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요== 산스크리트어 ‘saṃghārāma’를 음역한 승가람마의 약어로, 승려가 살면서 불도를 닦는 곳을 가리킨다. 중원이라고 번역하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해인사전경.jpg|350픽셀|섬네일|오른쪽|합천 해인사 [[http://www.heritage.go.kr/|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공공누리 제4유형''']]
 
==개요==
 
==개요==
산스크리트어 ‘saṃghārāma’를 음역한 승가람마의 약어로, 승려가 살면서 불도를 닦는 곳을 가리킨다. 중원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
가람(伽藍)은 산스크리트어 ‘saṃghārāma’를 음역한 승가람마(僧伽藍摩)의 약어로, 승려가 살면서 불도를 닦는 곳을 가리킨다. 중원(衆園)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
유의어로 절, 사원, 사찰 등이 있다.
 +
 
 
==구조==
 
==구조==
 
===산문===
 
===산문===
 +
속세와 사찰을 나누는 경계
 
*일주문
 
*일주문
 +
산문의 첫번째 문으로, 기둥이 일렬로 서있다.
 +
<gallery>
 +
파일:통도사일주문.jpg|1930년대 통도사 일주문 by 한국저작권위원회'''CC BY '''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파일:선암사일주문.jpg|선암사 일주문 by Patrick Vierthaler'''CC BY NC''' [[https://www.flickr.com/photos/pv9007/42700462644/in/photolist-284i2Tb-nX7di7-nX7x7t| 출처 플리커]]
 +
</gallery>
 
*천왕문
 
*천왕문
 +
사천왕을 모신 전각이다. 그림이나 조각상으로 사천왕을 세운다.
 +
<gallery>
 +
파일:범어사천왕문.jpg| 범어사의 천왕문 by 김순식 '''CC BY'''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파일:보탑사사천왕상1.jpg| 보탑사의 사천왕상 by 이진혁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파일:보탑사사천왕사2.jpg| 보탑사의 사천왕상 by 이진혁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gallery>
 
*불이문
 
*불이문
 +
산문의 마지막 문.
 +
<gallery>
 +
파일:운문사불이문.jpg|운문사의 불이문 by 김인혜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파일:불국사불이문.jpeg|불국사의 불이문 by 임재선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gallery>
 
===전각===
 
===전각===
 +
법당,금당 또는 불당이라고도 한다.
 
*대웅전
 
*대웅전
 +
석가모니를 봉안한 전각
 +
<gallery>
 +
파일:수덕사대웅전.jpg|수덕사의 대웅전 by Joongi Kim '''CC BY SA''' [[https://flic.kr/p/6d2xEJ| 출처 플리커]]
 +
파일:흥국사대웅전.jpg|흥국사의 대웅전 by Republic of Korea '''CC BY SA''' [[https://flic.kr/p/oen1px| 플리커]]
 +
</gallery>
 +
*영산전
 +
석가모니와 석가모니의 일생을 8시기로 나누어 그린 팔상탱화를 봉안한 전각. 팔상탱화를 봉안하고 있어 팔상전이라고도 한다.
 +
<gallery>
 +
파일:마곡사영산전.jpg|마곡사의 영산전 by 김순식 '''CC BY'''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파일:법주사팔상전.jpg|법주사의 팔상전 '''공공누리 제4유형''' [[http://www.heritage.go.kr/|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
</gallery>
 
*비로전
 
*비로전
 +
비로자나불을 중앙에 모신 전각
 +
<gallery>
 +
파일:직지사비로전.jpg|직지사의 비로전 by InSapphoWeTrust '''CC BY SA''' [[https://flic.kr/p/991DtM| 출처 플리커]]
 +
파일:각연사비로전.jpg|각연사의 비로전 by 송희선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gallery>
 
*극락전
 
*극락전
 +
무량수전, 아미타전 등으로도 불린다.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봉안한다.
 +
<gallery>
 +
파일:불국사극락전.jpg|불국사의 극락전A by Hong, Yun Seon '''CC BY NC S''' [[https://flic.kr/p/4u6ePr| 출처 플리커]]
 +
파일:부석사무량수전.jpg|부석사의 무량수전 by 이상화 '''CC BY'''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gallery>
 
*미륵전
 
*미륵전
 +
미륵불과 협시보살인 신광보살,청광보살을 모신 전각
 +
<gallery>
 +
파일:금산사미륵전.jpg|금산사 by 김진용 '''CC BY'''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gallery>
 +
*약사전
 +
약사여래와 협시보살로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모신다.
 +
<gallery>
 +
파일:전등사약사전.jpg|전등사의 약사전 by 안장헌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파일:1622368.jpg|관룡사의 약사전 '''공공누리 제1유형''' [[http://www.heritage.go.kr/|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
</gallery>
 
*약사전
 
*약사전
 
*관음전
 
*관음전
*지장전
+
원통전이라고도 하며 관세음보살을 모신 곳이다.
*팔상전
+
<gallery>
 +
파일:통도사관음전.jpg|통도사의 관음전 '''공공누리 제1유형''' [[http://www.heritage.go.kr/|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
파일:은해사원통전.jpg|은해사의 원통전 by 서명희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gallery>
 +
*명부전
 +
저승을 상징하는 곳이다. 저승의 심판관인 10대왕을 봉안하고 있어 시왕전이라고도 하며, 지장 보살을 주불로 모시고 있어 지장전이라고도 한다.
 +
<gallery>
 +
파일:내장사명부전.jpg|내장사의 명부전 by 김갑수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파일:송광사지장전.jpg|송광사의 지장전 by Republic of Korea '''CC BY SA''' [[https://flic.kr/p/oexnXy| 출처 플리커]]
 +
</gallery>
 
*나한전
 
*나한전
 +
부처님의 제자인 승보를 봉안한 전각
 +
<gallery>
 +
파일:성흥사나한전.jpg|성흥사의 나한전 by 임오규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파일:금산사나한전.jpg|금산사의 나한전 by 이상화 '''CC BY'''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gallery>
 
===탑===
 
===탑===
 +
재료에 따라 목탑, 모전석탑, 전탑, 석탑 등으로 나눈다.
 +
*우리나라의 목탑은 전쟁 등으로 소실되어 남아있지 않다.
 +
*모전석탑
 +
돌을 벽돌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탑
 +
<gallery>
 +
파일:분황사모전석탑정면.jpg|분황사 모전석탑의 정면 '''공공누리 제1유형'''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752&ccbaKdcd=11&ccbaAsno=00300000&ccbaCtcd=37|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
파일:분황사모전석탑.jpeg|분황사 모전석탑(1929년) by.Sirén, Osvald '''CC BY NC ND''' [[https://www.europeana.eu/portal/en/record/91669/SMVK_OM_Bildarkiv_200417.html?q=korean+temple#dcId=1575188066283&p=2| 출처 유로피아나]]
 +
파일:영양오층모전석탑.jpg|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공공누리 제4유형'''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858&ccbaKdcd=11&ccbaAsno=01870000&ccbaCtcd=37|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
</gallery>
 +
*전탑
 +
흙으로 만든 벽돌로 쌓은 탑
 +
<gallery>
 +
파일:법흥사지칠층전탑.jpg|법흥사지 칠층전탑 '''공공누리 제11유형'''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2633&ccbaKdcd=11&ccbaAsno=00160000&ccbaCtcd=37#|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
파일:운흥동오층전탑.jpg|안동 운흥동 오층전탑 by 안장헌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gallery>
 +
*석탑
 +
<gallery>
 +
파일:원각사지십층석탑.jpg|원각사지 십층석탑 '''공공누리 제1유형'''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1450&ccbaKdcd=11&ccbaAsno=00020000&ccbaCtcd=11#|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
파일:1929다보탑.jpeg|불국사 다보탑(1929년) by.Sirén, Osvald '''CC BY NC ND''' [[https://www.europeana.eu/portal/en/record/91669/SMVK_OM_Bildarkiv_200411.html?q=korean+temple#dcId=1575188066283&p=2| 출처 유로피아나]]
 +
파일:익산미륵사지석탑.jpg|익산 미륵사지 석탑 by 이응준 '''CC BY NC ND''' [[https://gongu.copyright.or.kr/| 출처 공유마당]]
 +
</gallery>
 +
 
==가람배치==
 
==가람배치==
===위치에 따른 가람배치===
+
사찰 건물의 배치와 형식을 가리킨다.
* 평지가람형
+
===지형에 따른 가람배치===
* 산지가람형
+
사찰이 지어진 지형이 평지인지 산지인지에 따라 구분한다.
===배치에 따른 가람배치===
+
* 평지가람
* 일탑일금당식
+
주로 삼국시대에 건축된 경우가 많다.
* 일탑삼금당식
+
* 산지가람
* 쌍탑일금당식
+
통일신라 시대에 수행 중심인 선종의 영향으로 산 속에 건축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억불숭유 정책으로 도시 내에 사찰을 폐쇄하여 산지에 자리잡게 되었다.
 +
===탑과 금당 배치에 따른 가람배치===
 +
탑을 중심으로 금당(金堂 : 부처를 모시는 전각)이 어떻게 배치되어있느냐에 따라 구분한다.
 +
* 일탑일금당식(一塔一金堂式)
 +
불교 초기에 많이 볼 수 있는 양식으로, 남에서 북으로 중문, 탑, 금당을 일자로 배치하고 이를 회랑으로 둘러싼다. 주로 백제 사찰에서 볼 수 있다.
 +
 
 +
[[파일:정림사지배치도.jpg|500px]]
 +
 
 +
부여 정림사지 가람배치도 '''공공누리 제1유형''' [[http://www.heritage.go.kr/| 출처 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탈)]]
 +
* 일탑삼금당식(一塔三金堂式)
 +
탑을 중심으로 동쪽, 서쪽, 북쪽에 금당을 배치하는 양식. 고구려 사찰에서 볼 수 있다.
 +
 
 +
신라의 황룡사는 금당을 동에서 서로 서금당, 중금당, 동금당을 일자로 배치하고 중금당 북쪽에는 강당을, 남쪽에 탑이 배치되어있다.
 +
 
 +
[[파일:황룡사배치도.jpg|500px]]
 +
 
 +
경주 황룡사지 가람배치도 by joyjunyi '''CC BY-NC-ND''' [[https://blog.naver.com/joyjunyi/221069972725| 네이버블로그]]
 +
* 이탑일금당식(二塔一金堂式)
 +
하나의 금당에 동탑, 서탑 두 개의 탑을 배치한다. 쌍탑식 가람배치라고도 한다.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되었다.
 +
 
 +
[[파일:감은사지배치도.jpg|500px]]
 +
 
 +
경주 감은사지 가람배치도 by hanbam '''CC BY NC ND''' [[https://blog.naver.com/hanbam/50120105839| 네이버블로그]]
 +
 
 +
* 삼탑삼금당식
 +
일탑일금당식 가람 셋을 병렬시킨 구조. 미륵사지의 경우 각기 세 원이 회랑으로 독립되어 있으나, 북쪽의 강당으로 연결된다.
 +
 
 +
[[파일:미륵사지 배치도.png|340px]]
 +
 
 +
익산 미륵사지 가람배치도 by unescobaekje '''CC BY NC ND''' [[https://blog.naver.com/unescobaekje/220732708805| 네이버블로그]]
 +
==관련 영상 및 사이트==
 +
*한국의 사찰
 +
<youtube>LxTmu8vKsvU</youtube>
 +
*부여 정림사지
 +
<youtube>VIdaG7GjI4c</youtube>
 +
 
 +
정림사지 3차원 기록화 [[http://175.198.36.93:82/main.html?jeongnimsaji]]
 +
*익산 미륵사지
 +
<youtube>Amxbbs71-ss</youtube>
 +
*경주 황룡사지
 +
<youtube>dYcq5mIKs-U</youtube>
 +
*경주 감은사지
 +
<youtube>icecRLQ_GUk</youtube>
 +
 
 +
==참고문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
 +
*공유마당 [[https://gongu.copyright.or.kr/]]
 +
*플리커 [[https://www.flickr.com/]]
 +
*유로피아나 [[https://www.europeana.eu/portal/en]]
 +
*KOCW [[http://www.kocw.net/]]
 +
*백제역사유적지구 3차원 기록화 [[http://175.198.36.93:82/]]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
 +
 
 +
 
 +
 
 +
[[분류:불교]]
 +
[[분류:건축]]
 +
[[분류:불교건축]]

2019년 12월 2일 (월) 15:23 기준 최신판

합천 해인사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공공누리 제4유형

개요

가람(伽藍)은 산스크리트어 ‘saṃghārāma’를 음역한 승가람마(僧伽藍摩)의 약어로, 승려가 살면서 불도를 닦는 곳을 가리킨다. 중원(衆園)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유의어로 절, 사원, 사찰 등이 있다.

구조

산문

속세와 사찰을 나누는 경계

  • 일주문

산문의 첫번째 문으로, 기둥이 일렬로 서있다.

  • 천왕문

사천왕을 모신 전각이다. 그림이나 조각상으로 사천왕을 세운다.

  • 불이문

산문의 마지막 문.

전각

법당,금당 또는 불당이라고도 한다.

  • 대웅전

석가모니를 봉안한 전각

  • 영산전

석가모니와 석가모니의 일생을 8시기로 나누어 그린 팔상탱화를 봉안한 전각. 팔상탱화를 봉안하고 있어 팔상전이라고도 한다.

  • 비로전

비로자나불을 중앙에 모신 전각

  • 극락전

무량수전, 아미타전 등으로도 불린다.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봉안한다.

  • 미륵전

미륵불과 협시보살인 신광보살,청광보살을 모신 전각

  • 약사전

약사여래와 협시보살로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모신다.

  • 약사전
  • 관음전

원통전이라고도 하며 관세음보살을 모신 곳이다.

  • 명부전

저승을 상징하는 곳이다. 저승의 심판관인 10대왕을 봉안하고 있어 시왕전이라고도 하며, 지장 보살을 주불로 모시고 있어 지장전이라고도 한다.

  • 나한전

부처님의 제자인 승보를 봉안한 전각

재료에 따라 목탑, 모전석탑, 전탑, 석탑 등으로 나눈다.

  • 우리나라의 목탑은 전쟁 등으로 소실되어 남아있지 않다.
  • 모전석탑

돌을 벽돌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탑

  • 전탑

흙으로 만든 벽돌로 쌓은 탑

  • 석탑

가람배치

사찰 건물의 배치와 형식을 가리킨다.

지형에 따른 가람배치

사찰이 지어진 지형이 평지인지 산지인지에 따라 구분한다.

  • 평지가람

주로 삼국시대에 건축된 경우가 많다.

  • 산지가람

통일신라 시대에 수행 중심인 선종의 영향으로 산 속에 건축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억불숭유 정책으로 도시 내에 사찰을 폐쇄하여 산지에 자리잡게 되었다.

탑과 금당 배치에 따른 가람배치

탑을 중심으로 금당(金堂 : 부처를 모시는 전각)이 어떻게 배치되어있느냐에 따라 구분한다.

  • 일탑일금당식(一塔一金堂式)

불교 초기에 많이 볼 수 있는 양식으로, 남에서 북으로 중문, 탑, 금당을 일자로 배치하고 이를 회랑으로 둘러싼다. 주로 백제 사찰에서 볼 수 있다.

정림사지배치도.jpg

부여 정림사지 가람배치도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탈)]

  • 일탑삼금당식(一塔三金堂式)

탑을 중심으로 동쪽, 서쪽, 북쪽에 금당을 배치하는 양식. 고구려 사찰에서 볼 수 있다.

신라의 황룡사는 금당을 동에서 서로 서금당, 중금당, 동금당을 일자로 배치하고 중금당 북쪽에는 강당을, 남쪽에 탑이 배치되어있다.

황룡사배치도.jpg

경주 황룡사지 가람배치도 by joyjunyi CC BY-NC-ND [네이버블로그]

  • 이탑일금당식(二塔一金堂式)

하나의 금당에 동탑, 서탑 두 개의 탑을 배치한다. 쌍탑식 가람배치라고도 한다.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되었다.

감은사지배치도.jpg

경주 감은사지 가람배치도 by hanbam CC BY NC ND [네이버블로그]

  • 삼탑삼금당식

일탑일금당식 가람 셋을 병렬시킨 구조. 미륵사지의 경우 각기 세 원이 회랑으로 독립되어 있으나, 북쪽의 강당으로 연결된다.

미륵사지 배치도.png

익산 미륵사지 가람배치도 by unescobaekje CC BY NC ND [네이버블로그]

관련 영상 및 사이트

  • 한국의 사찰

  • 부여 정림사지

정림사지 3차원 기록화 [[1]]

  • 익산 미륵사지

  • 경주 황룡사지

  • 경주 감은사지

참고문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 공유마당 [[3]]
  • 플리커 [[4]]
  • 유로피아나 [[5]]
  • KOCW [[6]]
  • 백제역사유적지구 3차원 기록화 [[7]]
  • 유튜브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