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달새 노래할 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
[[파일:xyzxyzxyzxyz.PNG|200px]]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종달새 노래할 때'''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xyzxyzxyzxyz.PNG|100px]]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작품명''' || [[종달새 노래할 때]]
 
|-
 
| style="text-align:center;"|'''작가''' || [[김환기]]
 
|-
 
| style="text-align:center;"|'''창작년도''' || 1935
 
|-
 
|}
 
</onlyinclude>
 
 
====개요====
 
====개요====
  

2018년 6월 12일 (화) 15:33 기준 최신판

Xyzxyzxyzxyz.PNG

개요

김환기의 첫 작품

작품 설명

김환기가 각별히 여기던 작품으로 ‘처녀작, 처녀발표, 초출품’이라는 세 가지 수식어가 붙어있다. 고향을 주제로 한 이 작품은 누이동생의 사진을 모티브로 스케치하고, 고향의 푸른 바다, 고향 집 위를 흘러가던 구름, 길가의 버드나무, 둥지의 새알 등 고향을 추억하게 만든 소재들로 구성했다. 무엇보다 종달새 노랫소리와 함께 시작된 평화로움과 낭만이 가득했던 고향의 봄이 화면에서 느껴지도록 심혈을 기울였다.

참고문헌

네이버포털검색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07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