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2017-2019"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전시명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2017-2019 전시장소 기획전시실 전시기간 2020-07-22~2020-10-11)
 
1번째 줄: 1번째 줄:
전시명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2017-2019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f2f2f2; width:35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center;"
전시장소 기획전시실
+
|style="text-align:center;"|'''전시명'''||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
전시기간 2020-07-22~2020-10-11
+
|-
 +
|style="text-align:center;"|'''기간'''||2020. 7. 21. ~ 9. 27
 +
|-
 +
|style="text-align:center;"|'''장소'''||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
 +
|-
 +
|style="text-align:center;"|'''주최'''||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청
 +
|-
 +
|style="text-align:center;"|'''협력'''||국립박물관문화재단
 +
|-
 +
|style="text-align:center;"|'''전시품'''||국보 제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등 83건
 +
|-
 +
|style="text-align:center;"|'''관람 시간'''||월, 화, 목, 금, 일 10:00 ~ 18:00 / 수, 토 10:00 ~ 21:00
 +
|-
 +
|}
 +
 
 +
=전시소개=
 +
2017년도부터 2019년까지 3년 간 지정된 국보 및 보물 157건 중 이동이 어려운 건축 문화재, 중량이 무거운 문화재를 제외한 83건 196점을 공개하는 전시다. 이는 국보와 보물 공개 전시로는 사상 최대 규모였다. 전시는 ▲ 역사를 지키다, ▲ 예술을 펼치다, ▲ 염원을 담다 등 3 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
==1부 : 역사를 지키다==
 +
1부 '역사를 지키다'는 다양한 기록 유산을 소개한다. 『삼국사기』(국보 제322-1호, 옥산서원 소장)와 『삼국유사』권1~2(국보 제306-3호, 연세대학교 소장)를 비롯해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호, 국립고궁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등이 전시된다. 이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인쇄 문화 발전을 보여주는『송조표전총류』권6~11(보물 제1989호, 개인 소장),  그림을 기록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한 왕실 행사 기록화 <<기사계첩>>(국보 제325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사대부의 얼굴이 사실적으로 묘사된 <최석정 초상 및 함>(보물 제1936호,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등도 함께 소개돼, 우리나라의 기록 문화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갈 수 있다.
 +
==2부 : 예술을 펼치다==
 +
2부인 '예술을 펼치다'는 우리나라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쑬품들을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다. 고려 초기의 청자 제작을 보여주는 <청자‘순화4년’명 항아리>(국보 제326호,  이화여자대학교 소장), 고려 상형청자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청자 투각 연당초문 붓꽂이>(보물 제1932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등 뛰어난 기술과 절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고려청자들도 함께 선보인다. 이와 함께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와 풍속화도 함께 전시한다. 정선(1676~1759)의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보물 제1951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등이 그 예시다.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천재 화가 김홍도의 원숙한 기량을 보여주는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보물 제1970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등 간송미술문화재단이 소장한 22건의 보물이 전시된다.
 +
==3부 : 염원을 담다==
 +
3부에서는 우리나라의 국보와 보물의 절반이 넘는 불교문화재를 다룬다. 우리나라에 있어 불교는 오랜 세월 한국인과 함께 살아 숨 쉬며 현실을 극복하도록 도와 문화를 풍요롭게 해준 정신적 지주였다. 전시되는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보 제327호,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소장)는 백제시대의 불교 신앙과 정교한 공예 기술의 극치를 보여준다. 이와 함께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권상(국보 제320호, 개인 소장) 등 불교 경전과 서적이 다수 전시돼 우리나라 불교 기록문화의 면모들을 함께 살필 수 있다.

2022년 11월 30일 (수) 02:07 판

전시명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
기간 2020. 7. 21. ~ 9. 27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
주최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청
협력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전시품 국보 제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등 83건
관람 시간 월, 화, 목, 금, 일 10:00 ~ 18:00 / 수, 토 10:00 ~ 21:00

전시소개

2017년도부터 2019년까지 3년 간 지정된 국보 및 보물 157건 중 이동이 어려운 건축 문화재, 중량이 무거운 문화재를 제외한 83건 196점을 공개하는 전시다. 이는 국보와 보물 공개 전시로는 사상 최대 규모였다. 전시는 ▲ 역사를 지키다, ▲ 예술을 펼치다, ▲ 염원을 담다 등 3 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1부 : 역사를 지키다

1부 '역사를 지키다'는 다양한 기록 유산을 소개한다. 『삼국사기』(국보 제322-1호, 옥산서원 소장)와 『삼국유사』권1~2(국보 제306-3호, 연세대학교 소장)를 비롯해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호, 국립고궁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등이 전시된다. 이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인쇄 문화 발전을 보여주는『송조표전총류』권6~11(보물 제1989호, 개인 소장), 그림을 기록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한 왕실 행사 기록화 <<기사계첩>>(국보 제325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사대부의 얼굴이 사실적으로 묘사된 <최석정 초상 및 함>(보물 제1936호,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등도 함께 소개돼, 우리나라의 기록 문화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갈 수 있다.

2부 : 예술을 펼치다

2부인 '예술을 펼치다'는 우리나라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쑬품들을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다. 고려 초기의 청자 제작을 보여주는 <청자‘순화4년’명 항아리>(국보 제326호, 이화여자대학교 소장), 고려 상형청자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청자 투각 연당초문 붓꽂이>(보물 제1932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등 뛰어난 기술과 절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고려청자들도 함께 선보인다. 이와 함께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와 풍속화도 함께 전시한다. 정선(1676~1759)의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보물 제1951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등이 그 예시다.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천재 화가 김홍도의 원숙한 기량을 보여주는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보물 제1970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등 간송미술문화재단이 소장한 22건의 보물이 전시된다.

3부 : 염원을 담다

3부에서는 우리나라의 국보와 보물의 절반이 넘는 불교문화재를 다룬다. 우리나라에 있어 불교는 오랜 세월 한국인과 함께 살아 숨 쉬며 현실을 극복하도록 도와 문화를 풍요롭게 해준 정신적 지주였다. 전시되는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보 제327호,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소장)는 백제시대의 불교 신앙과 정교한 공예 기술의 극치를 보여준다. 이와 함께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권상(국보 제320호, 개인 소장) 등 불교 경전과 서적이 다수 전시돼 우리나라 불교 기록문화의 면모들을 함께 살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