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고채련(201103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페르시아 신화 개요)
(영화화된 도서 리스트)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페르시아 신화 개요==
+
==페르시아 신화를 선택한 이유와 개요==
  
페르시아의 신화는 역사적으로 7세기 중반을 경계로 이슬람 전, 즉 조로아스터 교 시대와 이슬람 시대로 나뉘어진다. 조로아스터 교 성전『아베스타』를 비롯해 사산 조 시대의 중세 페르시아 어 종교문헌에는 신화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이슬람시대에 많이 계승되었다. 이 교의 최고신 아후라마즈다는 페르세폴리스 등의 벽화조각에 잘 나타나 있으며, 사산 조 시대에는 물과 풍요의 여신 아나히타가 은기 등에 잘 표현되었다.
+
페르시아의 신화는 역사적으로 7세기 중반을 경계로 조로아스터 교 시대와 이슬람 시대로 나누어진다.  
 
조로아스터 교 신화는 같은 아리아 계 민족으로서의 인도 신화와 공통되는 부분이 많다. 이슬람시대에 있어서 아라비아 문자를 사용한 근세 페르시아 어로 된 신화적인 작품으로는 『샤 나메 』가 최대의 작품이다. 오늘날 이란에서 신화라 하면 일반적으로 이 작품의 신화적인 부분을 가리킨다. 페르시아 최대의 민족시인 피르두시가 약 30년의 세월에 걸쳐 1010년에 완성시킨 약 6만 대구로 된 이 대민족 서사시는 신화시대부터 사산 조 멸망에 이르는 신화, 전설, 역사를 읊은 것으로 4왕조 역대 50명의 왕의 치세로 구성되어 있다. 인류의 조 ∙ 최초의 왕 카유마르스에서 시작되는 피슈다디 조, 카이 쿠바드 왕에서 시작되는 카야니 조의 두 왕조는 완전히 신화 ∙ 전설왕조로서 이 부분이 『샤 나메』에서 가장 잘 지은 부분이다.
 
  
두 어깨에서 뱀이 돋아나온, 1000년에 걸쳐 이란을 지배하고 박해한 자하크 왕, 700년이나 살아 남아 이란 민족을 수많은 고난에서 구한 최대의 용자 로스탐의 많은 활약, 그의 부친 자르의 대로맨스, 시야우슈 왕자의 비극, 비잔과 마니제의 로맨스 등, 『샤 나메』에는 수많은 신화적인 인물이 등장하고 이란 민족 최대의 문화유산, 페르시아 신화의 보고가 되어 있다. 티무르 조에서 사파비 조에 걸쳐 전성기를 맞이한 페르시아 미니어처의 화제로서 가장 많이 그려지고 카펫의 문양에도 쓰여지고 있다.
+
조로아스터 교 성전『아베스타』를 비롯해 사산 조 시대의 중세 페르시아 어 종교 문헌에는 신화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이슬람 시대에 많이 계승되었다.
  
  
*샤 나메
+
마즈다는"빛과 지혜", "빛과 지혜의 존재"라는 뜻이다. 우주와 우주의 법칙과 질서를 창조해냈다.
[[파일:Hd9 2007-003 i1.jpg|200px]]
+
 
 +
우주의 운행을 위해 선과 진리, 빛, 생명의 영인 스펜타 마이뉴와 악, 거짓, 어둠, 죽음, 파괴의 영인 앙그라 마이뉴를 창조해냈다.
 +
 
 +
앙그라 마이뉴는 "적대자인 영혼"이라는 뜻이다. 죽음, 고통, 근심, 허위, 질병은 물론, 무지와 역병, 무질서 등의 모든 악과 모든 종류의 악행과 재앙을 만들어내는 악의 화신이다.
 +
 
 +
원하는 대로 모습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 권능을 지니고 있다. 자주 변신하는 대상은 뱀과 도마뱀, 아름다운 청년의 모습이다.
 +
 
 +
 
 +
선과 악의 싸움은 결국 선의 승리로 끝났다. 선과 악의 대결이라는 점이 흥미로웠고 원하는 모습으로 바꿀 수 있는 앙그라 마아뉴의 능력이 신기했기에 페르시아 신화를 선택했다.
  
페르시아어의 운문, 산문으로 된 민족서사시로, 이란의 신화, 전설, 역사를 집대성하고 이슬람 이전의 이란 역사를 저술했다.
 
  
 
==페르시아 신화 내용==
 
==페르시아 신화 내용==
 +
=== 인물 소개 ===
 +
*아후라 마즈다
 +
 +
세계의 창조자로서 빛과 어둠을 만들어 때를 정하고, 질서의 아버지로서 태양과 별의 길을 만들었으며, 선의의 창조자이기도 하다.
 +
 +
독수리의 날개와 꼬리를 달고 원반 위에 서서 후바루나(왕권) 상징을 지닌 (수염이 있는) 인간으로서 아카이 메네스 조의 왕 묘 부조와 인장에 나타나 있다.
 +
 +
[[파일:아후라 마즈다.jpg|400px]]
 +
 +
*앙그라 마이뉴
 +
 +
최고로 선한 신 아후라 마즈다에 대적하는 최고의 악한 신.
 +
 +
나타날 때의 모습은 정해져 있지 않고, 때에 따라 뱀, 개구리, 도마뱀 등 마성의 생물로 변한다.
 +
 +
 +
[[파일:앙그라 마이뉴.jpg|400px]]
 +
 +
=== 내용 ===
 +
 +
아케메네스왕조 최고의 페르시아 비밀문서에는 이란고원의 광대한 국토가‘위대한 신 아후라 마즈다(아후라는 신, 마즈다는 지혜)’에 의해 주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
 +
아후라 마즈다는 토속적인 고대 종교였던 조로아스터교에 있어서의 유일한 최고신으로서 예로부터 페르시아의 지배자와 피지배자를 포함한 범국민적 신앙의 대상이던 신이다.
 +
 +
아후라 마즈다는 인간을 지혜와 진실, 선함의 길로 인도하려고 했고 앙그라 마이뉴는 거짓과 무지, 악함의 길로 인도하려고 했다.
 +
 +
광명과 선을 관장하는 아후라 마즈다 신에게는 동시에 선악의 두 원리가 공존하고 있었다. 즉 아후라 마즈다는 앙그라 마이뉴(Angra Mainyu, 훗날의 아리만(Ahriman))라는 악령과 언제나 대립하면서 떨어질 수가 없었다.
 +
 +
페르시아인은 그들의 오랜 정치적 암투를 통해서도 ‘창조와 파괴’의 병행을 이 아후라 마즈다에 의해 완결시키려고 했다.
 +
 +
이 같은 신앙의 과정에 깃들인 미래에의 기원은 고대의 신들이나 자연의 창조물에 대한 기도와 찬가로 나타났다.
 +
 +
조로아스터는 불과 물과 흙을 신성하다고 가르쳤다. 사람이 죽으면 물에 빠뜨리거나 불에 태우거나 흙에 묻지 못하게 했는데 시체로 자연이 훼손되고 천사가 노한다고 생각한다.
 +
 +
그래서 조로아스터교도는 시체 원형의 '침묵의 탑'을 만들어 조장을 한 뒤 뼈만 추려 항아리나 관에 담았다. 눕게 될 때 그들의 종교상의 계율은 죽음으로 속죄되면서 마지막 임무를 다하는 것이다.
 +
 +
페르시아 신화는 조로아스터교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종교 신화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
또한 셈족과도 오랫동안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아후라 마즈다(빛)와 앙그라 마이뉴(어둠)의 싸움도 처음에는 천지창조를 에워싸고 벌어졌다. 아후라 마즈다와 앙그라 마이뉴는 전쟁을 벌이고 결국 아후라 마즈다가 승리했다.
 +
 +
이어 16나라의 창건, 질병의 침입 ·추방, 그리고 이상한 여러 가지 동물도 생기게 되었다.
 +
 +
앙그라 마이뉴와 그의 추종자들을 모두 영원히 지옥의 불구덩이로 던져졌다.
 +
 +
지상에는 "사오시안트" 라고 하는 구세주가 등장하여 인류를 구원하여 아후라 마즈다가 다스리는 나라가 세워져 인류가 영원히 행복을 누리게 됐다.
 +
 
===관련된 예술작품===
 
===관련된 예술작품===
==그외 이야기==
+
 
 +
*아후라 마즈다 부조
 +
 
 +
[[파일:아후라 마즈다 유적.jpg|400px]]
 +
 
 +
 
 +
[[파일:아후라 마즈다 1.jpg|300px]]
 +
 
 +
 
 +
*앙그라 마이뉴 부조
 +
 
 +
[[파일:앙그라 마이뉴1.png|400px]]
 +
 
 +
 
 +
*아후라 마즈다와 앙그라 마이뉴 전투
 +
 
 +
[[파일:전투.jpg|400px]]
 +
 
 +
 
 +
*침묵의 탑
 +
 
 +
[[파일: 침묵의 탑.jpg|400px]]
 +
 
 +
 
 +
*날개 달린 사자 뿔잔
 +
아케메네스왕조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
 
 +
[[파일:잔.jpg|400px]]

2021년 5월 10일 (월) 16:03 기준 최신판

페르시아 신화를 선택한 이유와 개요

페르시아의 신화는 역사적으로 7세기 중반을 경계로 조로아스터 교 시대와 이슬람 시대로 나누어진다.

조로아스터 교 성전『아베스타』를 비롯해 사산 조 시대의 중세 페르시아 어 종교 문헌에는 신화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이슬람 시대에 많이 계승되었다.


마즈다는"빛과 지혜", "빛과 지혜의 존재"라는 뜻이다. 우주와 우주의 법칙과 질서를 창조해냈다.

우주의 운행을 위해 선과 진리, 빛, 생명의 영인 스펜타 마이뉴와 악, 거짓, 어둠, 죽음, 파괴의 영인 앙그라 마이뉴를 창조해냈다.

앙그라 마이뉴는 "적대자인 영혼"이라는 뜻이다. 죽음, 고통, 근심, 허위, 질병은 물론, 무지와 역병, 무질서 등의 모든 악과 모든 종류의 악행과 재앙을 만들어내는 악의 화신이다.

원하는 대로 모습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 권능을 지니고 있다. 자주 변신하는 대상은 뱀과 도마뱀, 아름다운 청년의 모습이다.


선과 악의 싸움은 결국 선의 승리로 끝났다. 선과 악의 대결이라는 점이 흥미로웠고 원하는 모습으로 바꿀 수 있는 앙그라 마아뉴의 능력이 신기했기에 페르시아 신화를 선택했다.


페르시아 신화 내용

인물 소개

  • 아후라 마즈다

세계의 창조자로서 빛과 어둠을 만들어 때를 정하고, 질서의 아버지로서 태양과 별의 길을 만들었으며, 선의의 창조자이기도 하다.

독수리의 날개와 꼬리를 달고 원반 위에 서서 후바루나(왕권) 상징을 지닌 (수염이 있는) 인간으로서 아카이 메네스 조의 왕 묘 부조와 인장에 나타나 있다.

아후라 마즈다.jpg

  • 앙그라 마이뉴

최고로 선한 신 아후라 마즈다에 대적하는 최고의 악한 신.

나타날 때의 모습은 정해져 있지 않고, 때에 따라 뱀, 개구리, 도마뱀 등 마성의 생물로 변한다.


앙그라 마이뉴.jpg

내용

아케메네스왕조 최고의 페르시아 비밀문서에는 이란고원의 광대한 국토가‘위대한 신 아후라 마즈다(아후라는 신, 마즈다는 지혜)’에 의해 주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후라 마즈다는 토속적인 고대 종교였던 조로아스터교에 있어서의 유일한 최고신으로서 예로부터 페르시아의 지배자와 피지배자를 포함한 범국민적 신앙의 대상이던 신이다.

아후라 마즈다는 인간을 지혜와 진실, 선함의 길로 인도하려고 했고 앙그라 마이뉴는 거짓과 무지, 악함의 길로 인도하려고 했다.

광명과 선을 관장하는 아후라 마즈다 신에게는 동시에 선악의 두 원리가 공존하고 있었다. 즉 아후라 마즈다는 앙그라 마이뉴(Angra Mainyu, 훗날의 아리만(Ahriman))라는 악령과 언제나 대립하면서 떨어질 수가 없었다.

페르시아인은 그들의 오랜 정치적 암투를 통해서도 ‘창조와 파괴’의 병행을 이 아후라 마즈다에 의해 완결시키려고 했다.

이 같은 신앙의 과정에 깃들인 미래에의 기원은 고대의 신들이나 자연의 창조물에 대한 기도와 찬가로 나타났다.

조로아스터는 불과 물과 흙을 신성하다고 가르쳤다. 사람이 죽으면 물에 빠뜨리거나 불에 태우거나 흙에 묻지 못하게 했는데 시체로 자연이 훼손되고 천사가 노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조로아스터교도는 시체 원형의 '침묵의 탑'을 만들어 조장을 한 뒤 뼈만 추려 항아리나 관에 담았다. 눕게 될 때 그들의 종교상의 계율은 죽음으로 속죄되면서 마지막 임무를 다하는 것이다.

페르시아 신화는 조로아스터교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종교 신화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셈족과도 오랫동안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아후라 마즈다(빛)와 앙그라 마이뉴(어둠)의 싸움도 처음에는 천지창조를 에워싸고 벌어졌다. 아후라 마즈다와 앙그라 마이뉴는 전쟁을 벌이고 결국 아후라 마즈다가 승리했다.

이어 16나라의 창건, 질병의 침입 ·추방, 그리고 이상한 여러 가지 동물도 생기게 되었다.

앙그라 마이뉴와 그의 추종자들을 모두 영원히 지옥의 불구덩이로 던져졌다.

지상에는 "사오시안트" 라고 하는 구세주가 등장하여 인류를 구원하여 아후라 마즈다가 다스리는 나라가 세워져 인류가 영원히 행복을 누리게 됐다.

관련된 예술작품

  • 아후라 마즈다 부조

아후라 마즈다 유적.jpg


아후라 마즈다 1.jpg


  • 앙그라 마이뉴 부조

앙그라 마이뉴1.png


  • 아후라 마즈다와 앙그라 마이뉴 전투

전투.jpg


  • 침묵의 탑

침묵의 탑.jpg


  • 날개 달린 사자 뿔잔

아케메네스왕조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잔.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