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김민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onlyinclude>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김민정'''
 +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민정이.jpg|200px]]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김민정
 +
|-
 +
| style="text-align:center;"|'''영문''' || Kim Min-Jeong
 +
|-
 +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대학생
 +
|-
 +
| style="text-align:center;"|'''학교''' || 한성대학교
 +
|-
 +
| style="text-align:center;"|'''학과''' || [[도서관정보문화 트랙]]
 +
|-
 +
|}
 +
</onlyinclude>
  
== 소개 ==
+
=='''소개'''==
=== 정의 ===
 
한옥(韓屋)이란 선사시대부터 이땅에 우리민족 고유의 기술로 지은 건축을 의미한다. 이는 현대건축과 상반되는 개념의 용어이다. 한옥은 한반도와 만주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거쳐 왔다. 넓은 의미의 한옥은 초가집, 너와집, 기와집 등 한국의 전통 건축물들을 포괄하나 한국에서도 대중적 의미의 한옥은 기와집만을 의미하게 되었다.
 
  
 +
#생년월일: 1997년 03월 18일
 +
#거주지: 서울특별시 도봉구
 +
#취미
 +
#*유튜브로 요리영상보기
 +
#*요리하기
 +
#LIKE
 +
#*칼질하는것.(양파나 양배추를 썰 때 편안함을 느낀다.)
 +
#*신서유기 (피오 너무 귀여웡ㅎ)
 +
#*무작정 걸어다니기.(집에서 학교까지 약 4시간 정도 거리를 걸어서 간 적도.... 한번 시도 후 다신 하지 않을 계획. )
  
[[파일:한옥소개3.jpeg|400px]]
 
  
저작자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Korea-Gangneung-Ojukheon-01.jpg Wikimedia Commons], '''Public domain'''
 
  
  
'한옥'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나오는 것은 융희 2년(1907년) 4월 23일에 쓴 '가사에 관한 조복문서'인데, 돈의문에서 배재학당에 이르는 정동길 주변을 기록한 약도에서 이 말이 쓰이고 있다. 당시에는 '주가'(住家), '제택'(第宅) 등과 같은 용어가 흔히 쓰였는데, 한옥이라는 낱말은 특수한 상황에서 새로이 등장한 건축물을 가리키는 용어와 같은 맥락에서 쓰이고 있다.  
+
'''김민정'''은 1997년 3월 18일에 태어났다.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생후 3개월에 제주도로 건너가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 까지 살았다. 그래서 가장 좋아하는 장소가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이에 위치한 할머니댁이다. (하지만 지금은 집을 팔아서 허허벌판이 되어버렸다...)  
 +
특이점이 요리를 하면서 평온함과 카다르시스를 느낀다. 우울하거나 화가날 때 양파나 당근이나 양배추 등을 썰때 마음이 평온해진다. 칼이 도마에 부딫히는 "탁 탁 탁" 소리가 마음을 진정시키고 잡 생각을 없에는 것에 최고다.<ref>「나」,『나』 2019년 11월. p.</ref>
  
  
====한옥 사진====
 
<gallery>
 
파일:한옥소개1.jpg|『공공누리 제4유형』
 
파일:한옥소개4.jpg|『공공누리 제4유형』
 
파일:한옥소개5.jpg|『공공누리 제4유형』
 
파일:한옥소개4.jpg|『공공누리 제4유형』
 
</gallery>
 
  
출처 : 1982,[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4186&detl_PhotoDTL=32226 e영상역사관],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한옥 영상====
 
  
한옥에 관한 짧은 영상을 볼 수 있다.
 
  
영상링크 :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155371&menuNo=200026 공유마당], 2016, 한국저작권위원회, '''CC BY'''
+
[[파일:김유정역1 (2).jpg|200픽셀|섬네일|왼쪽|제작자: 김민정, [https://www.naver.com/ 링크]]]
  
  
====한옥 평면도====
 
한옥의 초기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사기리 창내 유적 막집 터 평면도를 볼 수 있다.
 
출처 :[http://jecheon.grandculture.net/Contents?local=jecheon&dataType=0403&contents_id=GC033D0168 사기리 창내 유적 막집 터 평면도],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2459154&menuNo=200019 공유마당] 2011, 한국학중앙연구원,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표시]'''
 
  
=== 역사 ===
 
====초기====
 
한옥은 구석기인들의 막집, 신석기시대의 움집을 지나 철기시대에 흙을 구운 기와를 지붕에 얹은 기와집이 등장하게 된다.
 
이 외에도 삼국시대, 조선시대의 초가집, 너와집 등이 있다.
 
  
*신석기시대 움집
+
=='''전공'''==
[[파일:움집1.png|400px]]
+
[[도서관정보문화 트랙]]
  
저작자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16927&menuNo=200018 공유마당], 한국교육방송공사 '''CC BY'''
+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 초막집
+
[https://https://employ.hansung.ac.kr/web/www/home 한성대학교]
[[파일:막집1.jpg|400px]]
 
  
저작자 :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340148&menuNo=200018 공유마당], 2015, 한국사진사연구소 '''CC BY-NC-ND'''
+
{{
 +
#display_map:
 +
Seoul City;
 +
37.581856, 127.010383
 +
|service=googlemaps3
 +
|width=500
 +
|height=5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7
 +
}}​
  
====개화기====
 
1876 (강화도 조약) ~ 1910 (경술국치)
 
  
*인화문(仁化門)
+
=='''좋아하는 가수'''==
 +
*B1A4
  
[[파일:한옥소개2.jpeg|400px]]
+
모든 노래가 다 좋지만 최근에 가장 자주 듣는 곡은 '산들'의 2번째 솔로앨범 수록곡 '이 사랑'
 +
주관적으로 이 노래처럼 잔잔하지만 감정이 실린 스타일의 노래는 산들이가 정말 잘 살린다고 생각한다.  
  
출처 :1899, [https://www.europeana.eu/portal/en/record/91627/SMVK_EM_fotografi_1849365.html?q=South+Korea#dcId=1574500231777&p=2 Europeana], Kuylenstierna, Alexis, '''CC BY-NC-ND'''
 
  
인화문(仁化門)은 본래 덕수궁의 정문이었는데 대안문(大安門)(현재의 대한문) 주변으로 도로가 나면서 그 기능을 상실했고 그 후 1905년의 화재로 타버렸다.
+
<youtube>7fgGY_l9UkQ</youtube>
  
  
*[[최사영 고택]]
 
  
[[파일:고택사진3.jpg|150픽셀]]
+
꼭! 들어보기
[[파일:고택사진2.jpg|150픽셀]]
 
[[파일:고택사진1.jpg|150픽셀]]
 
  
출처 : 김민정, '''Public Domain'''
 
  
이 고택(古宅)은 대한제국(大韓帝國 : 1897년~1910년) 시기의 관료로서 광업·금융업·창고업 등에 종사하며 부를 축적해 재력가로도 널리 알려진 [[최사영]](崔思永)이 1906년 마포(麻浦)에 건립한 집의 안채로 추정되는 건물이다.
 
  
====대한민국====
 
1970년대 이후 현대적 건축을 배운 건축가들이 한옥을 구시대의 잔재인 고루한 건축물과 비효율적인 건축으로 인식하고 헐어 없애면서 많은 역사적 가치가 있는 한옥이 많이 사라졌으나, 2000년대 들어 한옥의 자연친화적 기능과 치유의 효과가 강조되면서 한옥의 가치는 재조명받고 있다.
 
  
최근에는 화장실이나 안내문과 같은 공공 시설, 심지어는 카페와 같은 사설 기관에도 한옥이나 한옥 모양을 본떠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
*ONF
  
* 김유정역
+
aka 명곡맛집. 모든 타이틀곡 부터 수록곡 까지 다 좋다. 그 중 4집 앨범에 실린 'Moscow Moscow'는 정말 명곡이다. 노래 제목도 모스코모스코인게, 이 노래를 들으면 3분안에 모스크바 여행을 다녀올 수 있다.
[[파일:김유정역1 (2).jpg|190픽셀]]
 
[[파일:김유정역1 (1).jpg|190픽셀]]
 
  
출처 : 김민정, '''Public Domain'''
 
  
 +
<youtube>0lxh-ChXPMw</youtube>
  
지하철 경춘선 강촌역과 남춘천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역사가 한옥 형태인 것을 볼 수 있다.
 
  
 +
해외여행을 가고 싶은데 여유가 없다!! 하는 분들은 모스크바 공짜 티켓이 여기 있는데 꼭 들어보시길! (+ 모스크바의 풍경과 러시아어 자막이 나오는 뮤비와 같이 감상한다면 여기가 바로 모스크바 크~~)
  
  
사실을 위한 소설이 아니오 소설을 위한 사실인 이상 그 창작가는 제2의 경우를 더욱 중시하여야 될 줄 믿습니다. 이미 주제를 작정한 다음에 그 소재를 취하는데 현재와 과거를 가릴 필요가 없는 줄 압니다. 작품상에는 현재라고 더 현실적이오 과거라고 비현실적이란 관념은 도무지 성립이 되지 않는 줄 압니다. 더구나 제2의 경우에는 그 과거가 현재에 가지지 못한, 구하지 못한 진실성을 띄었기 때문에 더 현실적이라고 믿습니다. 현재의 사실에서 취재한 것보담 더 맥이 뛰고 피가 흐르는 현실감을 줄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어야 될 줄 믿습니다. 이렇게만 된다면 비현실적이라는 등 도피적이라는 둥 하는 비난의 화살은 저절로 그 과녁을 잃을 것입니다.<ref>「역사소설문제」, 『문장』 1939년 12월. p.126~129.</ref>
 
  
 +
*노을
  
[[파일:김유정역1 (2).jpg|190픽셀|섬네일|제작자: 김민정 ]]
+
'그리워 그리워' 때 부터 좋아했다. 명곡이 워낙 많다.  
  
  
[[파일:yallabooks.png|400픽셀|섬네일|왼쪽|'''BY NC ND''', [https://bookshopmap.com/map?order=timestamp_modify&q=%EC%96%84%EB%9D%BC%EB%B6%81%EC%8A%A4&id=4510f483f5d09aa1d48038d98610efecc78b2ce894481a5c4a8c08773409b0aa 동네서점]]]
+
 
 +
 
 +
=='''기여 목록'''==
 +
'''2018-1학기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N)'''
 +
* [[별]]
 +
**[[오량가]]
 +
**[[최사영]]
 +
**[[최사영고택]]
 +
 
 +
 
 +
 
 +
[[분류:한성대학교]]
 +
[[분류: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
 +
[[분류: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
[[분류:도서관정보문화 트랙]]
 +
[[분류:1997년 출생]]
 +
[[분류:서울 출신]]

2019년 11월 25일 (월) 18:52 판


소개

  1. 생년월일: 1997년 03월 18일
  2. 거주지: 서울특별시 도봉구
  3. 취미
    • 유튜브로 요리영상보기
    • 요리하기
  4. LIKE
    • 칼질하는것.(양파나 양배추를 썰 때 편안함을 느낀다.)
    • 신서유기 (피오 너무 귀여웡ㅎ)
    • 무작정 걸어다니기.(집에서 학교까지 약 4시간 정도 거리를 걸어서 간 적도.... 한번 시도 후 다신 하지 않을 계획. )



김민정은 1997년 3월 18일에 태어났다.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생후 3개월에 제주도로 건너가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 까지 살았다. 그래서 가장 좋아하는 장소가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이에 위치한 할머니댁이다. (하지만 지금은 집을 팔아서 허허벌판이 되어버렸다...) 특이점이 요리를 하면서 평온함과 카다르시스를 느낀다. 우울하거나 화가날 때 양파나 당근이나 양배추 등을 썰때 마음이 평온해진다. 칼이 도마에 부딫히는 "탁 탁 탁" 소리가 마음을 진정시키고 잡 생각을 없에는 것에 최고다.[1]




제작자: 김민정, 링크



전공

도서관정보문화 트랙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한성대학교

지도를 불러오는 중...


좋아하는 가수

  • B1A4

모든 노래가 다 좋지만 최근에 가장 자주 듣는 곡은 '산들'의 2번째 솔로앨범 수록곡 '이 사랑' 주관적으로 이 노래처럼 잔잔하지만 감정이 실린 스타일의 노래는 산들이가 정말 잘 살린다고 생각한다.



꼭! 들어보기



  • ONF

aka 명곡맛집. 모든 타이틀곡 부터 수록곡 까지 다 좋다. 그 중 4집 앨범에 실린 'Moscow Moscow'는 정말 명곡이다. 노래 제목도 모스코모스코인게, 이 노래를 들으면 3분안에 모스크바 여행을 다녀올 수 있다.



해외여행을 가고 싶은데 여유가 없다!! 하는 분들은 모스크바 공짜 티켓이 여기 있는데 꼭 들어보시길! (+ 모스크바의 풍경과 러시아어 자막이 나오는 뮤비와 같이 감상한다면 여기가 바로 모스크바 크~~)


  • 노을

'그리워 그리워' 때 부터 좋아했다. 명곡이 워낙 많다.



기여 목록

2018-1학기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N)

  • 「나」,『나』 2019년 11월. p.
  • 원본 주소 "https://hwiki.eumstory.co.kr/index.php?title=사용자:김민정&oldid=53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