는 내면 의식의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서울 거리의 풍물이나 사람들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으며, 이러한 세태를 바라보는 구보의 관찰과 생각 속에는 1930년대 일제 강점기 조선의 다양한 현실이 잘 표현되어 있다.
  
한편, 집을 나선 구보는 천변 길을 따라 광교 쪽으로 향한다. 종로 네거리에 다다라 화신백화점을 기웃거리다가 나와서 전차를 탄다. 전찻간에서 우연히 1년 전쯤 맞선을 보았던 여자를 곁눈질로 보게 되었다. 여자와 행복의 상관성에 생각이 미치자 느닷없이 사춘기 시절에 친구의 누나를 짝사랑했던 때가 상기되었다.
 
  
조선은행 앞에서 내려 장곡천정으로 걸어가 이따금 찾는 다방에 들러서는 차를 마시고 레코드 음악을 듣는다. 친구가 아쉬워진 판에 면식이 있는 사람이 들어왔으나 비위가 맞지 않는 위인이어서 나오고 만다.
+
따뜻한 인간성을 상실해 가고 물질 만능주의에 허덕거리는 천박한 인물들의 모습은 구보에게 냉소적이고 자조적인 표현을 쓰게 한다. 하지만 구보도 이러한 상황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무기력한 지식인일 뿐이다.
  
부청 쪽으로 걸음을 옮기다가 골목 안에 골동품 가게를 하는 젊은 화가가 생각나서 찾아갔으나 출타중이라 해 되나온다. 문득, 자기가 소년 시절에 집안 안짬재기에게 부탁하여 「춘향전」을 읽었던 게 문학의 길을 택한 인연이었던 걸 떠올려본다. 거리에서 보통학교 때의 동창과 맞닥뜨렸으나 초라한 행색의 그 동창은 얼른 걸음을 피한다.
 
  
고독감에 사로잡혀 경성역 대합실의 군중 속에 파묻혀본다. 때는 바야흐로 황금광 시대다. '시시각각으로 사람들은 졸부가 되고, 또 몰락하여갔다. ' 그때 중학 동창생으로 전당포집 아들인, 지지리도 공부를 못했던 열등생이 반갑게 다가와 인사를 건넨다. 차를 마시자 해서 엉거주춤 따라갔는데, 녀석은 애인을 달고 있었고 거기에 더해 호기 있게 칼피스를 주문하는 바람에 구보는 심드렁해져 이내 친구와 헤어진다.
+
이 작품에서는 당시의 세태를 비판적으로는 인식하지만, 이에 대해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어떠한 행동도 하지 못하는 소심한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구보를 형상화하고 있다.
  
다시 조선은행 앞까지 걸어와 신문사 기자로 재직하는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만나자고 간곡히 청했다.
 
  
다방에 늦게 나타난 친구는 구보가 쓴 소설작품을 언급하다가는, 제임스 조이스의 대작『율리시즈』를 들먹인다. 구보는 그런 화제보다도 밖에서 들려오는 어린애 울음소리 때문에 신경이 쓰인다. 그 울음은 어느 친구가 남긴 사생아를 기억나게 해 신의 질타를 곱씹게 되었다.
+
소심한 식민지 지식인 '구보'
  
혼자가 된 구보는 종로경찰서 옆에서 다방을 경영하는 친구를 찾아가, 그가 나타나길 기다리는 시간에 동경 유학 시절, 한 처녀와 교제했던 때를 회상한다. 자신의 무기력함과 어설픈 윤리의식으로 그녀를 잃은 데 대해 자신에게 회의를 느낀다. 주인인 친구와 함께 설렁탕을 들며 또 과거를 반추한다.
 
  
그 친구와는 밤 열시에 다시 만나기로 하고 헤어졌다. 그 사이에 궁금히 여겼던 어떤 친구의 조카아이를 만났다. 그 아이의 아버지는 시골에 딴살림을 차려 산다니 불우한 처지일 게 분명했다. 수박을 사서 쥐어준다.
+
작품의 중심 인물인 소설가 구보는 작가 [[박태원]]의 분신으로도 볼 수 있다. 작가는 허무주의와 냉소주의에 빠져 살아가는 1930년대 지식인의 모습을 소설가 구보 씨를 통해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친구를 기다리는 다방에서 생명보험 외판원 노릇을 하는 중학 선배와 대면하게 되었다. 이 사람은 어쩐 까닭인지 구보를 꼭 '구포'라 부른다. 맥주를 마셔 얼굴이 불콰했다. 동석한 사람에게 인사를 시키려는 양인지
+
==관련 콘텐츠==
  
"이리 좀 앉으시오. 참, 최군, 인사하지. 소설가 구포씨."
+
===관련 영상===
  
큰 소리로 떠든다.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오디오북
  
마지못해 합석을 했더니 상대는 우쭐대는 태도로 병맥주를 권한다. 시답잖은 느낌이 드는 참에, 구보의 작품을 애독한다는 거며
+
<youtube>I4a7ps3RMvs</youtube>
  
"구포 씨를 선전하지요"
+
*연극 '소설가 구보씨의 1일'
  
라는 말까지 뱉는다. 최군이라는 자가, 조선서는 원고료를 얼마 받느냐고 물어오자 구보는 더 참지 못해서 마침 나타난 다방 주인 친구를 채근하여 밖으로 나오고 말았다.
+
<youtube>qACir--AY7I</youtube>
  
조선호텔 앞을 지났다. 가난한 소설가와 구차한 내 나라를 생각하니 마음이 침울해졌다. '고독이 빚어내는 사상'에 젖어서 친구와 함께 낙원정의 카페로 찾아들었다.
+
이 연극은 1930년대 경성을 되살려내었다. 그 시대의 사진과 역사적 사실을 각주로 삼아 관객의 이해를 도우며, 소설을 그대로 읊어대고 그 위에 몸을 맡기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 연극은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쓰여졌던 원작의 묘미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연극에서는 박태원의 소설 속 텍스트로 언급된 음악을 실제로 구현하고 현대적 주석이나 숨어있는 행간의 의미를 장면화 하는 등 소설을 영상, 음악, 조명 등으로 이미지화 하였으며, 원작의 문장 또는 단어가 품고 있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여급들의 싸구려 웃음과 객쩍은 화제는 여느 때나 마찬가지다. 그러던 차에 열 예닐곱 살 되어 보이는 앳된 소녀의 맑은 눈이 마음을 끌었다.
+
===연구 결과물===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70548&language=ko_KR 이민영. (2015).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구. 현대소설연구, (58), 359-386.]
  
그녀에게 내일 야외 산책을 나가자며, 내일 정오에 화신상회 옥상에서 만나는데 동의하는지 그 가부를 ×표로 표시해달라고 청했다. 새벽 2시, 종로 네거리에는 비가 추적추적 내리고 있었다. 헤어지기 전에 친구가 여급이 표시한 종이쪽지를 보자고 했다. ×표였다.
+
*[http://www.papersearch.net/thesis/article.asp?key=3342572 이민영. (2015). 권은 ( Eun Kwon ). 2015. 피난민 산책자와 1970년대 서울-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론-. 시학과 언어학, 30(0): 97-120]
  
구보는 집으로 돌아오며, 이후 어머니가 자신의 혼인 얘기를 꺼내면 쉽게 어머니의 욕망을 물리치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
*[http://www.papersearch.net/thesis/article.asp?key=2634935 이민영. (2015). 양지욱 ( Jee Wook Yang ). 2007.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22(0): 181-202]
  
[네이버 지식백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권영민)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583342&language=ko_KR 안혜련. (2000). [특집/최인훈의 문학세계] 최인훈의「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서술 특성 고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7(), 54-75.]
  
==출판 및 공연 정보==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052341&language=ko_KR 이화진. (2001).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론-구보 소설의 창작원리와 그 의미-. 어문학, (), 353-377.]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69624&language=ko_KR 윤영옥. (1996).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에 나타난 자유간접문체에 관하여. 현대소설연구, (5), 165-187.]
  
*공연: 2017.10.25- 2017.10.29 국립극장해오름극장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071785&language=ko_KR 이민영. 김인호. (1998). 신 없는 시대의 서사적 몸부림 -최인훈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33(), 317-333.]
  
 
==관련항목==
 
==관련항목==
88번째 줄: 99번째 줄:
 
|-
 
|-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한국소설]] || A는 B에 포함된다 ||
 +
|-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중편소설]] || A는 B에 포함된다 ||
 +
|-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세태소설]] || A는 B에 포함된다 ||
 +
|-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모더니즘|모더니즘 소설]] || A는 B에 포함된다 ||
 +
|-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의식의흐름기법]] || A는 B가 사용되었다. ||
 +
|-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몽타주기법]] || A는 B가 사용되었다. ||
 +
|-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박태원]] || A는 B에 의해 집필되었다 ||
 +
|-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일제강점기소설]] || A는 B에 포함된다 ||
 +
|-
 +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현대소설]] || A는 B에 포함된다 ||
 
|}
 
|}
  
 
==참고문헌==
 
==참고문헌==
  
네이버포털검색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898&cid=41708&categoryId=41737 네이버 지식백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권영민)]
 +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898&cid=41708&categoryId=41737 네이버 지식백과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小說家仇甫氏-一日] (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 1917-1950, 2013. 2. 5., 송하춘)]
 +
 
 +
==네트워크 그래프==
 +
 
 +
[[파일: 소설가구보씨.PNG]]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작품]] [[분류:작성자이름]] [[분류:기여자이름]]
+
[[분류:저서] [[분류:작품]] [[분류:고지호]] [[분류:한국소설]] [[분류:중편소설]] [[분류:모더니즘소설]] [[분류:세태소설]] [[분류:의식의 흐름기법]] [[분류:몽타주 기법]] [[분류:박태원]] [[분류:일제강점기소설]] [[분류:일제강점기문학]][[분류:현대소설]]  [[분류:리얼리즘소설]]  [[분류:한국문학]] [[분류:박태원]]

2019년 6월 16일 (일) 13:41 기준 최신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개요

1934년 8월 1일부터 9월 19일까지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된 박태원의 중편소설.

고도의 소설적 기교를 사용하여 모더니스트로서의 작가적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이 작품은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이 거둔 중요한 성과 중의 하나로 평가된다. 이 작품은 홀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미혼의 소설가 구보가 어느 날 집을 나서서 서울 거리를 배회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서울 거리의 풍물 및 사람들과 접촉하면서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구보의 내면 의식이 주로 서술되고 있다. 극적 사건 등의 서사성이 약화된 반면에 주인공의 유동적인 내면 세계가 근간을 이루고 있는 작품이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부각되는 것은 특히 의식의 흐름이나 몽타주 기법 등 실험적인 소설 기법이다. 이 작품은 현재와 과거, 현실과 환상이 교차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 교차를 통해 주인공의 복합적인 내면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내면 의식의 표출에 있어 전통적인 서술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실험적인 기법을 사용한 점이 주목된다.

이 작품에 사용된 실험적 기법은 단순히 기법의 차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현실관 및 인간관의 모색과 관련된다. 일의적(一義的)으로 포착될 수 없는 현실과, 일련의 감각‧지각의 흐름으로서의 인간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소설적 기법을 필요로 했던 것이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주제 의식은 플롯과 결합되지 않고 바로 이 소설적 기법과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또 창작 노트 그 자체를 소설화하는 고현학(考現學)의 방법론과 여러 곳을 배회하는 산책자형 인물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모더니즘 소설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꼽히기도 한다.


줄거리

구보는 동경 유학까지 다녀온 지식인이지만 직업도 구하지 못하고 장가도 들지 못한 인물이다. 그는 매일 아침 어머니의 잔소리를 뒤로 하고 정오에 집을 나선다. 천변 길의 광교, 종로 네거리를 바라보고 걷던 구보는 어디로 갈까 고민한다. 그는 길을 걷다가 자신의 앞을 가로질러 지나는 사나이와 마주칠 것 같은 착각을 느끼고, 위태롭게 걸음을 멈춘다. 그리고는 한낮에도 답답한 자기의 시력을 저주하며 신체적 불안감을 느낀다. 동대문행 전차에 오른 구보는 전차 안에서 예전에 선 본 여자를 발견한다. 그는 그녀에게 말을 걸까 말까 고민하다 그녀가 전차에서 내리자 이를 곧 후회한다.


다방으로 자리를 옮긴 구보는 여행비만 있다면 행복할 것 같다는 공상을 한다. 그는 행복감을 만끽하기 위해 경성역의 삼등 대합실로 향하지만 온정을 찾을 수 없는 사람들의 냉정한 눈길에 슬픔을 느낀다. 그러다 우연히 중학 시절 열등생이었던 동창과 마주치고, 그와 동행인 예쁜 여자를 보며 물질에 약한 여자의 허영심을 생각한다. 다방으로 돌아온 구보는 그곳에서 시인이자 사회부 기자인 친구를 만난다. 그는 친구가 돈 때문에 매일 살인강도와 방화범의 기사를 써야 한다는 사실에 안타까워하면서도 즐겁게 차를 마시는 연인들을 바라보며 질투와 고독을 느낀다. 그는 경성 거리를 배회하며 동경에서의 옛사랑을 회상하고 그녀를 불행하게 만들었다는 죄책감을 느낀다.


또 전보 배달 차량을 보며 친구에게 편지를 받고 싶다는 생각을 떠올린다. 구보는 종로의 한 술집에서 다른 친구와 술을 마시며 세상 사람들을 모두 정신병자로 간주하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그는 소복을 입은 아낙이 여급 모집에 대하여 물어 오던 일을 떠올리고, 이 모든 일이 가난 때문에 생긴 불행이라고 생각한다. 새벽 두 시의 종로 네거리, 구보는 이제 어머니의 행복을 위하여 결혼도 하고 창작에 전념할 것을 다짐하며 집으로 향한다.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작가의 자전적 소설로, 소설가 구보가 하루 동안 서울 거리를 배회하며 느끼는 내면 의식의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서울 거리의 풍물이나 사람들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으며, 이러한 세태를 바라보는 구보의 관찰과 생각 속에는 1930년대 일제 강점기 조선의 다양한 현실이 잘 표현되어 있다.


따뜻한 인간성을 상실해 가고 물질 만능주의에 허덕거리는 천박한 인물들의 모습은 구보에게 냉소적이고 자조적인 표현을 쓰게 한다. 하지만 구보도 이러한 상황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무기력한 지식인일 뿐이다.


이 작품에서는 당시의 세태를 비판적으로는 인식하지만, 이에 대해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어떠한 행동도 하지 못하는 소심한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구보를 형상화하고 있다.


소심한 식민지 지식인 '구보'


작품의 중심 인물인 소설가 구보는 작가 박태원의 분신으로도 볼 수 있다. 작가는 허무주의와 냉소주의에 빠져 살아가는 1930년대 지식인의 모습을 소설가 구보 씨를 통해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관련 콘텐츠

관련 영상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오디오북

  • 연극 '소설가 구보씨의 1일'

이 연극은 1930년대 경성을 되살려내었다. 그 시대의 사진과 역사적 사실을 각주로 삼아 관객의 이해를 도우며, 소설을 그대로 읊어대고 그 위에 몸을 맡기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 연극은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쓰여졌던 원작의 묘미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연극에서는 박태원의 소설 속 텍스트로 언급된 음악을 실제로 구현하고 현대적 주석이나 숨어있는 행간의 의미를 장면화 하는 등 소설을 영상, 음악, 조명 등으로 이미지화 하였으며, 원작의 문장 또는 단어가 품고 있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물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한국소설 A는 B에 포함된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중편소설 A는 B에 포함된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세태소설 A는 B에 포함된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모더니즘 소설 A는 B에 포함된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의식의흐름기법 A는 B가 사용되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몽타주기법 A는 B가 사용되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박태원 A는 B에 의해 집필되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일제강점기소설 A는 B에 포함된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현대소설 A는 B에 포함된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권영민)


네이버 지식백과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小說家仇甫氏-一日 (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 1917-1950, 2013. 2. 5., 송하춘)]

네트워크 그래프

소설가구보씨.PNG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