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조상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성북구 교육기관의 역사]]'''===
 
 
일찍부터 근대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 1909년 성북리에 설립된 삼산학교(三山學校)를 비롯하여 1922년 종암동에 숭인공립보통학교, 1924년 사립인 인창보통학교, 1934년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학교), 1939년 경성고등상업학교(훗날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등 많은 학교가 설립되어 교육문화가 일찍부터 자리 잡았던 곳이다.이후에도 인구 증가와 함께 꾸준히 학교가 설립되어 2015년 현재 초등학교 29개교, 중학교 18개교, 고등학교 13개교, 특수학교 1개교가 있다. 대학교는 고려대학교·국민대학교·동덕여자대학교·서경대학교·성신여자대학교·한성대학교 등 6개가 있으며 전문대학교도 1개가 있다. 서울의 여러 구 가운데 많은 대학이 위치하고 있어 교육문화가 발달되어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성북구(城北區))]
 
 
 
 
==='''[[성북구 대학교]]'''===
 
 
===='''[[고려대학교]]'''====
 
 
'''1. 개요'''
 
 
[[파일:고려대학교_로고.png|150픽셀]]
 
 
[출처 위키백과]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사이트 : http://www.korea.ac.kr/
 
 
'''2. 역사'''
 
{|class="wikitable"
 
!연도||내용
 
|-
 
|1905||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 설립
 
|-
 
|1910||천도교의 의암 손병희 선생이 보성전문학교를 인수
 
|-
 
|1932||인촌 김성수가 재단 인수
 
|-
 
|1934||지금의 안암동 교사로 학교 이전
 
|-
 
|1944||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로 강제 개명
 
|-
 
|1946||현재의 4년제 대학인 고려대학교 개교
 
|-
 
|1960||4·19 혁명의 시발점인 4·18 의거에 대다수 학생 가담
 
|-
 
|1964||6·3 항쟁에 대다수 학생 가담하여 박정희 정권에 저항
 
|-
 
|1972||이후 계속해서 학생·교수·김상협 총장 모두 박정희 유신정권에 극도로 저항
 
|-
 
|1980||김준엽 총장을 필두로 전두환 정권에도 계속해서 저항,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서창리에 조치원분교 설립(지금의 세종캠퍼스)
 
|-
 
|1987||6월 항쟁 때 반독재민주화투쟁을 위한 학생시위대의 주축이 됨
 
|-
 
|1990||90년대 이후 학교 재단, 경영진, 교수진 등은 점차 보수적 성향을 띠게 됨
 
|-
 
|1994||수학능력시험 도입 이후 강남 8학군 출신 학생들과 외고 출신 학생들의 비중이 급증하며 학생운동은 점차 쇠락
 
|-
 
|2007||고려대학교 출신 이명박이 대통령에 당선됨
 
|}
 
 
===='''[[국민대학교]]'''====
 
 
'''1. 개요'''
 
 
[[파일:국민대로고.jpg|150픽셀]]
 
 
[출처 위키백과]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 77
 
*사이트 : https://www.kookmin.ac.kr
 
 
 
'''2. 역사'''
 
 
{|class="wikitable"
 
!연도||내용
 
|-
 
|1946||서울 창성동에서 학위 인가를 받지 못한 국민대학관으로 설립하여 개교
 
|-
 
|1948||국민대학(國民大學)으로 승격, 신익희 선생이 초대학장에 취임
 
|-
 
|1959||쌍용그룹의 창업자인 실업가 김성곤(金成坤)이 국민학원을 인수
 
|-
 
|1971||정릉동으로 이전
 
|-
 
|1981||종합대학으로 개편
 
|-
 
|2012||교육과학기술부에서 실시한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
 
|-
 
|2014||교육부의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선정
 
|-
 
|2015||교육부에서 실시한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A등급 대학으로 판정
 
|-
 
|2016||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SW중심대학 사업에 선정
 
|-
 
|2017||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에 선정
 
|-
 
|2018||교육부에서 실시한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
 
교육부의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사업에 선정,
 
교육부의 대학혁신지원사업 시범(PILOT)운영 사업에 선정
 
|}
 
 
 
 
 
===='''[[성신여자대학교]]'''====
 
'''1. 개요'''
 
 
[[파일:성신여자대학교_로고.jpg|200픽셀]]
 
*성신여자대학교(Sungshin Women's University)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34다길 2
 
*사이트 : [https://www.sungshin.ac.kr/sites/main_kor/main.jsp_in.asp 성신여자대학교 홈페이지]
 
 
'''2. 역사'''
 
 
{|class="wikitable"
 
!연도||내용
 
|-
 
|1936|| 리숙종 박사 '성신여학교' 창립
 
|-
 
|1963||성신여자실업초급대학 2부 설립 인가 가정과, 공예미술과 경영학과, 피복학과
 
|-
 
|1963||성신여자실업초급대학 1부 인가 가정과, 공예미술과(130명)
 
|-
 
|1965||성신여자사범대학 설립인가(1965. 03. 01 시행) 가정교육과, 미술교육과, 초등교육과, 외국어교육과 (130명) 성신여자실업초급대학 폐교 인가
 
|-
 
|1979||성신여자사범대학을 성신여자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81||성신여자대학을 종합대학인 성신여자대학교로 승격인가 (1982. 03. 01시행)
 
|-
 
|2018||교육부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자율개선대학 선정
 
|-
 
|}
 
 
 
===='''[[한국예술종합학교]]'''====
 
'''1. 개요'''
 
 
[[파일:한예종_로고.jpg|300픽셀]]
 
*한국예술종합학교(Korea National Univesity of Arts)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32길 146-37 (석관동캠퍼스)
 
*사이트 : [http://www.karts.ac.kr_in.asp 한국예술종합학교 홈페이지]
 
 
'''2. 역사'''
 
 
{|class="wikitable"
 
!연도||내용
 
|-
 
|1991|| 한국예술종합학교 설치령(대통령령 제13528호) 제정
 
|-
 
|1993||한국예술종합학교 개교
 
|-
 
|2005||(부설)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설립
 
|-
 
|2007||(부설)문화예술교육센터 설립
 
|-
 
|2012||(부설)미디어콘텐츠센터 설립
 
|-
 
|2015||(부설)융합예술센터 설립
 
|-
 
|2016|| QS 세계대학평가 공연예술부문 46위 첫 진입
 
|-
 
|}
 
 
 
===='''[[한성대학교]]'''====
 
 
'''1. 개요'''
 
 
[[파일:한성대01.jpg|300px]]
 
*한성대학교 로고
 
 
[[한성대학교]]는 대한민국의 사립 4년제 대학이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
 
*사이트 :  http://www.hansung.ac.kr/
 
 
'''2. 역사'''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한성대 연혁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 위키백과
 
!연도||내용
 
|-
 
|1972.12.21||한성여자대학 설립
 
|-
 
|1978.1.11||한성여자대학을 한성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85.12.04||R.O.T.C 창설
 
|-
 
|1993.03.01||종합대학교 승격
 
|-
 
|2015년||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D+ 등급
 
|-
 
|2017년||교육부 2차년도 이행점검 결과 재정지원제한 완전 해제
 
|}
 

2021년 6월 8일 (화) 13:10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