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평론 및 관련기사)
(평론 및 관련기사)
44번째 줄: 44번째 줄:
  
 
==평론 및 관련기사==
 
==평론 및 관련기사==
 +
*[http://www.donga.com/docs/sinchoon2000/mn_9.html 대중문화의 소설적 교란] - 현진현. 동아신춘문예 당선작. 2000
 +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45067#07Pk <독서평론>'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죽음의 이유 : 편안하게, 멋지게] - 문화평론가 명준호. 업코리아. 2015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45067#07Pk <독서평론>'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죽음의 이유 : 편안하게, 멋지게] - 문화평론가 명준호. 업코리아. 2015
  

2020년 6월 16일 (화) 10:59 판

개요

1996년 김영하가 집필한 장편소설이다. 타인의 자살을 돕는 일을 하고있는 주인공이 그동안 만나왔던 고객들과 그 주변인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있다.

마약 혐의로 기소된 소설가 프랑수아즈 사강이 법정에서 말한 변론에서 제목의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 제 1회 문학동네 작가상을 수상했으며 2003년 소설 원작을 기반으로 영화가 제작되었다.

줄거리

목차

마리의 죽음

유디트

에비앙

미미

사르다나팔의 죽음

평론 및 관련기사

기타

RDF