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찰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동아일보(東亞日報)'''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동아일보.jpg|280px]]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창립년도''' || 1920년 4월 1일
 
|-
 
| style="text-align:center;"|'''발행주기''' || 일간
 
|-
 
| style="text-align:center;"|'''발행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
 
|-
 
| style="text-align:center;"|'''사시''' || 조선 민중의 표현기관, 민주주의, 문화주의
 
|}
 
</onlyinclude>
 
  
'''동아일보(東亞日報'''
 
='''정의'''=
 
='''창간'''=
 
='''연혁'''=
 
 
*1920.04.01. 창간호 발행.
 
*1931.07.21. 민중계몽운동인 브나로드 운동 전개.
 
*1936.08.29. 손기정 선수 일장기 말소사건으로 무기 정간.
 
*1940.08.10. 민족말살정책으로 인한 강제 폐간.
 
*1945.12.01. 광복 이후 복간.
 
*1946.09.26. 철도파업에 인한 휴간.
 
*1946.06.27. 경성일보사 인쇄공 파업으로 인한 휴간.
 
*1950.06.28. 한국전쟁으로 인한 발행 중지.
 
*1950.10.04. 타블로이드 2개면으로 복간.
 
*1951.01.10. 1.4후퇴에 인한 부산에서 속간.
 
*1956.04.01. 국수전 주최.
 
*1964.07.15. 소년동아일보 창간.
 
*1967.01.28. 동아연감 창간.
 
*1974.12.20. 군사독재정권의 광고탄압으로 백지광고 시작.
 
*1975.03.08. 동아일보 해직 사태(5월 1일까지 순차적으로 기자 및 사원 113명 해직).
 
*1980.11.30. 언론통폐합으로 동아방송을 한국방송공사에 매각.
 
*1981.10.02. 동아문화센터 개설.
 
*1990.07.20. 주말특집판 동아마당 발행.
 
*1992.10.27. 본사에 충청로 사옥으로 이전.
 
*1993.04.01. 석간신문에서 조간신문으로 전환.
 
*1994.04.01. CTS(컴퓨터 제작 시스템) 도입.
 
*1996.10.01. 인터넷 전자신문 "마이다스 동아일보"출범.
 
*1998.01.01. 가로쓰기 발행.
 
*2000.01.13. '마이다스 동아일보', '동아닷컴'으로 사명 변경.
 
*2000.12.15. 신문박물관 개관.
 
*2002.01.01. 동아일보 모바일 서비스 개시.
 
*2005.01.01. 오피니언면 후진 배치, 사회면 전진 배치.
 
*2005.04.25. 온•오프라인 통합뉴스룸 출범.
 
*2005.08.17. 충정로 32면 컬러 인쇄 체제 완료.
 
*2011.12.01. 종합편성채널 채널A 개국.
 
 
 
 
 
[[분류:1920년 설립된 기업]][[분류:1920년 창간]][[분류:대한민국의 신문]][[분류: 일제강점기의 신문]]
 

2022년 6월 15일 (수) 06:26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